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사업 매출 10조로" LG전자, EV충전·의료용 모니터 '정조준' [biz-플러스]
EV충전사업 내년 라인업 강화
2030년 美서 점유율 8% 목표
유럽·아시아로 해외진출 확대
의료용 모니터 5년내 '톱3'로
사이니지 매출 매년 2배 증가
LG전자(066570)가 기업간거래(B2B) 사업 육성을 위해 비즈니스솔루션(BS)사업본부 매출을 2030년까지 10조 원으로 키우기로 했다. 정보기술(IT) 기기 제품과 사이니지 등 기존 캐시카우(현금 창출원) 사업에서는 인공지능(AI) 기반 솔루션을 보강해 신규 사업 기회를 발굴하는 동시에 전기차 충전기와 의료용 모니터 등 유망 신사업 육성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장익환 LG전자 BS사업본부장(부사장)은 지난 10일 경기도 평택시 LG디지털파크에서 진행한 B2B 사업 비전 설명회에서 “사업본부 전체 매출을 2030년까지 현재의 2배 수준으로 키울 것”이라며 “ID와 IT 사업을 합쳐 8조 원, 솔루션 위주의 논하드웨어와 신사업이 각각 1조 원씩 매출을 내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BS사업본부의 지난해 매출은 5조 4120억 원이다.
LG전자는 8월 인베스터 포럼을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 혁신을 위한 4대 전략의 일환으로 2030년까지 B2B 사업 비중을 45%까지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청사진의 일환으로 BS사업본부의 성장 전략을 공개한 것이다. BS사업본부는 호텔과 기업·학교 등 버티컬(특정 고객군)별 상업용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모니터와 노트북 등 IT 사업, 전기차 충전기, 상업용 로봇까지 주요 B2B 사업을 다수 맡고 있다.
장 부사장은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전기차 충전기와 의료용 모니터 사업을 내세웠다. 전기차 충전기 사업은 2030년까지 미국 급속충전기 시장에서 8% 점유율을 확보해 차세대 유니콘 사업(연매출 1조 원)으로 키우는 것이 목표다. 최근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으로 전기차 시장이 주춤하는 상황이지만 후발 주자로서는 오히려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장 부사장은 “전기차 인프라가 없는 상태에서 시장이 확산되는 데 한계가 왔다”며 “후발 주자로서 현재 상황이 그렇게 나쁠 건 없고 오히려 시간을 벌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말까지는 제품 라인업을 보강하고 북미 중심 사업을 서서히 유럽과 아시아까지 확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LG전자는 연내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한 350㎾(킬로와트) 초급속충전기 생산에 더해 유럽향 30㎾·7㎾급 완속충전기 2종 출시를 앞두고 있다. 올 초 텍사스에 충전기 생산 거점을 구축한 데 이어 최근 평택 디지털파크에는 전기차 충전기 전 제품의 화재 전압, 주파수 변환 안정성 등을 검증할 수 있는 실차 시험소도 설치했다.
수요가 정체된 IT 사업에서는 의료용 모니터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해 5년 내 글로벌 ‘톱3’ 업체 진입을 노린다. 북미와 유럽에서는 X레이·내시경 검사 시 의료용 모니터를 사용하도록 법으로 제한하고 있어 향후 꾸준한 수요 창출이 기대된다. LG전자는 임상용·진단용·수술용 등 총 14종의 의료용 모니터와 6종의 디지털 X레이 검출기(DXD)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사이니지 사업의 경우 소프트웨어(SW)와 공간별 맞춤 솔루션으로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계획이다. 특히 미래 디스플레이로 손꼽히는 마이크로 LED 사이니지 ‘LG 매그니트’의 경우 2020년부터 매년 매출이 2배 가깝게 상승했다.
장 부사장은 “기존 LG전자가 가진 디바이스 장점에 AI 역량을 합치면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봤다”며 “현재 IT 사업은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비중이 높은데 향후 의료용·기내용 모니터 등 B2B에 집중해 안정적인 수익을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사업을 중심으로 한 추가적인 인수합병(M&A) 가능성도 내비쳤다. 장 부사장은 “M&A를 추가적으로 하게 된다면 신사업 영역에서 할 것”이라며 “사업 전개 과정에서 M&A를 먼저 할 것인지, 역량을 좀 더 쌓아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 식으로 진행할지는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했다. 최근 LG디스플레이의 중국 광저우 공장 매각으로 인한 액정표시장치(LCD) 공급망 변동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기존 계약 분에 대해서는 사업이 이관되더라도 의무 조항을 넣어 유지하려고 한다”며 “중국 업체들이 LCD 가격에 맞춰 가동률 조정을 하고 있어 우려는 되지만 대만 업체를 비롯한 공급망 다변화 통해 장기적으로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왕따 논란' 뉴진스 하니 '국감 혼자 나가겠다…스스로와 멤버 위해서'
- 최태원 회장 차녀 예비 신랑은 누구?…美 해병대 출신 '이웃집 인연'
- '한강·에우로파' 노벨위원회 공식 SNS에 한강 작가·작품명 한글 표기
- '오스틴 3점포' LG, KT에 6-5 승리…PO 진출 확률 100% 선점
- 연예인들 사는 '초고가' 고급 주택, 취득세 중과 피한 이유는
- '이중·삼중 주차는 기본' 서울 주택가 '주차난' 가장 심한 곳은
- 원로배우 이순재, 건강상 문제로 연극 공연 취소
- “이강인의 국가, 한글날 축하해요”…PSG가 만든 기념 유니폼 뭐길래
- ‘성범죄 피소’ NCT 태일, 알고보니 '특수준강간' 혐의…지인 2명과 집단 범행
- 박신양 처가 기업, 한국하겐다즈 '무슨 일'…사상 최대 매출 '잭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