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에 교육현장 '시름'… "대책 마련 시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관리·감독을 두고 일선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애를 먹고 있다.
B 고등학교 주모 교사는 "스마트기기 관련한 지식은 교사들이 학생들을 따라갈 수가 없다. 가상 사설망(VPN)을 통하는 건 부지기수고, 관리자 권한 자체를 변경하는 방법이 공공연히 공유되고 있다"며 "최근에는 딥페이크 성범죄와 사이버불링 같은 온라인 범죄가 다변화하는데 이를 바로잡을 만한 교육 시스템이 체계적이지 않아 걱정"이라고 푸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플·데이터 차단 등 도입해도 우회 수단 공유 "바로잡기 어려워"
학교급별 사이버 중독 예방 교육 3-5시간 실시… 실효성 의문점
전문가 "미디어 리터러시 중요성 확대… 맞춤형 교육 시행 필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관리·감독을 두고 일선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애를 먹고 있다.
교실은 물론 등하굣길에서까지 스마트폰에 눈을 떼지 않는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각종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다.
25일 방송통신위원회 '2023년 방송매체이용행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주 5일 이상 스마트폰을 이용한 10대 청소년의 비율은 99.5%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사실상 모든 청소년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셈인데, 이 같은 과의존 현상이 지나쳐 학습현장 곳곳에서 부작용이 뒤따른다는 지적이다.
실제 여성가족부의 관련 진단조사 결과를 보더라도 같은 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은 23만 634명으로 전체 청소년의 18.06%를 차지했다.
충청지역 A 중학교의 경우 수업시간 전에 스마트폰을 수거하지만, 평소 사용하지 않는 이른바 '깡통폰'을 제출하거나 여분의 스마트폰을 숨겨서 사용하는 학생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올 초 국가인권위원회가 '학교에서 학생의 휴대전화 소지를 전면 제한하는 것은 인권침해'라는 판단을 내린 것도 부담이다.
A 중학교 김모 교사는 "수업시간에 몰래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몰폰족'이 학급마다 한두 명씩은 꼭 있다"며 "학교 밖이 더 문제다. 횡단 보도를 건너면서도 스마트폰을 만지는 '스몸비'(스마트폰+좀비) 학생들을 보면 심장이 덜컥 내려앉는다"고 토로했다.
수업시간이나 스쿨존 등 특정 시간대나 장소에서 어플 접속과 데이터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도입하더라도 임시 방편에 불과하다는 게 교사들의 일관된 목소리다.
학생 1명당 교육용 태블릿PC를 각 1대씩 보급한 B 고등학교는 본래 목적과 달리 학생들이 유튜브나 소셜미디어(SNS) 등에 우회 접속하는 탓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B 고등학교 주모 교사는 "스마트기기 관련한 지식은 교사들이 학생들을 따라갈 수가 없다. 가상 사설망(VPN)을 통하는 건 부지기수고, 관리자 권한 자체를 변경하는 방법이 공공연히 공유되고 있다"며 "최근에는 딥페이크 성범죄와 사이버불링 같은 온라인 범죄가 다변화하는데 이를 바로잡을 만한 교육 시스템이 체계적이지 않아 걱정"이라고 푸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전문가들은 학교급별 3-5시간씩 의무적으로 실시하는 사이버 중독 예방 교육을 현실화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학교별로 제각각인 예방 교육을 학년별 발달 단계에 맞춰 구체화하고, 단순히 스마트폰 사용량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기보다 미디어 정보를 건강하게 수용·제공하도록 교육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신지혜 대전청소년상담복지센터 미디어전담상담사는 "미디어에 접속하지 않고는 살아가는 게 어려운 시대다. 교과목 공부도 인터넷 강의를 통하지 않나"라며 "청소년들에게 스마트기기 사용량만을 줄이라고 교육하면 실효성이 떨어진다. 미디어 콘텐츠를 건강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비판적 사고를 길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이버 중독 예방 교육도 학교마다 내용이 다르다. 대체로 외부 강사가 전교생을 대상으로 일괄 수업을 진행하는데 강사별로 각기 다른 자료를 활용한다"며 "청소년들은 미디어 콘텐츠의 수용자인 동시에 공급자다. 딥페이크나 저작권 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확대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산과 당진, 태안 지역에 대규모 단수 사태 발생...보령광역상수도 파손 - 대전일보
- '충남 보령댐 광역상수도 고장'...도내 서북부 33만여 명 단수 불편 - 대전일보
- 尹대통령 지지율 17%…한 주 만에 역대 최저치 경신 - 대전일보
- 충남 홍성 카센터서 화재… 7900여만 원 피해 - 대전일보
- 韓, 尹 담화 첫 입장…"이제 민심에 맞는 실천이 중요" - 대전일보
- 윤 대통령, 제주 선박 침몰사고에 "자원 총동원해 구조에 만전" - 대전일보
- 대통령실 "김 여사, 尹 대통령 다음 순방에 동행 안 해" - 대전일보
- 명태균 "돈 1원도 받은 적 없다" 검찰 소환 조사 출석 - 대전일보
- [뉴스 즉설]10% 중반 아니면 8-9%, 늪에 빠진 尹 지지율 바닥은 어디? - 대전일보
- '사격' 김예지, 선수생활 중단한 진짜 이유는…'악플'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