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 들여 만든 재해 지도…재해에 ‘무용지물’

박기원 2024. 9. 25. 21: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창원] [앵커]

지난 주말과 같은 극한 호우, 안전한 장소를 미리 확인하고 사전에 대피하는 것이 인명 피해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창원시는 석 달 전, 이런 극한 호우와 침수 때 사용하기 위한 '재해 지도'를 만들었는데요,

하지만 이를 시민에게 알리지 않았고, 대피 장소도 현실과 동떨어진 곳으로 지정돼 있었습니다.

보도에 박기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도로가 마치 강처럼 변했습니다.

거센 흙탕물은 차량 창문까지 순식간에 차올랐고,

["전기차 이거 어쩌나?"]

주변 상가도 잠겼습니다.

침수된 곳에서 가장 가까운 임시 긴급 대피소를 창원시 재해지도에서 찾아봤습니다.

거리는 1.6㎞, 걸어서 25분 걸리는 바닷가 해양경찰 출장소입니다.

[지역 주민/음성변조 : "담벼락 3칸까지 물이 찼는데 실질적으로 대피가 힘들죠."]

더 큰 문제는 긴급 대피소가 지대가 더 낮은 해안가라는 점, 만조 때 안전을 장담하지 못합니다.

[지역 주민/음성변조 : "경사가 심하지 않아서 잘 모르는데 점점 이렇게 약간 기울어져 있는 거예요. 저 명동 쪽은 여기보다 많이 낮아요."]

2년 전, 자치단체가 인명피해 우려 지역을 알리지 않고 있다는 보도 이후, 창원시가 만든 재해지도.

10억 원을 들였지만 장마와 지난 주말 기록적인 비에 사실상 무용지물이었습니다.

강수량에 따라 침수 흔적을 표시한 지도와 대피 장소를 안내한 지도는 석 달 전 만들어놓고도 '시범 운영'을 이유로 시민들에게 알리지 않았습니다.

또, 산사태와 급경사지 대피 정보를 상세히 담은 다른 자치단체와 달리 '침수'로만 한정해 제작했습니다.

[지역 주민/음성변조 : "제일 긴박한 순간인데 솔직히 여기서 저기까지 어떻게 가냐는 말입니다. 119도 왔는데 진입을 못 해서 (구조를) 못하고 있었는데…."]

전문가들은 재해 정보의 정확도와 활용을 위해 시민 참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남기훈/창신대 소방방재공학과 교수 : "행정 하시는 분이나 관리적인 측면에서 보신 분들이 그냥 작성하게 되면 우리가 쉽게 말하는 전단지 형태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시민들이 관심을 갖지 않아요."]

창원시는 관련 법에 따라 지도 제작 용역을 진행했고, 각 읍면동을 통해 재해지도를 홍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박기원 기자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

박기원 기자 (pray@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