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흑백요리사’와 게임의 알레고리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가 시청자들의 관심 속에 마무리됐다. 시청각적 정보만 있는 영상매체가 후각과 미각을 다루는 요리 콘텐츠를 내놓는 것은 큰 용기와 전략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요리사의 ‘쇼’와 ‘사연’이 요리 예능의 중심 메뉴처럼 다뤄질 때가 많다. 하지만 <흑백요리사>는 그런 유혹을 비켜갔다.
<흑백요리사>는 대한민국발 OTT 콘텐츠가 세계시장에서 성공하는 것이 ‘게임의 알레고리’(allegory)화에 있음을 일깨웠다. 실제로 성공한 한국의 OTT 콘텐츠 대다수는 게임 형태로 제작됐다. <흑백요리사>는 <오징어게임>에서 시작한 게임의 알레고리를 예능으로 확장한 것이다. 또 다른 넷플릭스 예능 <피지컬100>도 마찬가지였다. <킹덤> <지옥> <지금 우리 학교는> 등 드라마들 역시 게임을 알레고리화한 서사라고 할 수 있다.
게임의 알레고리란 게임의 논리를 차용해 어떤 콘텐츠의 전체 서사를 완성하는 것을 말한다. 알레고리적 서술은 풀어내고자 하는 서사를 직접적인 사회·역사적 맥락에서가 아니라 보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어떤 조건으로 ‘바꾸어’ 서술하는 방식이다. 그 목적은 어떤 문화가 국경이나 문화권을 넘어설 때 발생하는 문화적 할인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은 인간의 성향이나 성격을 동물 모습으로 우화하여 남녀노소 누구라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은 각 인물의 거주 공간, 이동선, 직업, 삶의 태도 등으로부터 현대 사회에서 계급의 작동을 기생충의 알레고리로 표현한다.
알레고리는 두 개의 가치관이 중첩되는 상황일 때 자주 활용된다. 그런 점에서 국경 너머로 서비스되는 OTT에 알레고리를 적용하는 것은 현명한 판단이다. 게임화가 이뤄지면 낯선 얼굴이 게임 속 캐릭터처럼 돼 문화소비의 진입장벽을 허물기 때문이다. <오징어게임>에서 게임 참가자들과 진행자들에게 추리닝과 제복을 입히고, 마스크를 씌운 것은 영리한 선택이다. 규격화·표준화된 세트장은 그곳이 게임 속 세계임을 암시하면서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펼쳐질 것을 약속한다.
<흑백요리사>는 서바이벌 포맷에 플롯을 성공적으로 얹음으로써 게임화의 지평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 그래서 예능이지만 다큐멘터리 같고, 드라마 같다. 그런데 100명의 요리사 중 누가 살아남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어떻게 그것이 가능했을까? 그것은 스토리와 캐릭터를 뽑아내는 후반기 작업에 많은 공을 들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선 인물들의 표정과 대사를 놓치지 않는 저인망식 촬영과 충분한 편집시간이 보장돼야 한다. 지난 1월 슈팅에 들어갔음에도 9개월여의 시간이 필요했던 이유다.
<흑백요리사>의 서사를 완성시킨 마지막 비밀은 백종원과 안성재 두 사람이 보여준 평가 능력이다. 분명히 충돌이 일어났을 두 사람의 판단이 경연 서사 안에 매끄럽게 스며들었다. 역시나 꼼꼼한 후반기 작업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대한민국발 OTT 오리지널 콘텐츠가 게임적 요소를 많이 활용하는 것은 신세대 창작자들의 성향이 반영된 이유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OTT 제작자들이 게임과 서사가 융합된 새로운 문화관습을 개척한 것은 분명 주목해야 할 성과다.
임종수 세종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도 부정선거라 생각했다”···현장 보고 신뢰 회복한 사람들
- 국힘 박상수 “나경원 뭐가 무서웠나···시위대 예의 있고 적대적이지도 않았다”
- 늙으면 왜, ‘참견쟁이’가 될까
-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이사장 해임 “모두 이유 없다”…권태선·남영진 해임무효 판결문 살펴
- 내란의 밤, 숨겨진 진실의 퍼즐 맞춰라
- ‘우리 동네 광장’을 지킨 딸들
- 대통령이 사과해야 되는 거 아니에요? 사과해요, 나한테
- 독일 크리스마스 마켓에 차량 돌진…70명 사상
- [설명할경향]검찰이 경찰을 압수수색?···국조본·특수단·공조본·특수본이 다 뭔데?
- 경찰, 경기 안산 점집서 ‘비상계엄 모의’ 혐의 노상원 수첩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