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참전… 어른 싸움된 `시니어케어`
금융지주 핵심 신사업 각축장으로
KB·신한·하나 등 포트폴리오 강화
KB금융과 신한금융에 이어 하나금융이 그룹의 미래 먹거리로 요양 서비스를 띄운다. 초고령사회를 맞아 보험 계열사 차원의 경쟁이 금융그룹 차원의 핵심 신사업 각축전으로 확전된 것이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금융은 하나생명을 사업 주체로 해 서울 및 수도권에 '하이엔드 요양센터'를 설립해 요양 사업에 진출할 계획이다. 최근 관련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며 사업 방향을 구체화하고 있다. 그룹 차원에서 신사업을 지원하며, 하나생명을 포함한 전 계열사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구상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요양시설을 운영하려면 토지와 건물을 직접 소유해야 해 부담이 크다"면서도 "수도권 중심으로 부지 물색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당 요양센터는 노인의료복지시설로, 치매나 중풍 등 노인성 질환으로 인해 도움이 필요한 입소 노인에게 생활 지원 및 간호·의료지원·재활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요양 시장에 진출한 보험사들이 '프리미엄 시니어 라이프 케어'를 앞세우면서, 이와 차별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은 개원한 지 15년 된 '하나케어센터'와 연계한 사업도 추진할 전망이다. 하나케어센터는 하나금융공익재단이 운영하는 곳으로, 경기 남양주시에 위치해 있으며 정원은 99명 규모다. 하나금융은 "본격적으로 사업에 뛰어들어, 아직 관련 계획은 미정"이라고 설명했다.
요양 서비스는 보험업계에서 숙원 사업 중 하나로 꼽힌다. 보험사들은 고령화, 저출생,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업황 악화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요양 사업을 검토한다. 다만, 사업 주체가 요양시설로 활용할 건물과 함께 토지까지 직접 소유해야 해, 막대한 자본과 인력 등 초기 투자 비용을 감내할 대형 보험사나 자본력이 있는 금융지주 계열사들이 뛰어들고 있다.
현행 노인복지법에 따르면 요양 시설 사업자는 30인 이상의 요양시설을 운영하기 위해 토지와 건물을 직접 소유하거나 공공부지를 임차해야 한다. 최근 트렌드인 도심형 프리미엄 요양시설과 실버타운(노인복지주택) 설립에 맞춰, 고금리 장기화 속 토지 매입과 건축 비용 부담은 더 커졌다.
현재 금융지주 중 요양 사업을 본격화한 곳은 KB금융과 신한금융이다. KB금융은 KB라이프생명의 자회사인 KB골든라이프케어를 통해 요양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다. 앞서 지난 2017년 서울 강동구에 '강동케어센터(주야간보호시설)'를 개소한데 이어, 'KB골든라이프케어 위례빌리지(2019년 개소)', 'KB골든라이프케어 서초빌리지(2021년 개소)' 등 프리미엄 노인요양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위례빌리지의 경우 일정한 시간 동안 케어센터에서 이용자의 활동을 지원하는 주·야간보호센터(데이케어센터)도 제공 중이다.
해당 요양시설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위례빌리지는 선보인 지 1년 만에 입소 대기자만 1300여명을 넘어섰고, 서초빌리지는 정원 80명인 시설에 개소 전 사전 접수에만 신청자 약 300명이 몰렸다. 두 곳의 시설 대기자는 약 5000명으로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KB라이프는 적극적인 인프라 투자를 통해 요양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노인주택 서비스 확장을 위해 지난해 말 선보인 '평창카운티'에 이어, 내년에 '은평·광교·강동빌리지(가칭)'를 차례대로 개소할 예정이다.
신한금융도 핵심 보험 자회사인 신한라이프를 통해 본격 경쟁에 뛰어든다. 신한라이프는 자회사인 신한라이프케어를 통해 오는 4분기 재가노인복지시설을 첫 요양 사업으로 계획하고 있다. 이르면 다음 달 중 주·야간보호센터를 선보인 이후, 내년 경기 하남에 요양시설과 2028년 서울 은평에 실버타운 등 요양 사업을 지속해 추진할 예정이다. 이 밖에 NH농협금융도 농협생명을 통해 요양 신사업을 모색하고 있다. 농협생명은 지난해 말 조직 개편을 통해 신설한 '신사업추진단'을 통해 사업 세부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신한금융이 요양 사업을 수도권 중심으로 계획하며 수년간 부지 선정하는 데 녹록지 않았고, 농협금융 역시 아직도 사업 방안을 잡지 못하고 있다"며 "하나금융도 요양 규제로 인한 걸림돌이 있는 만큼 차별화를 내세우는 것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임성원기자 sone@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친 살아있나요" 중상입은 뺑소니 피해자 눈물…마세라티 운전자 추적
- 새벽까지 술마시다 선배 여경 폭행한 여경…"시끄러워" 이웃이 신고
- `이별 통보 여친 흉기살해` 김레아에 무기징역 구형…"매순간 죄송"
- "꿈이 영화배우 아니었어?"…`미스코리아 진` 22세 연대생 당찬 포부에 `깜짝`
- 정관 수술 받았는데 가방에 콘돔 넣고 다닌 아내…이혼 하자니 "아파트 달라"
- KDI "중장기 민간소비 증가율 1%대 중반"
- 현대차그룹, 폭스바겐 누르고 수익성 톱2 등극
- 믿을 건 밸류업뿐인데…세제 인센티브, 국회 통과 `하세월`
- 코스피 하락 베팅 `곱버스` 거래량↑…"트럼프 리스크 주의해야"
- 성수·영등포 확 바뀌나… 서울 준공업지역 규제 확 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