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하면 떠오르는 원추리와 달개비꽃 [김민철의 꽃이야기]
한강이 노벨문학상을 받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소설은 ‘채식주의자’일 것이다. 한강은 이 연작 소설 중 2부인 ‘몽고반점’으로 2005년 이상문학상을 받았고, 2016년 3개 중편을 묶은 책 ‘채식주의자’로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을 받았다.
◇처제의 몸에 그린 주황색 원추리
필자는 2015년 ‘문학이 사랑한 꽃들’이라는 책을 내면서 ‘채식주의자’를 대표하는 꽃으로 원추리를 고른 적이 있다. 그 이유를 얘기하려면 소설 내용에 대한 약간의 소개가 필요하겠다.
이 소설 1부에 해당하는 ‘채식주의자’는 어린 시절의 끔찍한 기억 때문에 고기를 먹지 못하는 처제 영혜의 이야기다. 2부는 ‘몽고반점’이라는 제목인데, 비디오 아티스트인 ‘나’는 어느 날 아내로부터 처제 영혜의 엉덩이에 몽고반점이 남아 있다는 말을 듣고 보고싶은 욕망에 사로잡힌다. 그러다 처제에게 비디오 작품의 모델을 해달라고 부탁해 허락을 받는다. ‘나’는 처제의 몸에 꽃을 그리기 시작한다.
<몽고반점이 있는 왼쪽 엉덩이는 여백으로 남겼다. (중략) 그는 이번에는 노랑과 흰빛으로 그녀의 쇄골부터 가슴까지 커다란 꽃송이를 그렸다. 등 쪽이 밤의 꽃이었다면, 가슴 쪽은 찬란한 한낮의 꽃들이었다. 주황색 원추리는 오목한 배에 피어났고, 허벅지로는 크고 작은 황금빛 꽃잎들이 분분히 떨어져내렸다.>
그는 여기에 만족하지않고 자신의 몸에도 수국 등 꽃을 그리고 처제와 관계를 갖는 장면을 비디오에 담는다. 그러나 이 장면을 아내인 인혜에게 들키면서 파국을 맞는다. 3부 ‘나무 불꽃’은 인혜가 남편이 사라진 다음, 나무처럼 말라가면서 나무가 되기를 꿈꾸는 영혜를 돌보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처럼 ‘채식주의자’는 몸에 그린 꽃들의 결합이라는 강렬한 이미지를 담고 있다. 형부가 처제의 몸에 그린 꽃 중에 이름이 나오는 것은 원추리밖에 없다. 원추리라는 꽃이 주요 상징으로 나오거나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지만 강한 인상을 주는 것은 사실이다. ‘주황색 원추리’라고 했으니 원예종 왕원추리일 것이다. 작가는 한 인터뷰에서 육식은 폭압적인 세상과 인간을 상징하고, 채식은 그곳에서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이라고 설명했다.
원추리는 우리 산과 들에서 흔하게 자생하는 백합과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이 아래쪽에서부터 서로 포개져 부챗살처럼 올라오면서 양쪽으로 퍼지고, 그 사이에서 긴 꽃대가 올라와 여러 갈래로 갈라져 꽃송이가 달린다. 원추리는 아름다운 꽃과 오랫동안 볼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관상용으로도 인기가 높다. 그래서 요즘에는 도심 공원이나 길가 화단에서도 원추리를 흔히 볼 수 있다. 학자들이 이름을 바꾸어놓아서, 우리가 산에서 흔히 보는 원추리는 백운산원추리로 불러야 정확하다.
◇한강 할머니의 꽃, 달개비꽃
한강의 아버지 한승원 작가는 77세이던 2016년 ‘달개비꽃 엄마’라는 장편소설을 냈다. 등단 50년을 맞은 작가가 99세에 별세한 어머니 이야기를 소설로 쓴 것이다. 소설은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고 있다.
<무덤 앞에 엎드려 절을 하고 났을 때 (중략) 금잔디를 밟고 선 내 발 앞으로 국숫발같이 오동통한 달개비 덩굴 한 가닥이 기어나왔다. 그 덩굴의 마디마디에서 피어난 닭의 머리를 닮은 남보랏빛 꽃 몇 송이가 나를 쳐다보며 웃고 있었다. 그 오동통한 달개비 풀꽃처럼 강인하게 세상을 산 한 여인, 나의 어머니를 위하여 이 소설을 쓴다.>
돌아가신 어머니를 달개비꽃에 비유한 것이다. 많은 식물 중에서 생존력이 강하면서도 어여쁜 달개비를 고른 것은 탁월한 선택인 것 같다.
소설엔 이런 일화도 나오고 있다. 한승원이 젊었을 때 아버지는 논을 팔아 책장사를 하라고 했다. 그러자 어머니가 나서 “아니다. 서울 그 대학 들어가거라. 돈이랑 논이랑 다 쓸데없다, 사람이 제일로 중한 것이다”고 했다. 그리하여 한승원은 서라벌 예대 문예창작과에 입학할 수 있었다. 이 결단이 아니었으면 한승원도 한강도 어떤 운명이 펼쳐졌을지 모를 일이다.
달개비 꽃은 여름에 피기 시작해 요즘까지 피는 꽃이다. 밭이나 길가는 물론 담장 밑이나 공터 등 그늘지고 다소 습기가 있는 곳이면 전국 어디서나 만날 수 있다. 꽃은 작지만 자세히 보면 상당히 예쁘고 개성 가득하다. 우선 꽃은 포에 싸여 있는데, 포가 보트 모양으로 독특하다. 남색 꽃잎 2장이 부채처럼 위로 달려 있고 그 아래 노란 꽃술이 있는 구조다. 달개비라는 이름은 꽃이 닭의 볏을 닮았다고 붙인 이름이다. 이 풀의 정식 이름은 닭의장풀인데, 이 식물이 주로 닭장 주변에서 자란다고 붙은 것이다.
한강은 광주(光州)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랐지만 방학 때면 할머니·아버지가 있는 전남 장흥에 내려와 지냈다고 한다. 어릴적 고향 산기슭엔 여름마다 노란 원추리가 흔했는데, 장흥도 마찬가지여서 한강도 원추리를 보면서 자라지 않았을까 싶다. ‘달개비꽃 엄마’에 나오는 할머니의 ‘강인하게 세상을 사는’ 태도는 한강의 가치관과 글 쓰는 자세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받는 경사에 필자도 축하의 말 하나를 남기고 싶어서 이글을 쓴다.
김민철의 꽃이야기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8475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적, 전람회 출신 故서동욱 추모 “모든 걸 나눴던 친구”
- 선관위, 현수막에 ‘내란공범’은 OK…’이재명 안 된다’는 NO
- 독일서 차량 돌진, 70명 사상…용의자는 사우디 난민 출신 의사
- 전·현직 정보사령관과 ‘햄버거 계엄 모의’...예비역 대령 구속
- ‘검사 탄핵’ 해놓고 재판 ‘노 쇼’한 국회…뒤늦게 대리인 선임
- “너무 싸게 팔아 망했다” 아디다스에 밀린 나이키, 가격 올리나
- 24년 독재 쫓겨난 시리아의 알-아사드, 마지막 순간 장남과 돈만 챙겼다
- 검찰, 박상우 국토부장관 조사...계엄 해제 국무회의 참석
- 공주서 고속도로 달리던 탱크로리, 가드레일 추돌...기름 1만L 유출
- “이제 나는 괜찮아, 다른 사람 챙겨줘” 쪽방촌 할머니가 남긴 비닐봉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