주민 대피시설 ‘통합’…실효성 우려도
[KBS 부산] [앵커]
부산 곳곳에는 이재민과 산사태 등에 대비한 대피소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 대피소들을 여러 상황에 활용할 수 있게 정부가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데, 시설 기준과 관리 책임 문제로 실효성 우려가 나옵니다.
김아르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부산 동구의 한 초등학교입니다.
재난 상황에 29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이재민 임시 주거시설로 쓰입니다.
동시에, 화학물질 유출에 대비한 화학사고 대피소로도 사용됩니다.
한 시설이 여러 대피소 기능을 갖는, 일종의 '통합 대피소'로, 정부가 올 연말 시행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부산에서는 대피소 180여 곳을 공동으로 활용할 예정인데요.
이 학교의 경우, 임시 주거시설과 산사태 대피소로 쓰이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공동 활용이 가능한 대피소는 제한적입니다.
부산의 경우 전체 2천 백여 곳의 대피소 중에서 공동 활용이 가능한 곳은 187곳으로, 전체의 8%에 불과합니다.
대피소마다 지정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지하에 위치한 '민방위 대피소'는 생활 편의시설이 필요한 임시 주거시설로 사용할 수 없고, '화학 대피소'는 유해 화학물질 취급시설에서 500미터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는 등 기준이 까다롭습니다.
[정현정/부산시 사회복지정책팀장 : "공동 활용할 수 있는 게 187개소인데, 기존에 정해진 그 시설 안에서 유동적으로 좀 할 수 있도록 해 보고 또 운영해 보면 장점이라든지 단점이 발견이 되는 대로 보완을 (할 예정입니다)."]
관리 주체도 제각각입니다.
대피소마다 담당 부서가 다른 데다 자치단체 간 공동 활용 방안도 아직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공하성/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 "통합을 위한 홍보라든지 시설 구축, 그리고 관리 주체 지정이라든지 이런 준비 작업을 철저히 해서 통합 작업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된 대피소 공동 활용의 실효성을 살리려면 추가 대피소를 발굴하는 등 대안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이한범
김아르내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단독] 북, MDL 코앞에서 폭파…“김정은 렉서스 타고 현장 시찰”
- 다시 끊어진 남북 연결도로…‘남측 돈 1800억’ 날린 북, 향후 책임은?
- 러, ‘전쟁 시 군사원조’ 북러 조약 비준 돌입…“무인기는 주권 침해”
- ‘여론조사 조작’ 했나?…명태균-강혜경 공방
- 물드는 설악 단풍…이번 주말 절정 맞을 듯
- 하니 “누구나 당할 수 있는 일…당하지 않았으면”
- “군대 다녀와서, 또 대리 복무”…병력 관리 총체적 부실
- “생명체 단서 찾아”…유로파 탐사선 ‘클리퍼’ 발사
- 머스크의 자랑 ‘옵티머스’, 사실은 원격 조종?
- 게임체인저 ‘위고비’ 국내 출시…“다이어트용 아닌 비만치료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