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욱의 과학 오디세이] [66] 아, 2024 노벨상

홍성욱 서울대 과학학과 교수 2024. 10. 14. 23: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Midjourney

어느 해보다 올해 노벨상은 참신했다. 신경망 인공지능의 대부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제프리 힌턴이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고, 알파고를 갖고 한국을 방문한 데미스 허사비스가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알파폴드 개발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노벨 생리의학상은 마이크로RNA(miRNA)의 유전자 조절을 규명한 빅터 앰브로스와 게리 러브컨에게 돌아갔다. 마이크로RNA 분야를 개척한 김빛내리 교수와 인공지능을 통한 단백질 연구 선구자인 백민경 교수가 아깝게 노벨상을 놓쳤다는 보도도 있었다. 그렇지만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에 전 국민이 행복해서 그런지, 올해는 노벨 과학상 불발에 대한 자조 섞인 한탄은 별로 없는 거 같다.

올해 노벨 과학상 수상자는 모두 한 분야를 개척해서 ‘일가를 이룬’ 사람이다. 기호 인공지능 패러다임이 지배적이었던 시절, 힌턴은 신경망 인공지능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기호 인공지능보다 뛰어날 수 있다고 믿고 이를 증명하는 데 일평생을 바쳤다. 기존 패러다임에 도전하는 이런 업적은 옛 패러다임을 고수하는 학자들에게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미국 학계가 새 이론에 개방적일지라도, 올해 노벨상을 받은 앰브로스는 마이크로RNA 연구를 담은 획기적 논문을 낸 뒤에도 하버드 대학에서 종신교수가 되지 못하고 다른 대학으로 옮겨야 했다.

노벨상의 역사를 뒤져보면 나중에 노벨상을 받은 논문이 처음에는 인정받지 못한 사례가 수두룩하다. 국제 학술지 ‘피직스 레터스’(Physics Letters)는 힉스 입자를 예견한 피터 힉스의 논문에 퇴짜를 놓았고, 고교 생물학 교과서에 나오는 크렙스 사이클을 주창한 한스 크렙스의 논문도 네이처지(誌)가 출판을 거부했다. 그렇지만 외국에서는 이런 연구를 낸 연구자가 계속 살아남아 연구하는 환경이 갖춰져 있다. 우리 사회는, 우리 과학계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여는 연구를 격려하고 있나? 실제로는 적당한 수준의 연구에 만족하면서 노벨상 철에만 혁신적 연구를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것은 아닌가? 1년에 한 번 있는 노벨상 발표 때라도 우리 스스로 진심 어린 반성과 성찰을 해야 할 것 같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