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POINT] '노벨문학상 콤플렉스' 날려버린 한강

김유태 기자(ink@mk.co.kr) 2024. 10. 11. 17: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기사를 밤늦게 송고하고, 11일 자정 넘어 퇴근해 가장 먼저 펼쳐본 책은 유디트 샬란스키의 2018년 저서 '잃어버린 것들의 목록'이었다.

한강 작가가 서면 인터뷰에서 "최근까지 읽은, 지금 탁자에 놓인 책"이라고 언급한 그 책이었다.

'쓰는 행위'의 결과인 책을 읽으며 '읽는 행위'에 동참할 것, 낯선 작가의 책을 읽으며 그 안의 정신에 자아를 접속시킬 것.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韓문학 깊이 확인한 낭보
이제 독자가 화답할 시간
작가의 고통이 잉태한 책
첫장 넘기는데 동참해야
문단이 더 풍요로워질 것

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기사를 밤늦게 송고하고, 11일 자정 넘어 퇴근해 가장 먼저 펼쳐본 책은 유디트 샬란스키의 2018년 저서 '잃어버린 것들의 목록'이었다. 한강 작가가 서면 인터뷰에서 "최근까지 읽은, 지금 탁자에 놓인 책"이라고 언급한 그 책이었다. 관련기사 A4·5·21면

소멸과 기억에 관한 1980년생 독일 젊은 작가의 최근작인 이 책의 한 문장에 고요히 밑줄을 그었다. "쓰는 행위를 통해 아무것도 되찾을 수 없다 해도, 모든 것을 경험 가능한 것으로 만들 수는 있다."

삶은 상실을 경험하는 일이라고 저자 샬란스키는 말한다. 한강이 아껴 읽은 이 책에 따르면 상실에 저항하는 강력한 대안은 '쓰고 읽는' 행위다.

한강은 30년 전인 1994년 등단작 '붉은 닻'에서 소멸과 기억의 세계관을 예고했고, 역사성과 지역성으로 문학세계를 확장하며 유실되거나 망각된 인간들의 상처를 어루만지는 문학을 추구해왔다. '쓰고 읽기, 읽고 쓰기.' 그건 타자의 상처에 자신의 경험을 접촉하며 서로를 포옹하고 부축하는 일이다. 한강 문학 핵심이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현실은 어떤가. 우리는 지금 밀란 쿤데라, 무라카미 하루키도 달성하지 못한 놀라운 사건의 공동 목격자다. 이날 개점 시간에 맞춰 교보문고 광화문점으로 '출근'해보니 정문 방향 매대에 100여 명의 방문객이 한강 책을 사려고 오픈런 중이었다. 거대 카트에 실려온 수백 권의 한강 책은 플라스틱 노끈을 가위로 자름과 동시에 팔려나갔다. 그 시각, 언론사 카메라와 남녀노소 행인들이 운집한 '노벨상 매대' 앞과 달리, 다른 책들 코너는 여백처럼 텅 비어 있었다. 저 대조적 풍경은 뭘 말해줄까.

결코 인정하기 싫더라도, 모두는 내심 '노벨문학상 콤플렉스'에 시달려왔다. 일본은 차고 넘치고, 중국도 받았는데 왜 우리는 안되는가라는 억울한 질문. 첫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사이에 낙차(落差)가 없음을 증명하는 기념비적인 변곡점'으로 기록될 것이다.

1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책마당 행사장에 전날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 한강의 작품집이 진열돼 있다. 뉴스1

 우리가 유럽과 미주를 우러러보며 변방 탈출을 희구하던 시간은 지났다. 이제 온 세계가 한국문학을 쳐다보는 상황이 됐다.

 그사이, 우리는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국가대표 소설가'가 따낸 올림픽 금메달로 오독하는 건 아닐까. 이제 독자인 우리가 할 일은 명확하다. 한국문학의 자산이 이미 충분함을 인지하고, 작가들이 고통 속에서 잉태한 책의 첫 장을 홀로 펼치는 일 말이다. '쓰는 행위'의 결과인 책을 읽으며 '읽는 행위'에 동참할 것, 낯선 작가의 책을 읽으며 그 안의 정신에 자아를 접속시킬 것.

 왜 그런가. 책에 담긴 본질적인 동요와 불안은, 타자의 것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매시간 느끼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그 공감이 세계를 구성한다. 그런 점에서 독서란 종이와 잉크로 만들어진 거울이다. 책에 생명을 불어넣는 건 독자이고(망구엘), 독서는 '나'라는 껍질을 깨뜨린다(C S 루이스). 언어의 장벽에 가려졌을 뿐 한국문학의 정신이 좁거나 얕지 않았음을 모두가 깨달았다. 저 깨달음이 이번 노벨상 수상의 유산이어야 한다. 두 번째 노벨상의 실루엣은 그때쯤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노벨문학상 한강 매경 단독인터뷰

[김유태 문화스포츠부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