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잡다가 서민 붕괴···아르헨 빈곤율 53%까지 급증

김경미 기자 2024. 9. 27. 10: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르헨티나의 빈곤율이 52.9%까지 치솟았다.

국민 둘 중 한 명이 생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셈으로, 21년 만에 최악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FT는 올해 들어서만 340만 명의 아르헨티나 국민이 빈곤층으로 떨어졌다는 뜻이라고 짚었다.

대통령실 대변인인 마누엘 아도르니는 "우리 정부는 페론주의자들로부터 비참한 상황을 물려받았다"며 "긴축이 없었다면 아르헨티나는 초인플레이션에 빠져 모든 국민이 가난해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03년 이후 최악” 아동 빈곤율 66% 웃돌아
정치권 책임 공방··· 밀레이 대통령 인기도 추락
12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외곽의 거리에서 어린이들이 무료 배급 식사를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서울경제]

아르헨티나의 빈곤율이 52.9%까지 치솟았다. 국민 둘 중 한 명이 생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셈으로, 21년 만에 최악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고물가를 잡기 위해서라며 정부가 강하게 밀어붙인 긴축정책 탓이라는 비판이 쏟아지면서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인기도 추락하는 양상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통계청은 올 상반기 빈곤율이 52.9%로 지난해 하반기의 41.7%에서 11.2%포인트나 상승했다고 밝혔다. 빈곤율은 소득 수준이 기본 생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재화 및 서비스를 얻기도 어려운 수준인 빈곤선(LP) 아래 인구를 의미한다. 이 수치는 2003년 이후 2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FT는 올해 들어서만 340만 명의 아르헨티나 국민이 빈곤층으로 떨어졌다는 뜻이라고 짚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소한의 먹거리 수요마저 충족할 수 없는 극빈율도 18.1%에 달했다. 지난해 하반기보다 6.8%포인트 높아졌다. 14세 미만 아동 빈곤율은 66.1%에 달했다.

지난해 12월 취임한 밀레이 대통령이 연율 300%를 넘나드는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공공지출을 대폭 삭감한 탓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물가를 잡기 위해 돈 풀기를 중단했고 지난해 12월 전월 대비 25.5%씩 오르던 물가는 올해 8월 전월비 4.2%까지 내려앉는 등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중산층과 서민 경제가 붕괴되는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났다. FT는 “밀레이 대통령의 취임 후 최소 13만 6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며 “비공식 부문의 손실은 더욱 클 것”이라고 관측했다.

특히 밀레이 정부 출범 이후 실시된 생필품 가격통제 제도 폐지와 에너지·교통 보조금 삭감, 50%가 넘는 페소화 평가절하 등이 생활비 부담을 키워 빈곤층을 늘렸다는 비판이 나온다. 야당 정치인들은 “정부의 끊임없는 긴축이 노동자 가정과 노년층에게 타격을 주고 있고 해결은커녕 위기를 심화시켰다”고 지적했다. 반면 현 정부 측은 전 정권에 책임을 돌리고 있다. 대통령실 대변인인 마누엘 아도르니는 “우리 정부는 페론주의자들로부터 비참한 상황을 물려받았다”며 “긴축이 없었다면 아르헨티나는 초인플레이션에 빠져 모든 국민이 가난해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50% 내외의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던 밀레이 대통령의 인기도 급락하고 있다. 토르쿠아토디텔라대가 집계한 정부에 대한 신뢰지수는 이달 14.7% 떨어져 올 들어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 여론조사 기관인 CB컨설토라의 크리스티안 부티에 이사 역시 “9월 밀레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8월보다 4.2%포인트 하락한 46.4%로 나타났다”며 “이전보다 상황이 더 나빠졌다는 느낌이 강해지는 가운데 (정부가 지지율을 회복하려면) 상황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인식을 되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미 기자 kmkim@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