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수출호조, 상반기 음악·영상 저작권 흑자 역대 최대 6억1000만 달러

손봉석 기자 2024. 9. 26. 08: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타쉽엔터테인먼트



영화·드라마·가요 등 ‘K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우리나라가 올해 상반기 다른 나라와 음악·영상 부문 저작권 거래를 통해 역대 가장 많은 흑자를 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지적재산권 무역수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잠정)는 1억4천만달러(약 1천86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경상수지 항목 가운데 지식재산권 관련 국제 거래만 따로 모아 받은 지식재산권 대가(수출)에서 지급한 대가(수입)를 뺀 것이다. 지난해 하반기(+3억7천만달러)보다 흑자 폭은 줄었지만, 1년 전인 지난해 상반기(-1억9천만달러)와 비교하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산업재산권과 저작권으로 나누면, 산업재산권에서는 특허·실용신안권(-6억달러)과 상표·프랜차이즈권(-5억8천만달러)을 중심으로 11억3천만달러의 적자를 봤다. 그러나 저작권 경우 문화예술저작권(+6억5천만달러)과 연구개발·소프트웨어 저작권(+6억9천만달러)의 동반 호조로 13억4천만원의 흑자를 거뒀다. 작년 상반기(+10억4천만달러)나 하반기(+11억7천만달러)보다 흑자 규모가 커졌다.

넷플릭스



문화예술저작권 가운데 음악·영상 부문 흑자(+6억1천만달러)는 반기 기준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해외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플랫폼 등으로 우리나라 콘텐츠가 많이 수출됐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음악·영상 부문의 호조 덕에 문화예술저작권은 2020년 상반기 이후 아홉 반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고, 흑자 폭도 2022년 하반기(+6억7천만달러)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컸다.

기업 규모별 지식재산권 수지의 경우 대기업은 흑자(+33억4천만달러), 중소·중견기업(-32억3천만달러)은 적자를 각각 기록했다.

거래 상대국별로는 영국(-17억4천만달러)·미국(-8억5천만달러)에서 적자, 중국(+12억5천만달러)과 베트남(+9억1천만달러) 등에서 흑자를 냈다.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