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고령화에 '일손 부족' 심화 "계속고용 추진·임금체계 개편 시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급속한 고령화로 국내 고령인구가 1000만명에 육박하면서 일손 부족 사태가 현실화되고 있다.
노동력 부족과 노인 빈곤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속고용·정년 연장과 함께 성과 중심 임금체계 개편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계속고용과 함께 사회적 타협을 통해 임금피크제를 수용하는 방식이 가장 현실적"이라며 "정년 연장은 현 인구 구조상 청년 일자리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AI 강국 ◆
급속한 고령화로 국내 고령인구가 1000만명에 육박하면서 일손 부족 사태가 현실화되고 있다. 외국 인력 도입과 함께 정년 연장을 포함한 계속고용 방안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국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93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인구의 19.2%에 이르는 수치다. 고령인구 비중은 내년에는 20%를 돌파하면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고령 가구 중에서도 독거노인의 비율이 크게 늘며 지난해 기준 혼자 사는 고령 가구는 전체 고령 가구의 37.8%(213만8000가구)에 달했다. 고령화 심화는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이어질 전망이다.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당 노인(65세 이상) 수를 뜻하는 '노년 부양비'는 올해 27.4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노동력 부족과 노인 빈곤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속고용·정년 연장과 함께 성과 중심 임금체계 개편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령자고용법에 따르면 사업체에서 근로자의 정년을 정할 경우 60세 이상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내년 초까지 계속고용 방안을 내놓을 방침이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계속고용과 함께 사회적 타협을 통해 임금피크제를 수용하는 방식이 가장 현실적"이라며 "정년 연장은 현 인구 구조상 청년 일자리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윤식 기자 / 한재범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김신영 경찰 압수수색 당했다, 34만원 투자해 대박”…그런데 알고보니 사칭 범죄, 김신영 “
- 이유 물어봐도 웃기만 하더니…방송 중 서장훈 째려보는 여성의 정체 - 매일경제
- “개인사로 피해 안 갔으면”...장동건, 사생활 논란 후 복귀 심경 - 매일경제
- “공 가지고 집에 갈 만하네”...오타니 50·50 홈런공 경매 최소 입찰가는 무려 - 매일경제
- [단독] 주말엔 MZ로 발 디딜틈 없는 ‘이곳’…이제 부산에도 생긴다는데 - 매일경제
- “10월26일 윤 대통령 서거” 말했다는 무속인 찾았다…경찰 조사내용 보니 - 매일경제
- 이러다 한국 완전히 망한다더니…맞벌이 부부 ‘육아 혜택’ 많아진다는데 - 매일경제
- “김 아닌 용변 맞다, 교사가 청소시켜”…부당해고 논란에 인천 유치원 반박 - 매일경제
- “사람까지 죽었다”…‘음주운전 헌터’ 유튜버, 뒤늦게 알려진 충격 사실 - 매일경제
- 데뷔전 치르고 리그 평정? 황인범, ESPN 이주의 팀 선정 쾌거...MVP까지?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