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배터리 열폭주 억제소재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화학이 배터리 열폭주로 인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신소재를 개발했다.
LG화학은 LG에너지솔루션, 포스텍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배터리 열폭주를 억제하는 소재 '안전성 강화 기능층'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엔솔·포스텍도 참여
LG화학이 배터리 열폭주로 인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신소재를 개발했다. 급격한 온도 상승을 막아 불씨 확대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소재다. LG화학은 LG에너지솔루션, 포스텍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배터리 열폭주를 억제하는 소재 '안전성 강화 기능층'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9월호에 게재됐다.
안전성 강화 기능층은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이 변하는 복합 물질이다. 온도가 오르는 단계에서 전기 흐름을 차단하는 '퓨즈' 역할을 하며 발열을 억제한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 주요 원인인 열폭주를 조기에 막는 것이 핵심이다.
열폭주 억제 소재는 배터리 온도가 비정상 범위인 90도에서 130도까지 오르면 소재 결합 구조가 바뀌며 전류 흐름을 억제하는 구조다.
전류 흐름을 막는 것은 열폭주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열폭주는 전지 내부 양극과 음극이 직접 접촉하면서 단락과 함께 수초 만에 온도가 1000도 이상 치솟는 현상이다.
LG화학은 모바일용 배터리 안전성 검증 테스트를 마친 뒤 내년까지 전기차용 배터리에도 안전성 테스트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이종구 LG화학 CTO(최고기술책임자)는 "안전성 강화 기능층은 가까운 시일 내 제품에 적용 가능한 가시적 성과"라며 "안전성 강화 기술을 고도화하고 배터리 시장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CTO는 "기존에도 셀 내부에 온도 변화에 반응하는 소재를 넣는 방식은 있었지만, 반응 속도가 느리거나 에너지 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며 "LG화학은 소재 설계에 대한 기술력과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기존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빠르게 양산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정상봉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우린 11년간 쇼윈도 부부로 살았다 ”…배우 한가인 ‘깜짝고백’, 사실은 - 매일경제
- 뺨때린 엄마였지만…빈손으로 오기 그래서, 손담비가 가져온 선물의 정체 - 매일경제
- “1㎏ 160만원인데 불티, 상인들도 놀랐다”…양양송이 ‘사상 최고가’ 갱신 - 매일경제
- “의대 휴학생 넘쳐나나”…서울대 의대, 전국 처음으로 학생 일괄휴학 승인 - 매일경제
- “음원 틀고 입만 벙끗 절대 안했다”…‘립싱크 논란’에 입장 밝힌 장윤정 - 매일경제
- “아빠 여긴 꼭 유령 아파트 같아”…다 지었는데 안 팔린 집 4년래 최다 - 매일경제
- “별풍선 받으면 새벽에도 비명”…해당 BJ, 층간소음 논란에 입 열었다 - 매일경제
- “최고 미녀 아닌가 생각한다”…승무원 아내 공개한 배우 백성현 ‘화제’ - 매일경제
- “극심한 고통, 병원서 고생했다”…솔비가 추석 연휴 걸렸다는 이것 - 매일경제
- 아쉽게 40-40 무산됐지만…한국 야구 대표하는 타자로 발돋움한 KIA 김도영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