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론 +14.73% 메모리반도체 살아있네…사우디 증산 조짐 [뉴욕마감]

뉴욕=박준식 특파원 2024. 9. 27. 05:1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다시 일제히 상승세로 돌아섰다. 전일 반도체 업체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실적이 개선된 데 이어 이날 고용시장 지표인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보다 크게 감소하면서 연착륙 기대감이 강해진 결과다. S&P 지수는 또다시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

2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거래일보다 260.36포인트(0.62%) 상승한 42,175.11을 기록했다. S&P 500 지수도 23.11포인트(0.4%) 오른 5745.37을 나타냈다. 나스닥은 108.09포인트(0.6%) 올라 지수는 18,190.29에 마감했다.

전일 실적개선을 이룬 마이크론은 이날 14.73% 급등하면서 시장을 이끌었다. 관련주 장비주인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와 램 리서치도 4~5% 동반 상승했다. 이날 발표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신청건수(~9월 21일)는 21만 8000건으로 전주보다 4000건 줄었고, 다우존스 전문가 추정치인 22만 3000건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계속 실업수당 신청건수(~9월 14일)도 183만 4000건으로 예측치보다 낮았다.

또 이날 상무부가 밝힌 2분기 국내총생산(GDP) 확정치는 3.0%로 1분기 1.6%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 상무부는 같은 기간 결과를 속보치로는 2.8%로 발표했고, 잠정치는 3.0%로 상향 수정하면서 연착륙 기대를 높였다. 확정치는 잠정치 추계에서 빠지는 경제활동 지표를 반영해 산출하는데 이 결과가 예상을 깨지 않고 투자자들을 안심시킨 것이다.

모건스탠리 E트레이드에서 거래 및 투자 부문 전무인 크리스 라킨은 "노동시장에 문제가 있다면 주간 실업 수당 청구 데이터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이 보고서는 시장 심리를 정의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한다"며 "반대 증거가 나올 때까지 이런 수치는 경제 연착륙에 대한 희망을 살아있게 할 것"이라고 풀이했다.
웰스파고 "금리인하는 증시에 더 광범위한 기회"
A combination file photo shows Wells Fargo, Citibank, Morgan Stanley, JPMorgan Chase, Bank of America and Goldman Sachs from Reuters archive./File Photo
웰스파고는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의 금리인하 주기가 2025년에 더 광범위한 시장 기회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회사의 수석 글로벌 시장 전략가인 스콧 렌은 "우리는 이 일련의 금리인하가 내년에 더 광범위한 시장 기회를 촉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연말까지 경제가 더 온건한 속도로 둔화되기를 기대하며 우리의 기본 시나리오에는 경기침체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렌은 "중앙은행은 지금부터 내년 말까지 200bp(1bp=0.01%p) 이상의 금리인하를 시행할 수 있다"며 "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위험한 소형주보다 양질의 대형주가, 해외 주식보다는 미국 주식이 수익률 측면에서 더 나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시기라 변동폭이 심한 신흥시장보다는 선진 국제시장이 나을 거라는 조언이다.
사우디 미국에 밀려, 결국 점유율 지키려 증산
(리야드 로이터=뉴스1) 김지완 기자 = 지난 4월 2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의 알 야마마 궁전에서 무함마드 빈 살만 빈 압둘라지즈 알사우드 왕세자 겸 총리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만나고 있다. 2024.04.29 /로이터=뉴스1
중동 산유국의 실질적인 리더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원유 1 배럴당 100달러를 지향한다던 목표를 포기하고 가격경쟁에 나서 시장점유율을 회복하기로 했다. 이날 파이낸셜타임즈(FT)에 따르면 사우디는 오는 12월부터 생산량을 늘릴 준비를 하면서 원유가격 경쟁에 다시 뛰어들 채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통한 관계자들에 따르면 사우디 관리들은 국제원유가격이 장기간 하락하더라도 계획대로 12월 1일에 생산량을 재개할 것이라고 전했다.

사우디의 증산 목표가 확인되면서 브렌트유 선물가격은 이날 시장에서 3% 가까이 하락한 배럴당 70달러대에,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가격은 67달러대에 거래되고 있다. 유가하락으로 석유 생산업체인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와 쉘(Shell) 등의 주가는 4~5% 급락하고 있다.

사우디가 증산하기로 한 것은 이들의 정책에 큰 변화가 생긴 것을 의미한다. 사우디는 원유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지난 2022년 11월 이후 다른 오펙 플러스 회원국들과 함께 반복적으로 생산량을 감축해 왔다. 브렌트유 가격은 2022년 배럴당 평균 99달러를 기록하며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 미국은 인플레이션 시대를 맞아 생산량을 늘리면서 사우디와 대적해왔다. 유가는 물가의 근원이 되기 때문에 사우디가 오펙 플러스를 앞세워 미국의 증산 요청을 거듭 무시했음에도 자국 생산량을 늘려가면서 이들의 저항을 무력화한 것이다. 유가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정세의 혼란으로 80달러대를 오가기도 했지만 최근 다시 70달러대 초반까지 하락한 상황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사우디는 예산의 균형을 위해 배럴당 100달러에 가까운 원유 가격이 필요하다.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는 야심찬 경제 개혁 프로그램의 핵심인 일련의 대규모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원유 시장에서 미국의 입김이 커지면서 사우디는 이제 시장 점유율마저 뺏길 위험에 처했다.

사우디는 증산 대신에 외환 보유고를 활용하거나 국가 채권을 발행하는 것 같은 자금옵션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세계금융시장을 좌우하는 미국에 더 종속될 위험을 안고 있다. 10년 전에도 사우디는 유가를 떨어뜨려 미국 셰일 산업의 급속한 부상을 저지하려고 했고, 석유 가격의 100달러 시대는 빠르게 허물어졌다.

사우디는 최근까지 오펙 플러스의 감산량 대부분을 떠맡아 지난 2년간 하루 200만 배럴씩 생산량을 줄였다. 이는 회원국의 감산량의 3분의 1 이상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사우디의 최근 생산량은 2011년 이후 최저치인 일일 890만 배럴에 불과하다.

사우디는 생산량을 12월부터 매달 8만 3000배럴씩 생산량을 늘려 2025년 12월까지 일일생산량 기준 100만배럴까지 증산할 계획이다. 사우디가 미국에 사실상 백기를 든 것은 이라크와 카자흐스탄을 포함한 몇몇 오펙 회원국이 감산 움직임에 동참하지 않았기 때문인 이유도 있다.

뉴욕=박준식 특파원 win0479@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