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SE 관찰대상국 지정 피했다…악재 덜어낸 韓증시, 반등할까

김진석 기자 2024. 10. 9. 14: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증시가 큰 고비로 여겨졌던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의 '관찰대상국' 지정을 면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상무는 "관찰대상국 지정만 가지고 국내 시장 자금 유출입에 지대한 영향이 있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이번 FTSE 결정에 따라 외국계 투자자의 투자심리에는 분명히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사진=뉴시스


국내 증시가 큰 고비로 여겨졌던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의 '관찰대상국' 지정을 면했다. 가뜩이나 침체한 시장에 부담을 더할 것으로 예상됐던 악재를 피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간 시장에서는 공매도 금지를 근거로 강등 가능성을 높게 봤다. 이러한 우려를 뚫고 선진시장 지위를 지켜낸 만큼 증시 반등의 계기가 될 지 이목이 쏠린다.

지난 8일(현지시간) FTSE 러셀은 하반기 정례 시장 분류에서 한국 주식시장을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하지 않았다. FTSE 러셀은 지난 2009년부터 한국을 '선진시장'으로 분류하고 이를 유지해왔는데, 최근 시장에서는 15년 만의 강등을 전망했다. 관찰대상국으로의 강등이 현실화되면 FTSE 지수를 추종하는 유럽과 홍콩 등 외국계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어 대형 악재다.

관찰대상국 지정 가능성을 키워온 건 정부의 '공매도 금지' 조처다. 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를 전면 금지했다. FTSE 러셀은 한시적 공매도 금지 조처가 시행된 2020년 3월 당시 금융위원회에 '공매도 금지가 유지될 경우 선진국 지수에서 제외할 수 있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낸 바 있다. 이번 발표에서도 관찰대상국 지정은 없었지만, 공매도 문제를 다시 꼬집었다.

FTSE 러셀은 "(공매도) 금지 조치는 국제투자 커뮤니티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며 "차입 메커니즘의 효율성을 낮추고 유동성과 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다음해 4월 정례 시장 분류에 앞서 공매도 문제가 해소되지 않으면 지위를 박탈할 수 있다는 경고를 보낸 셈이다. 정부가 내년 3월 공매도 재개를 예고한 가운데 계획대로 이행될지 지켜봐야 한다.

코스피지수 추이/그래픽=김현정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6.02포인트(0.61%) 내린 2594.36을 기록했다. 지난 7월 한때 2896.43까지 올라 2900선 돌파를 시도했던 것과 비교하면 부진한 흐름이다. 최근 한 달간 국내 증시에서는 외국인 자금이 6조5000억원 넘게 이탈하면서 지수에 강한 부담을 가했다. 두 달 기준으로는 9조6000억원에 달하는 매물을 쏟아냈다.

FTSE 지수 관련 민감도가 외국계 자금 유입에 악재로 반영됐다는 분석도 있다. FTSE 러셀의 발표 전,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FTSE 지수와 관련해서는 최근 외국인 수급 민감도가 높아진 상황"이라며 "관찰대상국 지정 시 하방 충격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 주식시장은 관찰대상국 지정이라는 악재를 피했다. 하방 요인이 일부 해소된 만큼 고전 중인 증시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주목된다. 투자업계에서는 국내 주식시장이 선진시장 지위를 지켜낸 것을 긍정적 모멘텀(상승 동력)으로 평가한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상무는 "관찰대상국 지정만 가지고 국내 시장 자금 유출입에 지대한 영향이 있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이번 FTSE 결정에 따라 외국계 투자자의 투자심리에는 분명히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공매도 문제가 해소되지 않으면 부담이 재차 반복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서 상무는 "공매도 재개 등 국제 선진지수 기준에 부합할 만한 요건을 온전히 갖추지 못하고 있는 점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라고 언급했다.

김진석 기자 wls7421@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