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이언희 감독 "자연스럽게, 겁내지 말고"
박상영 작가 2019년 출간 동명 소설 원작
"할 수 있다고 믿었는데 중간 중간 불안도"
자유연애 여성과 동성애 남성 동거 설정
"남자 주인공 캐스팅 안 돼 못 만드는 줄"
"동성애 자연스럽게 겁내지 않고 담았다"
[서울=뉴시스] 손정빈 기자 = 이언희(48) 감독에게 새 영화 '대도시의 사랑법'(10월1일 공개)을 만들면서 가장 힘들었던 순간을 꼽아 달라고 했다. 이 감독은 특정 장면이나, 제작 과정에서 발생한 이슈 혹은 문제를 짚어내지 않았다. 대신 마음에 관해 얘기했다. 그는 이 프로젝트를 하기로 결정하고 개봉을 앞두기까지 4년 넘는 시간 불안에 시달렸다고 말했다. '내가 맞다'고 되뇌었지만 그 감정을 떨쳐내기란 쉽지 않았다고 했다.
"'미씽'(2016)을 끝낸 뒤에 다짐한 적이 있어요. 날 믿자는 것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내가 맞다는 결론을 내렸거든요. 내가 감독이니까, 내가 답을 가지고, 내가 끌고가는 일이니까요. 그런데 그 마음을 계속 유지하는 게 쉽진 않더라고요."
'대도시의 사랑법' 촬영을 끝낸 게 지난해 가을이었다. 이 감독은 남편과 김지운 감독의 '거미집'을 보러 갔다고 했다. 이 영화엔 배우 정우성이 '신상호'라는 인물로 짧게 나온다. 신상호는 영화감독의 마음가짐에 관해 말하며 "널 믿으라"고 말한다. 이 감독은 이 장면을 보면서 '나만 그런 게 아니다'고 위로 받았다고 했다. "난 이 영화가 너무 좋은데, 사람들이 나와 다르게 생각하고 안 좋아할 수 있고 불편할 수 있다고 자꾸 의심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날 믿어야 한다고 결론 내렸어요. 날 믿어주고, 나보다 이 영화를 더 좋아해주는 사람들이 옆에 있으니까요."
이 감독이 이번 작품 공개를 앞두고 불안과 의심에 관해 얘기하는 이유가 짐작이 가긴 한다. '대도시의 사랑법'은 2019년 박상영 작가가 내놓은 동명 소설을 영화화했다. 다른 사람 눈 신경 쓰지 않고 자유로운 연애를 하는 재희와 성정체성 때문에 자꾸만 움츠려드는 흥수의 이야기다. 영화는 스무살 때 만난 두 아웃사이더가 13년 간 동거하면서 성장해 가는 과정을 그린다. 남녀가 친구로서 동거한다는 설정부터 이른바 '유교걸' 따윈 될 수 없는 여자 그리고 동성애자 남성이 등장한다는 것, 청춘성장물이면서도 주류를 향한 비주류의 일침이 직접적으로 표현된다는 점 등은 분명 일부 관객에겐 동의하기 어려운 대목일지도 모른다.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시작한 겁니다. 그런데 중간 중간 '내가 미쳤다. 무슨 용기로 이걸 한다고 했자'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 감독이 '대도시의 사랑법' 영화화를 논의하기 위해 박 작가를 처음 만난 게 2019년 12월이었다. 이 프로젝트가 본격 가동된 게 2020년 초였다. 물론 코로나 사태가 발생하면서 생긴 어려움도 있었다. 하지만 그보다 더 큰 문제는 캐스팅이었다. 김고은이 출연을 확정한 뒤 흥수 역을 맡을 배우를 1년 넘게 구하지 못했다. 동성애자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동성 연인과 스킨십 장면 등이 있는 게 남자 배우들에게 큰 벽을 세운 게 됐다.
"남자 배우가 없어서 이 영화를 못 만들 수도 있겠다는 위기감마저 들었습니다. 그때 '파친코'를 보고 노상현 배우에게 연락을 했어요. 노상현 배우를 만난 날 화장실 앞까지 쫓아가서 '꼭 하셔야 한다'고 부탁했어요.(웃음) 하겠다는 연락을 받았을 때 정말 기뻤습니다. 게다가 김고은 배우는 이 작품을 위해 1년을 기다려줬잖아요. 얼마나 감사한지 몰라요."
'대도시의 사랑법'은 코미디를 바탕에 둔 성장담이다. 강의와 클럽을 오가던 대학 시절을 시작으로 입대와 제대, 취업과 결혼 등 일련의 과정을 재희와 흥수를 통해 훑어 간다. 다만 단순히 청춘과 성장에 관해 얘기하는 게 아니라 재희를 통해서는 여성을 향한 사회의 부당한 시선에 대해 짚어주고, 흥수의 이야기로는 성소수자 더 나아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불온한 시각을 비판한다. 이 감독은 이 부분을 표현해가면서 자기 검열 극복과 대중성 유지 사이에서 갈등했다고 했다.
이 감독은 재희를 만들어갈 땐 "일하는 것 같지 않을 정도로 즐거웠다"고 했다. 이 감독을 포함해 제작자·작가 등 주요 스태프가 여성이었기 때문에 재희와 여성에 대해 얘기하며 영화를 하나씩 쌓아올려 가는 게 수월했다고 한다. 그러나 흥수는 달랐다. 흥수는 남성 동성애자이기 때문에 좀 더 세심한 접근과 면밀한 취재가 필요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흥수의 동성 연인과 스킨십을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보여줘야 하는지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일단 찍어놓고 흥수 관련 (스킨십) 장면을 넣어 보기도 하고 빼 보기도 했어요. 그런데 뺐을 때 자연스럽지 않더라고요. 결국 자연스럽게 순리대로 가야한다고 봤습니다. 최종적으로 나온 영화가 저희가 가장 자연스럽다고 판단한 것들인 거죠. 사실은 이런 고민을 한다는 게 싫었습니다. 왜 내가 겁을 내야 하나, 생각이 들었던 겁니다."
'대도시의 사랑법'은 이달 중순 토론토국제영화제 스페셜 프레젠테이션 부문에 초청돼 국내에서보다 먼저 외국 관객을 만났고, 당시 영화제 관객 반응이 좋아 화제가 됐다. 지난 23일 국내 첫 시사회에서 공개된 뒤 대체로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아직 관객을 만난 건 아니다. 이른바 '혐오의 시대' '남녀 갈등의 시대'로 불리는 세태를 볼 때 '대도시의 사랑법'을 향한 부정적인 여론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기도 하다. 이 감독은 "그런 것에 휘둘리지 않는다"며 "그렇게 휘두리면 무엇이 올바른 것인지 판단할 수 없고 영화도 만들 수 없다. 우린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해나갈 뿐"이라고 말했다.
"아직 관객은 재희와 흥수를 만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두 사람을 만나서 친해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난 뒤에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내줬으면 합니다. 전 그렇게 봐줄 관객이 더 많을 거라고 봐요."
이 감독은 '미씽:사라진 여자'에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압박을 스릴러물로 풀어내 여성 관객의 큰 지지를 받았다. '미씽'은 한국영화에서 여성 서사를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작품이기도 하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대도시의 사랑법'에서도 이 감독은 재희를 통해 여성과 사회에 관한 예리한 시각을 보여주며 공감과 웃음을 끌어낸다. '밤길이 무서우니 일찍 들어가라'는 말에 재희가 "남자들이 일찍 들어가면 여자들이 무섭지 않을 거 아니냐"고 하는 대목은 '대도시의 사랑법'에서 가장 통쾌한 대목이기도 하다.
"'미씽'을 하고 나서 여성 관객의 피드백을 받은 뒤에 제 영화가 꾸준히 여성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지금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 영화가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제가 활동가는 아니니까요. 제가 '탐정:리턴즈'(2018)나 '살인자의 쇼핑목록'(2022)을 만들었던 것처럼 전 제가 할 수 있는 걸 하고, 더 다양한 것들을 해보고 싶습니다."
☞공감언론 뉴시스 jb@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흡연 논란' 옥주현, 이번엔 목에 장침 꽂아 "흔치 않은 일"
- '강남역 여친 살해' 의대생 사형 구형…유족, 무릎 꿇고 엄벌 탄원(종합)
- [단독]'화천 토막 살인' 軍 장교, 살인 후 피해자인척 보이스톡…미귀가 신고 취소 시도
- 죄수복 입은 김정은 철창 안에…스위스에 걸린 광고
- 한지일, 100억 잃고 기초수급자 "고독사 두려워"
- '연봉 7000만원' 전공의 수련수당…필수의료 유입 실효성 의문
- 축구 경기중 날아온 '돼지머리'…발로 찼다가 부러질 뻔(영상)
- 추성훈 "사람 안 믿는다"…왜?
- 나나, 상의 탈의 후 전신타투 제거…고통에 몸부림
- 장가현 "전남편 조성민, 베드신 간섭…신음소리도 물어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