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편 대결: 한국선 비틀쥬스2 실패, 에이리언 로물루스 성공 이유

2024. 9. 28. 00: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 ‘비틀쥬스 비틀쥬스’에서 주인공 비틀쥬스(마이클 키튼). [사진 워너 브라더스]
최근 개봉한 유명 할리우드 영화 두 편의 속편이 미국에서는 모두 흥행에 성공했으나 한국에서는 크게 엇갈리는 성적을 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리들리 스콧 감독의 SF호러 명작 ‘에이리언’(1979)의 속편들 중 최신작인 ‘에이리언: 로물루스’(이하 로물루스)와 팀 버튼 감독의 출세작인 판타지 코미디 호러 ‘비틀쥬스’(1988)의 속편 ‘비틀쥬스 비틀쥬스(이하 비틀쥬스2)’ 이야기다.

‘로물루스’는 요즘 떠오르는 감독으로서 원작 ‘에이리언’ 시리즈의 열렬한 팬임을 밝힌 페데 알바레즈가 메가폰을 잡았다. 국내에서 지난달 14일 개봉해 200만 명에 가까운 관객을 모았다. SF 호러는 한국에서 인기 장르가 아닌 데다가 극장가가 팬데믹 이후 OTT에 밀려 침체기인 상황을 감안하면 꽤 흥행한 셈이다. 올해 국내 개봉작 전체에서 9위(외국영화 중에서는 4위)에 해당하는 성적이다. 반면에 이달 4일 개봉한 ‘비틀쥬스 2’는 원작의 감독인 팀 버튼이 직접 메가폰을 잡았음에도 11만 관객이라는 미약한 성적을 남기고 스크린에서 거의 사라졌다. 북미에서는 ‘비틀쥬스 2’가 우리 돈으로 약 3000억원의 티켓 판매를 기록해 ‘로물루스’ 판매의 두 배였던 것과 대조적이다. 세계 전체 판매는 ‘로물루스’가 약간 앞서며 두 영화 모두 4500억원 전후의 성과를 거뒀다.

한편 퀄리티에 대한 평으로 말하면 ‘로물루스’가 앞서기는 하지만 그 차이가 극단적으로 큰 것은 아니다. ‘로물루스’는 미국 영화평 플랫폼 ‘로튼토마토’에서 전문가 평점 100점 만점에 80점, 관람객 85점을 얻었고, ‘비틀쥬스2’는 전문가 77점, 관람객 80점이다. 둘 다 원작보다는 못하지만 준수한 속편이란 평가다. 국내에서도 네이버 영화 실관람객 평점에서 ‘로물루스’는 10점 만점에 8.7점, ‘비틀쥬스2’는 7.6점 정도다. 그런데 관람객 수는 왜 이렇게 극단적으로 차이가 날까?

이에 대해 정덕현 문화평론가는 “두 영화는 각각 SF와 판타지인데 둘 다 우리나라에서 대중적으로 친숙한 장르는 아니다”라며 “그런 경우에 대중과 접점을 이루는 요소가 있고 입소문이 날 만큼의 재미를 주느냐가 대중적인 성패를 가르게 된다. ‘로물루스’의 경우에는 작품 자체를 잘 만들었다는 평이 많고 홍보를 특별히 크게 하지 않았음에도 입소문이 많이 난 것으로 안다. 요즘은 이런 입소문이 정말 중요하다”고 평했다.

영화 ‘에일리언: 로물루스’에서 외계생명체 ‘제노모프’. [사진 월트디즈니 코리아]
‘로물루스’는 ‘에이리언’ 1~4편과 그 프리퀄인 ‘프로메테우스’(2012) 및 ‘에이리언: 커버넌트’(2017)는 물론이고, 인공지능(AI) 문제를 다룬 스콧 감독의 SF 고전 ‘블레이드 러너’(1981)의 요소들까지 오마주한다. 그래서 ‘팬픽 아니냐’는 조롱도 받았지만 그러한 오마주를 솜씨 좋게 버무려서 기존 팬들을 만족시켰다. 또한 원작 시리즈에서는 전설적인 여전사 리플리(시고니 위버)를 비롯한 주요 캐릭터들이 1편부터 최소 30대 초반의 나이였던 것에 반해 ‘로물루스’는 20대 초반의 더 젊은 캐릭터들을 등장시킨다. 이들이 거대 기업의 횡포와 AI에 치여 열악한 직장 생활을 하는 것을 잘 묘사해 이것이 더 이상 공상이 아니라 잠재적 현실이라고 느끼는 새로운 젊은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영화·영상미학 전문가인 정혜진 경희대 교수는 “시의성이 강한 영화”라며 “특히 캐릭터들의 인종이 더 다양해진 점, 원작에서 AI가 철저히 거대기업 편에 서서 인간을 위협하던 것에 반해 인간과 가족 같은 관계를 형성한 AI를 새로이 등장시켜 AI의 양면성을 다룬 점, 그 AI가 흑인의 모습인 점 등등이 인상적”이라고 했다.

반면에 ‘비틀쥬스2’는 원작의 감독과 주연 배우들이 주축이 되어 원작 팬들의 향수를 만족시키는 데 주력한다. 문제는 미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원작 팬 자체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원작 ‘비틀쥬스’의 경우 한국에서는 극장 개봉도 하지 않고 비디오로만 출시되었던 것으로 안다”며 이렇게 말했다. “한국에 고스 서브컬처(고딕 호러에서 영감 받아 어둠의 미학을 추구하는 하위문화)를 즐기는 사람들도 거의 없는 데다가 36년 만에 속편이 나왔으니 팬덤이 구축되었을 수가 없다. ‘에이리언’은 꾸준한 속편으로 프랜차이즈와 세계관이 형성되면서 팬들이 커뮤니티를 통해 그 세계관을 탐구하고 토론하며 충성도가 높아진 것과 대조적이다.”

정덕현 평론가도 “팀 버튼 작품세계의 특징은 괴기함과 코믹함의 접목인데 그것에 열광하는 마니아들도 있지만 대중에게는 진입 장벽이 상당히 느껴지는 편이다”라며 “원작은 다소 조악하면서도 기발한 상상력이 놀라운 것이 매력이었는데 속편은 좀더 세련되어졌지만 원작을 뛰어넘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있는 것도 아니고 대중과의 접점도 약하다”고 평했다.

결국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팬덤의 유무와 그 확장성이 한국에서 두 영화의 희비를 가른 셈이다. 한국 영화 제작자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문소영 기자 symo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