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즘’ 돌파는 ‘셀프’로…현대차·기아, LFP 배터리 기술 직접 개발
‘전구체 없는 양극재 합성법’ 연구
가격·성능 모두 잡아 차별화 복안
현대자동차·기아가 배터리셀 제조사를 통한 양질의 제품 확보 차원을 넘어 배터리 기술 개발에 직접 뛰어들었다. 해외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필요 기술을 내재화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이후 시장 주도권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현대차·기아는 26일 현대제철,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재 기술 개발 과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현대제철이 재활용 철을 이용해 미세 철 분말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에코프로비엠이 이를 받아서 LFP 양극재를 개발한 뒤 현대차·기아가 이를 평가·분석해 배터리 기술을 확보하는 구조다.
LFP 배터리는 CATL, 비야디(BYD) 등 중국 업체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삼원계 니켈·코발트·망간(NCM) 제품보다 에너지 밀도가 떨어져 주행거리는 덜 나오지만, 화재 등 위험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배터리 수명이 긴 편이다. 가격도 저렴해 보급형 전기차 양산에 주력하는 글로벌 완성차 업계의 수요가 커지는 추세다.
이번 협력의 핵심 목표는 LFP 배터리 양극재 제조 시 전구체 없이 직접 재료를 합성하는 기술이다. 전구체는 생체 대사나 화학 반응 등에서 최종 합성물을 만들기 전 단계의 물질을 말한다.
LFP 배터리 양극재는 일반적으로 인산염과 황산철 등을 합성한 전구체에 리튬을 첨가해 생산한다.
세 업체는 별도 전구체 없이 인산과 철 분말, 리튬을 동시 조합해 양극재를 만드는 직접 합성법 기술에 도전한다.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어 배터리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폐기되는 고철을 재활용한다는 점에서 공정 중 발생하는 유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해 친환경적인 데다, 국내 생산을 통한 안정적 원료 공급망 구축이 가능해 수입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현대차·기아는 이번 과제를 성공하면 저온에서 우수한 충전·방전 성능을 보일 뿐만 아니라 급속 충전도 쉬운 LFP 배터리가 탄생한다고 전했다.
가격과 성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아 중국 LFP 배터리와 차별화하겠다는 전략이다.
국내 배터리 업계도 전기차 캐즘의 돌파구로 LFP 배터리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내년 하반기 LFP 배터리를 양산해 르노의 차세대 전기차 모델에 공급할 예정이다. 삼성SDI와 SK온은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권재현 기자 jaynew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학가 탄핵 찬반 대자보의 자리싸움 [현장 화보]
- 이재명 “국힘, 100일 내 윤석열 부인 장담…광주서 계엄옹호, 사람인가?”
- 세뇌 당한 잘생김+현실적인 매너…‘나완비’ 이준혁이 이룬 ‘은호 신드롬’
- 비선 기획자? 망상가?···‘노상원 수첩’은 계엄과 얼마나 관련있나
- 김용현·문상호 등 내란 피고인들, ‘윤석열 방어권’ 의결한 인권위에 긴급구제 신청
- 다시, 김건희···이 모두가 우연인가 [김민아의 훅hook]
- “돈 안 줘서” 부모 소유 상가에 불 지른 ‘30대 무직’ 자녀
- 대법 “‘장자연 보도’ MBC, 방정오 TV조선 부사장에 배상해야”
- “오세훈, 전남 담양 출신” 주장에…오세훈, 경찰에 고소
- [단독]신생아 특례대출,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이 더 많이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