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PICK 쌤과 함께’ 독해파리와 죠스는 왜 한국 연안을 잠식했나?···밥상에서 사라진 ‘명태’, 해답은 ‘갯벌’ 속에!

손봉석 기자 2024. 9. 29. 05: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많은 해양 생물종의 서식지이자 인류에게는 다양한 이익을 가져다주는 자원의 보고인 해양생태계는 현재 지구 가열화로 인한 기후 위기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29일 오후 7시 10분 KBS1 ‘이슈 PICK 쌤과 함께’에서는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김종성 교수를 초대해 기후 위기가 불러온 해양생태계의 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지속 가능한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우리가 해야 할 일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유난히 더웠던 올해 여름, 연일 이어진 폭염은 사람뿐만 아니라 해양에도 많은 변화를 불러왔다. 한반도 연안의 해파리 개체수가 급증하면서 해수욕장의 피서객이 감소했고, 특히 어업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수온이 상승하며 동해에서도 참치가 잡히기 시작했는데, 올해는 급증한 해파리의 독성으로 인해 참치가 죽고 어민 역시 독에 쏘이는 등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닌 상황. 특히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은 ‘노무라입깃해파리’로, 작년에 비해 개체수가 10배 이상 증가하며 올해에는 국내 유입량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김 교수는 해파리가 급증한 이유로 우리 바다의 수온이 가파르게 상승하며 해파리의 서식 조건을 충족했다는 것과 연안 개발 및 오염 물질 방류로 해파리의 먹이가 풍부해진 환경을 들었다.

KBS



고수온 현상으로 증가한 해양생물은 해파리뿐만이 아니다. 우리에게 영화 ‘죠스’로 익숙한 백상아리의 친구뻘인 청상아리를 비롯한 온대 열대성 상어류가 동해안에서 심심찮게 발견되고 있는데, 이들은 물개나 해달과 같은 해양포유류를 사냥하므로 사람을 공격할 가능성이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열대와 아열대 해역에서 볼 수 있는 맹독성을 가진 해양생물인 파란선문어와 넓은띠큰바다뱀 역시 우리 바다에 출몰하기 시작하며 해양생태계에 전에 없던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김 교수는 “해양생태계가 이처럼 위태로워진 이유는 지구온난화를 넘어선 ‘지구가열화(Global Heating)’ 현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구가열화가 불러온 기후 위기로 전 세계의 바다 곳곳에서 이상 징후가 일어나고 있는데, 해수면의 온도 상승이 대표적인 사례다.

지구가열화로 인해 대기의 온도가 올라가며 해수면의 온도 역시 상승하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대기 온도 상승과 더불어 쿠로시오 해류를 비롯한 아열대 해류의 영향으로 수온이 더욱 가파르게 상승하여 전 세계 평균 수온의 상승률의 2배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몰디브나 투발루와 같은 해발고도가 낮은 섬으로 이루어진 해안 지역은 침수로 인해 주민들의 삶의 터전이 사라지는 등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

KBS



지구가열화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변화는 이뿐만이 아니다. 대기 중의 탄소가 많아져 바다가 과도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게 되고,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으며 탄산과 함께 수소 이온을 방출한다. 한마디로 알칼리성인 바다가 점차 산성화되는 것. 해양의 산성화는 조개나 새우 등 단단한 껍질을 가진 생물의 껍질 생성을 지연시켜 다양한 해양생물의 개체 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먹이사슬에도 영향을 준다.

충분히 위협적인 해수면 온도 상승과 해양 산성화보다도 더욱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김 교수의 설명이 이어졌다. 바닷속 산소가 부족하거나 고갈되어 생명체가 살아갈 수 없는 해역을 뜻하는 해양 데드존(Dead Zone)이 바로 그것이다. 데드존은 세계 곳곳에 분포되어 있는데, 부영양화로 인해 부쩍 늘어난 파래로 온통 뒤덮인 제주도 바닷가 외에도 해양 점액질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튀르키예의 이스탄불 연안 등을 찾아볼 수 있다. 한 연구에서는 2080년쯤 전 세계 바다의 70% 이상에서 산소 부족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는 충격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김 교수는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우리 식탁 위에 오르는 해산물을 살펴보면 된다고 전했다. 과거에는 우리나라 연안에 많았지만, 지금은 씨가 마른 대표적인 해산물로 ‘명태’를 꼽았는데, 국민 생선으로 불리며 1980년대까지 한 해 15만 톤까지 잡혔던 명태는 1990년대 들어 1만 톤 아래로 급감하면서 결국 2000년대 들어 우리나라 바다에서 자취를 감춰버렸다. 명태를 비롯하여 도루묵과 같은 한류성 어종이 북쪽으로 이동하고, 제주와 남해 쪽에서 잡히던 멸치와 오징어 등이 서해와 동해로 확대되며 한반도 인근에서 잡히지 않던 난류성 어종 참다랑어가 제주와 남해 인근에서 잡히는 등 해양생태계는 급속한 변화를 겪는 중이다. 이러한 변화는 생태계의 균형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해양 전체를 비롯하여 인류의 삶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결코 긍정적인 상황으로만 볼 수 없다는 김 교수의 설명이 이어졌다.

해수의 온도가 평년보다 극단적으로 높은 상태가 수일에서 수개월 동안 지속되는 현상으로 해양 생태계의 재앙이라 불리는 해양 열파는 2011년 오스트리아 연안에서 10주간 지속되어 그곳의 열대어들이 모두 서식지를 떠나게 했을 뿐만 아니라 2018~2021년 사이에는 미국 알래스카 베링해의 대게 약 100억 마리를 아사(餓死)하게 만들기도 했다. 세계 최대 산호초 지대인 호주의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는 1980년대 초부터 해양 열파의 영향으로 산호초 표면의 플랑크톤이 살 수 없는 환경이 되자 산호가 색을 잃고 하얗게 변하는 대규모 산호 백화 현상이 일어났다. 산호의 멸종으로 인해 해양생물들이 터전을 잃고 수산업과 관광업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멸종의 위기에 놓인 것은 비단 산호뿐만이 아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해양생물 2만 5천 종을 대상으로 기후위기에 따른 멸종 위험을 평가한 결과 2100년까지 해양생물 중 84%가 높은 멸종 위험을 겪게 되고, 2.7%는 심각한 멸종 위험을 겪을 것으로 예측했다. 김 교수의 설명과 함께 이어지는 영상 속 대왕고래, 홍살귀상어, 점박이물범, 푸른바다거북 등 멸종의 기로에 놓인 다양한 바다 생물의 모습이 패널들에게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KBS



해양생태계를 위협하는 지구가열화를 늦출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김 교수가 제시한 것은 바로 ‘블루카본(Blue Carbon)’이다. 2009년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보고서를 통해 주목받기 시작한 블루카본은 염생식물과 해조류 등의 해양생태계가 흡수저장하는 탄소를 의미한다. 공식적인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인정받으며 지구가열화를 해결할 열쇠로 떠오른 블루카본. 현재 맹그로브 숲, 염습지, 잘피림 이 세 가지가 공식적인 블루카본으로 인정받은 상태다. 그런데 네 번째 블루카본이 우리나라에서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김 교수의 말에 패널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바로 탄소를 저장흡수하는 능력이 탁월한 한반도의 갯벌이 그 주인공으로, 이 사실을 밝혀낸 것이 김 교수의 연구진이다. 갯벌 속의 저서미세조류는 광합성을 하고 탄소를 잡아먹는 역할을 하는데, 연간 최소 26~48만 톤의 상당한 탄소 흡수량을 자랑한다. 그러나 계속된 갯벌 간척 사업과 항만 건설 등으로 지난 40년간 우리 갯벌의 면적이 절반 정도 줄어들었다며, 김 교수는 “산업 터전으로서가 아닌 인류의 생존에 있어 갯벌의 가치를 재고해야 한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해양생태학을 공부하며 느낀 점으로 인류가 생존하기 위한 환경 문제에 있어서 결코 요행은 없다”는 말과 함께, “개인의 노력과 국가의 정책만으로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고 전했다. 또한 “해양생태계를 위해 함께 고민하고 이미 알고 있는 일들을 하나씩 실천한다면 망가진 생태계가 조금씩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전하며 강연을 마무리했다.

‘이슈 PICK 쌤과 함께’ 201회 ‘독해파리와 죠스는 왜 한국 연안을 잠식했나’는 29일 저녁 7시 10분 KBS1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방송 후에는 KBS홈페이지와 wavve, 유튜브 KBS교양에서 다시 볼 수 있다.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