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없이 번지는 빈집 팬데믹...재개발의 역설 (추적 60분)

김수민 인턴기자 2024. 9. 27. 20: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7일 금요일 오후 10시 방송

(MHN스포츠 김수민 인턴기자) '추적 60분'이 쓰나미처럼 번지고 있는 빈집 문제를 수면 위로 끌어올린다.

2018년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시행으로 정부는 빈집 정비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 후 6년 과연 빈집은 줄어들었을까. 통계청 주택 총조사 집계 결과, 2023년 기준 '빈집'은 약 153만 호로 측정됐다. 2010년 기준 약 73만 호였던 빈집은 13년간 2배 가까이 급증한 것이다.

특례법의 시행과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빈집은 줄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앞으로 빈집이 더 늘어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 속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절실한 실정으로, '추적60분'이 전국을 돌면서 빈집이 늘어나는 원인과 빈집이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부작용과 문제점을 살펴본다.

대도시가 텅텅, 수도권 빈집 실태 보고

서울, 인천, 의정부 등 수도권의 도시지역 빈집은 한때 재개발 열풍이 불었다가 사업 자체가 무산되면서 생긴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재개발이 무산되어 노후화된 빈집이 늘어나도 사유재산이라는 이유로 빈집을 철거하기란 쉽지 않고, 결국 이렇게 방치된 빈집이 사회 문제가 된다.

노후화된 빈집은 동네의 슬럼화를 진행시키고, 그 결과 지역사회와 공동체가 망가진다. '추적 60분'이 빈집으로 황폐해지는 동네를 살아가는 주민들을 만나 목소리를 들어보고 그 원인을 살펴본다.

초고령화의 그늘, 부산의 빈집 실태

전국 광역지자체 중 가운데 빈집이 가장 많은 부산광역시로, 2023년 통계청 주택 총조사 기준 부산의 빈집은 11만 4천 호이다. 빈집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는 고령화와 저출생이 일차적으로 지목되고 있다. 일자리 부족과 열악한 정주 여건도 영향을 함께 미치고 있다. 부산 영도구의 노후화된 아파트는 고령의 주민들이 곰팡이와 함께 살고 있었고, 한때 조선소의 젊은 직원들로 북적였던 한 마을은 노인들만 남아 마을을 지키고 있다.

부산 영도구 봉산마을에서는 빈집 증가세를 막기 위해 그 대안으로 빈집 재생사업을 추진했으나, 무허가 건축물이 많아 수익 사업이 제한되었다. 수익이 없으니 빈집 재생사업으로 빈집에 들어온 입주자들은 떠날 수밖에 없었다. 빈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자체와 주민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빈집의 증가추세는 막을 수 없었다. 

그 이유에 대해 실제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한 신병윤 동의대 건축학과 교수는 "도시재생 사업을 하고 빈집 정비를 하면서 그 공간을 녹화시키고 텃밭으로 만들고 운동 시설을 만들면 좋을 거라고 했는데 주민들이 그것조차도 관리도 힘들고 이용도 힘든 정도의 나이가 되어버렸다는 거예요"라고 말한다.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과 한계

'추적 60분'이 살펴본 각 지방자치단체는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해 저마다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펼치고 있다. 인천광역시 중구는 빈집 정비 후 3년간 공용 활용에 동의하는 빈집에 한해 철거 후 주차장, 주민쉼터 등을 조성하였으나, 빈집 철거 시 토지에 대한 재산세 부담 등으로 빈집 소유주들의 참여가 저조한 상황에 어려움에 처한 현실이다. 

전라남도 강진군에서는 농촌의 빈집을 리모델링 하여 저렴한 월세로 집을 빌려주어 농촌 생활 인구를 늘리고자 하는 농촌의 빈집 정비사업에 실제로 정착을 결심하는 청년도 있다. 직접 빈집을 매입하여 귀촌하는 청년들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나, 현재 농어촌 주택이나 빈집 매물만 모아놓은 플랫폼이 없어 빈집 매물을 구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증가하는 빈집, 해결책은 없을까. 

우리나라보다 앞서 빈집 문제가 시작됐던 미국과 일본의 대응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자동차 산업 쇠퇴로 어려움을 겪던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시는 빈집 전수조사에 나섰고, 2만여 채를 철거했다.

그 결과, 강력 범죄가 11% 줄어들었고, 주민들은 안정감을 되찾았다. 관광지인 일본 교토시는 빈집을 숙박 시설로 리모델링해 숙소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있으며, 집을 비워두면 세금을 부과하는 '빈집세'를 2026년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두 국가의 빈집 정책은 정책 수립 전 빈집에 대하 전수조사와 통계를 먼저 만들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현행법상 농어촌지역과 도시지역 빈집의 행정 주체가 달라 빈집 관리체계 일원화가 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전문가들은 앞으로 빈집 문제가 쓰나미처럼 덮쳐올 수 있음을 경고했다. 

한편, '추적 60분' 1381회 '소리 없이 번진다, 빈집 팬데믹' 편은 27일 금요일 오후 10시 KBS1에서 시청할 수 있다. 

 

사진 = KBS1

Copyright © MHN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