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리스크 치솟은 원유 ETF···계속 달릴 수 있을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동발 위기로 촉발된 국제 유가 상승세가 원유 ETF로 번지고 있다.
하지만 이스라엘의 이란 보복이 석유 시설이 아닌 군사정보 시설로 한정될 수 있다는 관측에 국제유가 상승폭이 제한적일 거란 전망도 나온다.
윤용식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다행히 지난 5일 바이든 대통령이 이란의 원유설비 공격을 만류하고 있음을 시사하자 유가 상승 폭은 제한되었지만 향후 전쟁의 양상에 따라 추가 상승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유가 상승세 한풀 꺽였지만
원유ETF 일주일 새 10%대 올라
석유 생산능력 충분하다는 시각도
하지만 이스라엘의 이란 보복이 석유 시설이 아닌 군사정보 시설로 한정될 수 있다는 관측에 국제유가 상승폭이 제한적일 거란 전망도 나온다.
국제유가는 지난 1일 이란이 이스라엘을 향한 탄도미사일 공격을 감행한 이후 큰 폭으로 올랐다.
지난주 서부텍사스산원유(WTI)와 브렌트유는 각각 9%, 8% 이상 오르며 1년여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이스라엘이 이란의 석유 생산 시설 등을 겨냥한 보복에 나서면 석유 공급 차질로 이어질 거란 우려가 시장에 퍼졌기 때문이다.
중동은 세계 원유 시장에서 전체 공급량 3분의 1가량을 책임진다. 특히 이란은 지난달 하루 330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할 만큼 주요국이다.
치솟은 유가를 잠재운 건 이스라엘의 공격이 이란 석유시설을 겨냥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었다.
미국 정부 관계자가 석유 생산시설이 아닌 군사시설과 정보시설을 공격할 것으로 예상했다는 소식이 이스라엘 언론인 예루살렘포스트 등을 통해 보도되면서 8일(현지시간) 국제유가는 급락했다.
이날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1월 인도분 가격은 전일 대비 4.6% 폭락한 배럴당 73.57달러를 기록했다.
전날까지 5거래일간 13% 넘게 급등한 흐름에서 벗어나 하루 만에 곤두박질쳤다. 브렌트유 선물도 전일 대비 3.75% 떨어진 배럴당 77.18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최근 급등한 유가는 국내 원유 ETF 가격에 반영돼 있다.
8일 종가 기준 ETF 상품 중 KODEX WTI원유선물(H)와 TIGER 원유선물Enhanced(H)는 지난 30일보다 각각 10.98%, 10.59% 올랐다.
글로벌 주요 석유기업에 투자하는 상품도 뛰었다. 같은 기간 RISE 미국S&P원유생산기업(합성 H)는 8.99% 올랐으며 KOSEF 미국원유에너지기업(10.17%) 역시 상승 폭이 컸다.
향후 이스라엘의 선택에 따라 유가는 요동칠 수 있다.
윤용식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다행히 지난 5일 바이든 대통령이 이란의 원유설비 공격을 만류하고 있음을 시사하자 유가 상승 폭은 제한되었지만 향후 전쟁의 양상에 따라 추가 상승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석유시설 직접 타격이다.
이란 석유 시설이 초토화되면 하루 최대 150만 배럴 이상의 원유 수출이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란이 일일 원유 물동량이 2100만 배럴에 달하는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이란의 원유 수출량 중 90% 이상이 중국으로 향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스라엘의 전면 공격 실현 가능성은 작다고 윤 연구원은 전망했다.
소규모 공격만 해도 원유 수출에 지장이 생긴다.
씨티은행은 소규모 수출항을 공격하더라도 하루 45만 배럴의 원유 생산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예상해 이 역시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루 42만 9000배럴의 생산능력을 갖춘 정제설비만을 향한 공격도 가능하다. 원유 생산과 수출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이란 내수용 휘발유 생산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낮아진 석유시설 타격 가능성과 함께 산유국들의 잉여 석유 생산능력도 유가 급등론을 잠재우는 요인이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국가와 비OPEC 산유국들로 이뤄진 OPEC 플러스(OPEC+) 회원국들의 석유 생산능력이 견고하다는 해석이다.
윤 연구원은 “지난 2년간의 감산 덕분에 증가한 OPEC+의 잉여 석유 생산능력은 유가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는데 현재도 하루 500만 배럴 이상의 잉여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우리랑 수교 맺지 않았나?... 다시 러시아 편에 서겠단 이 나라 - 매일경제
- 오늘의 운세 2024년 10월 9일 水(음력 9월 7일) - 매일경제
- 한국인이 뽑은 2024 전 세계 만족도 ‘최하위’ 여행지 [여행가중계] - 매일경제
- “이번 생 죄다 망한 것만은 아닌 듯”...고영욱, 지드래곤과 찍은 사진 올린 이유는 - 매일경제
- “내가 죽겠는데 애들이 뭔 소용이냐”...스스로 담임 포기하는 초등교사들 - 매일경제
- KAIST·성균관대 약진…국내대학 9곳 순위 올랐다 - 매일경제
- 문다혜 음주운전에 조국이 한 말...“조사받고 처벌받아야, 文책임은 과해” - 매일경제
- “성관계 장면 영화를 아이와 보게 만들다니”...비행기서 ‘강제시청’했다는데 무슨 일 - 매일
- “식대가 8만원인데 축의금 5만원?”...눈치보여 못가겠단 하객, 예비부부도 난감 - 매일경제
- 삼성이 오승환 없이 가을야구를 한다니…불혹의 8000만원 방출생은 살아남을까, 내일 청백전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