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장관 “국민연금 개혁시 세대간 보험료 역전 없도록 특례 검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민연금 개혁 과정에서 세대별 보험료 역전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특례를 적용하는 등 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 장관은 오늘(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 속도를 세대별로 차등 적용하는 안을 그대로 시행할 경우, 세대의 경계 구간에 있는 연령에서 한 살 차이로 과도한 추가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민연금 개혁 과정에서 세대별 보험료 역전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특례를 적용하는 등 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 장관은 오늘(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 속도를 세대별로 차등 적용하는 안을 그대로 시행할 경우, 세대의 경계 구간에 있는 연령에서 한 살 차이로 과도한 추가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앞서 정부가 발표한 연금개혁 추진계획에는 보험료율을 기존 9%에서 13%로 올리되, 세대별로 인상 속도를 달리 적용하는 방안이 담겼습니다.
내년에 50대인 가입자는 매년 1%포인트, 40대는 0.5%포인트, 30대는 0.33%포인트, 20대는 0.25%포인트 올리는 방식입니다.
다만 이렇게 되면 40대와 50대를 가르는 1975년생과 1976년생 등 경계에 있는 세대는 한 살 차이로 더 많은 보험료를 부담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예를 들어 1975년생은 한 살 어린 1976년생보다 보험료 144만 원을 추가로 더 부담해야 하는 식입니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정부가 제시한 대로 세대별 차등 부과를 하면 1년 차이로 인해, 뒤 세대보다 추가 보험료를 더 많이 납부하는 역전 현상이 발생한다”며 “이런 억울한 사례는 1975년생, 1985년생, 1995년생에게 생기는데, 과연 이들에게도 공평한 세대 간 차등 부과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조 장관은 김 의원의 지적에 공감하며 특례 적용 등을 검토해 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조 장관은 “저희가 계산해 보니 4개 연도에 걸쳐서 이렇게 보험료 역전 현상이 일어난다”며 “특례를 적용해 보험료 인상이 바로 뒤 세대를 넘지 않도록 하겠다”고 답했습니다.
김 의원은 인구 구조나 경제 상황에 따라 보험료율과 연금액 등을 조정하는 ‘자동조정장치’ 도입 시 현 20∼50대의 연금 급여액이 현행보다 총 7천만 원 넘게 줄어들 수 있다고도 지적했습니다.
이에 조 장관은 김 의원의 계산이 맞다면서도 “자동조정장치 발동 시기나 기대여명 증가, 가입률 감소 등에 따라 어느 시기에 발동할 것인지 제도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단독] ‘한동훈 공격사주 의혹’ 김대남을 만났다
- “이제, 이 차는 제 겁니다”…야 의원, 국감장서 장관 관용차 ‘당근’ 매물로
- [단독] ‘비전문가 논란’ 코이카 이사, 직전 경력은 주24시간 통번역…코이카, 자료제출 거부
- “왜 우리 지역에 댐을 짓나요”… 선정 근거 ‘미공개’ 이유는?
- “갑자기 차로 바꾸다 택시와 쿵”…문다혜 씨 사고 당시 CCTV 보니
- ‘역주행’도 불사…음주차량 ‘위험천만’ 도주극
- [경제 핫 클립] K-전투기 수출, 다 좋은데 배송은 어떻게?
- 신선식품 대신 반찬 구입…5060도 반찬가게 몰린다
- [경제 핫 클립] 친구 초대하면 3만 원…이것은 앱테크인가 다단계인가
- [경제 핫 클립] 서울 폐교를 실버타운으로…건설업계도 ‘군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