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후죽순 정원도시 경쟁…“지속가능성이 관건”

이정은 2024. 10. 14. 22: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전] [앵커]

요즘 자치단체마다 정원도시 만들기가 열풍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대전과 세종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30곳이 넘습니다.

순천만의 성공 사례를 따라가는 건데, 사업의 지속가능성이 성패를 가를 것으로 보입니다.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사람들이 오가는 인도 한가운데 작은 정원이 생겼습니다.

자투리땅에 만든 마을정원으로 주민들이 나서 직접 가꾼 겁니다.

[김승기/세종 가재마을 정원관리단 : "꽃 같은 게 시들다 보면 물도 주게 됩니다. 그러면 새로운 모습들을 볼 때 정말 뿌듯한 마음이 들고."]

세종시는 2026년까지 이런 마을정원 100개를 만들 계획입니다.

대전시도 현재 40여 개인 정원 인프라를 4년 안에 10배 이상 늘리는 구상을 내놨습니다.

두 도시 모두 정원 관광과 정원 산업을 도시 신성장 동력으로 잡은 겁니다.

국내 1호 국가정원으로 두 번의 국제박람회를 치른 순천만에 누적 관광객이 천만 명을 넘어서면서 경제적 가능성을 입증한 데다 기후변화로 녹지공간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늘면서 지자체마다 정원도시 만들기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대전과 세종은 물론, 서울시를 포함해 정원도시 조성을 선포한 지자체만 30곳이 넘고 2026년 세종과 태안을 비롯해 서울과 경기, 울산과 진주 등 전국 곳곳에 정원 관련 박람회가 열릴 예정입니다.

지역 주민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고 지역 브랜드 가치를 높여 경제 활성화를 꾀한다는 의도지만 차별화없이 조성에만 급급하다 보면 예산만 낭비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강현수/중부대 건축학과 교수 : "지방정부가 주도하면 결국 관리를 공무원이나 세금으로 할 확률이 많아요. 그런데 정원은 공원보다 더 관리 비용이 더 들고 관리 노하우가 필요하거든요."]

정원은 조성뿐 아니라 유지 관리에도 많은 예산이 드는 만큼 주민 수요와 지속적인 활용방안에 대해 면밀히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이정은 기자 (mulan8@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