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 들여 만든 재해 지도…재해에 ‘무용지물’
[KBS 창원] [앵커]
지난 주말과 같은 극한 호우, 안전한 장소를 미리 확인하고 사전에 대피하는 것이 인명 피해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창원시는 석 달 전, 이런 극한 호우와 침수 때 사용하기 위한 '재해 지도'를 만들었는데요,
하지만 이를 시민에게 알리지 않았고, 대피 장소도 현실과 동떨어진 곳으로 지정돼 있었습니다.
보도에 박기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도로가 마치 강처럼 변했습니다.
거센 흙탕물은 차량 창문까지 순식간에 차올랐고,
["전기차 이거 어쩌나?"]
주변 상가도 잠겼습니다.
침수된 곳에서 가장 가까운 임시 긴급 대피소를 창원시 재해지도에서 찾아봤습니다.
거리는 1.6㎞, 걸어서 25분 걸리는 바닷가 해양경찰 출장소입니다.
[지역 주민/음성변조 : "담벼락 3칸까지 물이 찼는데 실질적으로 대피가 힘들죠."]
더 큰 문제는 긴급 대피소가 지대가 더 낮은 해안가라는 점, 만조 때 안전을 장담하지 못합니다.
[지역 주민/음성변조 : "경사가 심하지 않아서 잘 모르는데 점점 이렇게 약간 기울어져 있는 거예요. 저 명동 쪽은 여기보다 많이 낮아요."]
2년 전, 자치단체가 인명피해 우려 지역을 알리지 않고 있다는 보도 이후, 창원시가 만든 재해지도.
10억 원을 들였지만 장마와 지난 주말 기록적인 비에 사실상 무용지물이었습니다.
강수량에 따라 침수 흔적을 표시한 지도와 대피 장소를 안내한 지도는 석 달 전 만들어놓고도 '시범 운영'을 이유로 시민들에게 알리지 않았습니다.
또, 산사태와 급경사지 대피 정보를 상세히 담은 다른 자치단체와 달리 '침수'로만 한정해 제작했습니다.
[지역 주민/음성변조 : "제일 긴박한 순간인데 솔직히 여기서 저기까지 어떻게 가냐는 말입니다. 119도 왔는데 진입을 못 해서 (구조를) 못하고 있었는데…."]
전문가들은 재해 정보의 정확도와 활용을 위해 시민 참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남기훈/창신대 소방방재공학과 교수 : "행정 하시는 분이나 관리적인 측면에서 보신 분들이 그냥 작성하게 되면 우리가 쉽게 말하는 전단지 형태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시민들이 관심을 갖지 않아요."]
창원시는 관련 법에 따라 지도 제작 용역을 진행했고, 각 읍면동을 통해 재해지도를 홍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박기원 기자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
박기원 기자 (pray@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단독] “점수 조작까지?”…충격적인 대한체육회 스포츠 공정위원회 민낯
- ‘음주운전 생중계 사망사고’ 불붙는 사적제재 논란…정의구현일까?
- 스스로 신상 공개한 ‘류희림 민원사주 의혹’ 신고자들…“정면 승부하겠다”
- 10억 들여 만든 재해 지도…재해에 ‘무용지물’
- “돌솥 비빔밥이 중국 거라고요?”…본고장 전주가 나선다
- “전자발찌 찬 배달기사 사진”에 시끌…법 어떻길래? [이런뉴스]
- [영상] 이임생 잔디열사, 국회에 잔디 투척하고 장렬히 사퇴
- “4월에 피었다 9월에 또”…단풍철에 핀 벚꽃
- [크랩] 10시간에 걸친 축협 현안질의, 핵심만 모아봄
- 배민·쿠팡이츠 충돌…‘이중가격제’가 불 붙인 배달앱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