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영상까지 휩쓴 AI…국내 솔루션에 해외 이목 집중

박정연 기자 2024. 10. 14. 17: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술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올해 노벨물리학상과 노벨화학상을 휩쓴 인공지능(AI)의 활약이 의료영상 진단 산업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의료영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가공하는 기술까지 정교해지면서 임상현장 도입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최근 국내 기업들이 개발한 AI 진단·예측 솔루션의 해외 진출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국내 의료산업의 새로운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제이엘케이는 최근 이 회사의 AI 뇌졸중 솔루션 'JLK-LVO(JBS-LVO)'가 미국식품의약국(FDA)의 510k(시판 전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JLK-LVO는 컴퓨터단층촬영(CT) 뇌혈관 영상을 분석해 대혈관 폐색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이다. 

뇌신경 질환 전문 AI 솔루션 기업 휴런 또한 퇴행성 뇌질환 조기 스크리닝을 위한 AI 솔루션 '휴런AD'가 최근 대만식품의약품청(TFDA) 승인을 받았다. 휴런 AD는 뇌를 98개 영역으로 자동 분할한 뒤 각 영역의 위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프로그램이다. 환자의 연령을 함께 제공하는 위축 지수를 제공해 건강한 뇌의 자기공명영상(MRI)과 비교할 수 있다.

의약품 안전을 총괄하는 각국 주무기관에서 한국 기업들의 기술력을 인정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의료 AI 기업들의 솔루션은 해외 임상 현장에 바짝 다가섰다. 암 진단 AI 플랫폼을 만드는 루닛과 전립선 암진단 AI 솔루션 등을 개발하는 딥바이오는 스위스 제약사 로슈의 진단사업부인 로슈진단에 최근 각사의 AI 솔루션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로슈진단이 병리학 의사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플랫폼 '네이파이 디지털 병리'에 통합된다.

루닛이 공급하는 솔루션 '루닛 스코프 PD-L1'는 환자의 조직으로 만든 병리조직 슬라이드를 분석해 환자의 면역항암제 반응을 예측한다. 딥바이오가 공급하는 '딥디엑스 프로스테이트'는 AI 기반 전립선암 분석 솔루션이다. 조직 검사를 통해 얻은 디지털 영상을 분석해 암이 발생한 부위를 식별한다.

해외 유수 의료기관들이 국내 AI 기업의 솔루션을 선택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폐암 검진 전문 AI 솔루션 기업 코어라인은 6월부터 미국 메사추세츠암치료센터에 이 회사의 AI 기반 폐결절 검출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실제 이 병원의 의사들이 폐암 검진 사례를 판독하는 데 활용된다. 

● 정확도와 환자 편의성 모두 잡은 AI 솔루션

폐암 검진 AI 솔루션을 사용한 환자용 검사 결과지 예시. 코어라인 제공

AI 기반 의료영상 솔루션은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덜어주는 것 외에도 환자 편의성을 제고한다는 측면에서 주목받는다. 정보통신(IT) 콘텐츠가 발전한 한국 기업들이 개발한 AI 솔루션은 검사 결과지의 가독성에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이야기다.

코어라인의 경우 검진 결과지에 3차원(3D) 폐 그래픽과 함께 결절이 생긴 부위를 직접 표시한다. 결절의 위치와 크기 정보도 자세히 제공해 환자가 자신의 몸에 생긴 이상을 일목요연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코어라인 관계자는 "폐암 검진을 비롯한 건강 검진 결과는 종종 환자에게 불안감을 일으킬 수 있다"며 "환자 본인이 이해하기 쉽고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결과지를 구성하는 것은 제품의 중요한 경쟁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 의료 AI 기업들이 국내외에서 영역을 넓혀나가기 위해선 이들 기업의 성장을 위한 선순환 구조가 구축돼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AI 솔루션을 고도화하기 위해 국내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의료정보데이터의 안전한 운용 체계가 마련되고 연구개발(R&D) 투자의 디딤돌이 될 수가 책정 등 앞으로 풀어나갈 문제가 많다는 이야기다.

흉부질환 분야의 권위있는 학술단체인 플라이슈너 소사이어티의 회장인 구진모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는 "국내 의료 AI 산업은 불과 10년 정도만에 국제 무대에서 선두그룹을 차지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했다"며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R&D 투자를 위한 수익 창출 주기가 안정적으로 자리잡아야 하는데, 규제나 제도적인 측면에서 도움을 준다면 산업 인프라가 훨씬 빠르게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