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물리학상 받은 AI, 어떻게 '이미 와 있는 미래'가 됐나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2024. 10. 9. 14:2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익현의 미디어 읽기] 존 홉필드-제프리 힌튼의 노벨물리학상 수상 의미

(지디넷코리아=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올해 노벨물리학상은 인공지능(AI)에게 돌아갔습니다. 이렇게만 쓰면 오해를 하겠네요. 요즘 화제의 중심에 있는 AI의 핵심 기술을 개발한 두 과학자들이 받았습니다.

‘AI 대부’로 꼽히는 제프리 힌튼 토론토대학 교수와 ‘홉필드 네트워크’로 AI 연구의 기반을 닦은 존 홉필드 프린스턴대학 교수가 영광의 주인공입니다.

제프리 힌튼은 ‘홉필트 네트워크’를 토대로 ‘볼츠만 머신’을 고안했습니다. ‘볼츠만 머신’은 딥러닝의 이론적 토대가 되면서 생성형 AI를 비롯한 많은 기술 발전의 불쏘시개 역할을 해냈습니다. 제프리 힌튼이 ‘AI 4대 천황’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건 이런 기여 때문입니다.

노벨물리학상 위원회는 “두 분의 연구는 지금의 폭발적인 머신러닝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고 했습니다.

노벨상위원회가 존 홉필드와 제프리 힌튼의 노벨물리학상 수상 사실을 공식 발표하는 장면. (사진=노벨상위원회)

■ "인공신경망 발견은 물리학 첨단 연구에 적극 활용"

두 분의 연구 업적만 보면, 물리학상 수상자로 손색이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AI 분야 연구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는 점에 대해선 놀라는 분위기가 적지 않습니다. "벌써 노벨상을 받을 때가 됐나"라거나, "AI가 물리학 분야에 속하는가"라고 반문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노벨물리학상을 주관하는 스웨덴 왕립과학한림원도 이런 부분이 신경 쓰였나 봅니다.

엘런 문스 노벨물리학상 위원장은 “AI가 노벨물리학상의 두드러진 경쟁자로 보이지 않을 수는 있다”고 운을 떼면서 홉필드와 힌튼을 수상자로 선정한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학습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의 발견과 응용은 물리학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입자물리학, 천체물리학, 재료과학을 비롯한 다양한 물리학 분야의 첨단 연구에 활용돼 왔습니다. 이를 통해 얼굴인식과 언어 번역 등 우리 일상 생활의 한 부분이 됐습니다.”

엘렌 문스 노벨물리학상 위원장이 홉필드와 힌튼의 수상 이유를 설명하는 장면. (사진=노벨상위원회 영상 캡처)

제프리 힌튼 등이 왜 노벨물리학상을 받게 됐는지 잘 설명해주고 있지요? 이런 설명을 통해 노벨물리학상위원회의 이번 결정이 성급하거나, 시류 영합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을 분명하고 하고 있습니다.

생성형 AI를 비롯한 다양한 AI 서비스가 물리학의 중요한 결과물일 뿐 아니라, 첨단 기술이 일상 생활 속으로 스며 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 점을 노벨물리학상위원회가 제대로 인증해줬다는 점에서 제프리 힌튼 등의 수상이 예사롭지 않게 다가옵니다. 

홀트만과 힐튼의 연구는 요즘 관심이 집중된 생성형 AI의 뿌리나 다름 없습니다. 두 연구자의 노벨물리학상 수상 소식에 많이 흥분했던 건 그 때문입니다.

전 복잡한 AI 기술에 대해선 잘 모릅니다. 하지만 AI가 우리들의 삶과 비즈니스를 근본부터 바꿔놓을 것이란 점에 대해선 의심하지 않습니다.

물론 머리로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몸으로 느끼는 건 다를 겁니다. 우리 대부분은 학자나 기술자가 아니라, 일반적인 생활인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올해 노벨물리학상위원회의 선택이 강하게 와 닿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우리 곁에 이미 와 있는 미래, 눈으로 확인하려면 

그런 분들에게 의미 있는 행사를 하나 소개합니다.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 동안 코엑스에서 열리는 ‘디지털혁신 페스타 2024(DINNO 2024)’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가 주관하는 행사입니다. (☞ 디노 2024 페이지 바로 가기)

올해 주제는 'AI On, Future Here’ 입니다. ‘AI는 이미 와 있는 미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AI를 비롯해 양자, 바이오 등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핵심 기술들의 현재와 미래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행사입니다.

그 뿐 아닙니다. 클라우드, 빅데이터, 디지털헬스케어, 모빌리티, 로봇, 보안, 엔터테크 등 미래 혁신을 주도할 디지털 신기술들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선 150여 업체가 350여 부스를 마련했습니다. AI·양자·디지털헬스케어·SaaS(인터넷으로 제공하는 SW)·스타트업과 관련한 전문 컨퍼런스도 의미 있는 볼거리입니다.

컨퍼런스의 핵심 주제도 AI입니다. 특히 ‘AI Inside AI Everywhere’를 주제로 열리는 ‘퓨처테크 컨퍼런스’는 이미 우리 앞에 와 있는 미래 혁신의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첫째날은 ‘AI, 비즈니스를 바꾸다’는 주제로 첨단 AI 혁명의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둘째날은 ‘AI 일상을 바꾸다’는 주제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엔터테크와 첨단 로봇 분야를 집중 조명할 예정입니다.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널리 퍼져 있지 않을 뿐이다.(The future is already here. It‘s just unevenly distributed)”

사이버스페이스란 말을 처음 사용한 미국의 SF 소설가 윌리엄 깁슨이 2003년 이코노미스트와 인터뷰에서 한 말입니다. 그냥 들으면 이 말이 무슨 의미인지 잘 와 닿지 않을 지도 모릅니다.

이렇게 비유하면 어떨까요?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두 분의 연구는 ‘먼 미래’의 설계도였습니다. 많은 과학, 기술자들이 그 설계도를 기반으로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를 만들어나갔습니다.

그 결과물이 여러분이 ‘디노 2024’에서 만나게 될 각종 서비스와 제품들입니다. ‘AI On, Future Here’란 슬로건에는 이런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두 AI 연구자의 노벨물리학상 수상에 관심이 있는 많은 분들을 ‘디노2024’로 초대합니다. ‘우리 곁에 와 있는 미래’를 직접 접하는 기쁨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합니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