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경제학상에 아제모을루·존슨·로빈슨 교수... ‘국가 간 번영 격차’ 연구
올해 노벨 경제학상에 대런 아제모을루 미국 MIT 교수와 사이먼 존슨 MIT 교수, 제임스 로빈슨 미 시카고대 교수 등 3명이 선정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4일 2024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 이들 교수 3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이들 3명은 경제·사회적 제도가 어떻게 국가 간 번영 수준 격차에 영향을 끼쳤는지를 연구했다”며 선정 이유를 밝혔다. 위원회는 “국가 간 엄청난 소득 격차를 줄이는 것은 우리 시대의 큰 과제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아제모을루 교수와 로빈슨 교수는 지난 2012년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라는 책을 공동으로 저술했다. 이 책에서 두 사람은 경제제도를 ‘포용적 제도’와 ‘착취적 제도’로 분류하고, 포용적 제도가 국가 번영을 이끈다고 설명한다. 포용적 제도로는 사유재산제도와 민주주의 등이 거론되고, 착취적 제도는 독재와 권위주의 등이 꼽힌다.
특히 두 교수는 이 책에서 한국과 북한의 위성사진을 보여주며, 제도적 차이가 번영 격차를 만든 대표적 사례라고 적었다. 비슷한 지리적 환경과 문화적 조건을 갖추고 있었음에도, 각각 자유시장경제와 계획경제, 민주주의와 독재라는 제도를 선택한 결과 경제 발전의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는 것이다. 지난 2022년 대선 당시 윤석열 당시 후보가 최근에 읽었다며 이 책을 소개하기도 했다. 윤 당시 후보는 “‘국가의 성패를 가르는 결정적 요인은 지리적, 역사적, 인종적 조건이 아니라 정치와 경제 제도에 있다’는 내용 등이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아제모을루 교수와 로빈슨 교수는 ‘좁은 회랑’이라는 책도 함께 저술했다. 이 책은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가가 ‘폭주’하지 않기 위해 사회가 적절히 관리해야만 국가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두 사람은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이 함께 진행되는 좁은 길을 통해서 국가 발전이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아제모을루는 존슨 교수와 지난해 ‘권력과 진보’라는 책도 공동으로 저술했다. 두 사람은 이 책에서 “기술의 진보로 소수의 기업과 투자자만 이득을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존슨 교수는 지난해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기술 도약이 자동적으로 인류 번영을 가져오지 않고, 경제적·사회적·정치적 선택에 따라 명암이 엇갈려 왔다”며 “테크 기업, AI 연구자, 정부의 잘못된 선택으로 극단주의, 감시 통제, 조작 선동, 가짜 정보가 판치는 반(反)민주주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고 했다.
MIT에서 아제모을루 교수와 교류했다는 안상훈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은 “아제모을루 교수가 MIT로 처음 왔을 때부터 교수가 아닌 박사 학위를 준비하는 학생처럼 공부했던 모습이 기억에 남는다”며 “세미나 장소에서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학생들과도 수시로 소통하는 인물이었고, 제도주의적 관점을 적극 수용해 주류 경제학 내에서 풀어낸 학자였다”고 했다.
수상자 세 명에게는 메달과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4억원)가 주어진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