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상 이어 화학상도 AI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구글 과학자’ 허사비스·점퍼
알파고 활용해 단백질 구조 규명
베이커, 새로운 단백질 종류 개발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의 영예는 몸속 필수 성분인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한 연구자 3명에게 돌아갔다. 수상자에는 세계 인공지능(AI)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가 포함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9일(현지시간)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시애틀캠퍼스 교수(62)와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48), 존 점퍼 구글 딥마인드 수석과학자(39)를 올해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베이커는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단백질을 만들었다.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생명체를 구성하는 핵심 성분인 20가지 아미노산으로 구성돼 있다. 2003년 베이커는 아미노산들을 조합해 기존 단백질과 성질이 다른 새로운 단백질을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 베이커는 이 성과를 바탕으로 백신과 나노 소재 제작 등에 이용할 수 있는 단백질을 만들었다.
허사비스와 점퍼는 단백질 연구를 AI 영역으로 끌어들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운 수많은 단백질 구조를 AI를 통해 예측하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다. 이때 동원한 수단이 2020년 선보인 ‘알파폴드2’라는 AI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약 2억개의 단백질 구조를 예측할 수 있었다. 기존에 알려진 거의 모든 단백질 구조를 규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970년대부터 과학계에서는 단백질 구조 예측을 시도했지만, 성과를 얻지 못했다. 50여년 동안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AI가 단 4년 만에 푼 것이다.
노벨위원회는 “이제 항생제가 어떤 내성을 가질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됐다”며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물질을 만들어낼 가능성도 커졌다”고 전했다.
석차옥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수년 전 구글은 이세돌 9단과 대국한 AI(알파고)를 개발했다”며 “이후 구글이 과학 연구에 AI를 활용하기로 결정한 뒤 나온 결과물이 바로 알파폴드”라고 말했다. 석 교수는 “이번 수상자들의 연구는 단백질 연구라는 틀을 이용해 특정 질병이 아니라 모든 질병에 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바이오 연구와 신약 개발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AI는 전날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존 홉필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91)와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77)의 연구 주제이기도 하다. 이들은 인간의 뇌 속 뉴런을 흉내 낸 인공 신경망으로 머신러닝(기계학습)을 가능하게 한 기초 연구 공로를 인정받았다. 보수적인 기풍을 가진 노벨위원회가 최신 유행이라고 할 만한 AI 때문에 부는 과학계의 변화를 수용해 물리학상과 화학상 수상자를 선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베이커는 1962년 미국 시애틀에서 태어났다. 허사비스는 1976년 영국 런던, 점퍼는 1985년 미국 리틀록에서 출생했다. 수상자들은 총 상금 1100만크로나(약 14억2800만원)를 나눠 갖는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도 부정선거라 생각했다”···현장 보고 신뢰 회복한 사람들
- 국힘 박상수 “나경원 뭐가 무서웠나···시위대 예의 있고 적대적이지도 않았다”
- 늙으면 왜, ‘참견쟁이’가 될까
-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이사장 해임 “모두 이유 없다”…권태선·남영진 해임무효 판결문 살펴
- 내란의 밤, 숨겨진 진실의 퍼즐 맞춰라
- ‘우리 동네 광장’을 지킨 딸들
- 대통령이 사과해야 되는 거 아니에요? 사과해요, 나한테
- 독일 크리스마스 마켓에 차량 돌진…70명 사상
- [설명할경향]검찰이 경찰을 압수수색?···국조본·특수단·공조본·특수본이 다 뭔데?
- 경찰, 경기 안산 점집서 ‘비상계엄 모의’ 혐의 노상원 수첩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