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과학기술 선도국가, 지역대학 R&D 투자가 출발점이다
지역 소멸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혁신’이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지역혁신의 원동력이 되는 요소는 다양한데, 이 중에서도 ‘연구’는 빠질 수 없는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 지역대학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는 지역대학의 발전 및 연구 성과 창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 내 주요 혁신 주체가 속한 연구생태계 발전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지역 산업·고용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통해 지역경제 및 지역사회에까지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
그런데, 올해 상당수 이공계 연구자가 소속·지역을 불문하고 연구비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과확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 지원 기초연구 신규 과제 수가 줄었고, 교육부가 지역 우수과학자를 지원하던 사업마저도 신규 과제가 미편성됐다. 하지만 내년에는 좀 나아질 것 같다. 과기부는 8월 말 내년도 R&D 예산을 올해 26조5000억원 대비 11.8% 증가한 29조7000억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특히 기초연구는 2조94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책정했다고 하니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교육부도 신규 사업을 신설하고 기존 사업을 확대·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라고 한다.
새로운 사업도 눈에 띈다. 우선 대학부설연구소를 지원하는 글로컬랩(Glocal Lab) 사업은 지역 발전을 선도하는 연구를 하면서 동시에 연구소의 자율적 연구도 함께 지원하는 형태가 될 전망이다. 지역 발전을 선도할 기초 R&D를 지원하는 것과 동시에 대학연구소에서 자율적으로 보호 학문 연구, 학제 간 융합연구 등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부산대의 경우 특성화된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대학중점연구소 2곳을 운영하고 있다.
글로컬랩 사업은 이 같은 대학중점연구소의 맥을 이으면서 동시에 지역 기반 R&D를 바탕으로 지역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 발전을 선도하고, 연구소의 자율성을 강화하는 등 한층 업그레이드된 연구소 지원 사업으로 보인다. 교육부와 과기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국가연구소(NRL2.0: National Research Lab2.0)도 주목할 만하다. 정부는 대학연구소에 연구·인력·시설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고, 블록펀딩(묶음형 예상)를 도입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소를 육성할 계획이라고 한다.
운영 2년 차인 대학기초연구소(옛 램프사업) 사업도 계속해 나가는데, 이 사업은 신진 연구자를 중심으로 기초 분야의 거대 융복합연구를 지원하고 대학 내 연구소 관리 체계 구축을 지원하는 것이다. 현재 부산대를 포함해 전국 14개 대학에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교육부는 학술연구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학제 공동연구, 비수도권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글로컬R&D 등을 지원키로 했다. 앞으로 개인연구 규모가 점차 확대되기를 기대하며, 이를 통해 대학의 많은 연구자가 혁신적 연구성과를 창출해나갈 것으로 믿는다.
내년도 예산이 확정되기까지는 국회의 심의 단계가 남아 있기 때문에 2025년 예산에 대해 단정적으로 평가하기는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발전과 R&D를 연계하려는 노력,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주요 부처인 교육부와 과기부가 부처 간 벽을 허물고 새로운 사업을 위해 함께하기로 한 것은 고무적이다. 이러한 노력이 향후 우리나라 기초연구 발전을 위한 토대로 이어지길 기대해본다.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