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韓 ‘빈손 만찬’에 친한 “발언 기회 없어” vs 친윤 “스스로 안한 것”
김소영 동아닷컴 기자 2024. 9. 25. 17:02
한동훈 “만찬 성과는 저녁 먹은 것…尹과 허심탄회한 논의 필요”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도부의 24일 만찬 회동을 두고 당내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친한(친한동훈)계는 “말할 기회가 없었다”며 윤 대통령과 한동훈 대표의 독대 필요성을 강조한 반면, 친윤(친윤석열)계는 “충분히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였다”고 일축했다. 만찬 자리에서는 의정 갈등 해법이나 김건희 여사 문제 등 현안에 대한 논의가 전혀 오가지 않아 ‘빈손 회동’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 대표는 25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만찬의 성과는 저녁을 먹은 것”이라며 “현안 관련 이야기가 나올 만한 자리는 아니었다. 소통의 과정으로 길게 봐주면 어떨까 싶다”라고 말했다. 이어 “(만찬은) 일도양단으로 (성과가) 있다, 없다고 말할 것이 아니라 대통령실에서도 중요한 문제에 대해 해법을 찾으려고 생각하면 저와 같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날 한 대표는 홍철호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에게 윤 대통령과의 독대를 다시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는 이에 대해 “대통령과 중요한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의 응답 여부에 대해선 “기다려보자”고 했다. 독대 요청을 둘러싼 당정 갈등 우려에 대해선 “정치는 민생을 위해 대화하고 좋은 해답을 찾는 과정이다. 그렇게 해석할 문제는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전날 만찬에 참석한 친한계 장동혁 최고위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야외에서 식사했고 테이블이 길었기 때문에 집중해서 무게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니었다”며 “당 대표나 원내대표 인사말 없이 곧바로 식사를 해서 현안에 대해 논의할 기회는 따로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한 대표가) 당 대표로서 적어도 건배사나 인사말을 할 수 있는 정도의 기회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준비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런데 그런 기회도 없었다”며 “그래서 (한 대표가) 재차 ‘독대가 빨리 이뤄졌으면 좋겠다, 그런 자리를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장 최고위원은 “국민이 여러 현안에 대해 대통령과 당 대표가 만나서 이 문제를 해결해 줬으면 하는 열망이 있는데 형식이 내용보다 앞서가서 결국 독대가 무산되는 것은 안타깝다”며 “(대통령실이 거부하더라도 한 대표가) 독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두세 번이라도 독대 요청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친한계 김종혁 최고위원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한 대표가 (만찬장에) 일찍 가서 뭔가 말할 기회를 기다렸던 것 같다. 독대는 안 한다고 했지만 윤 대통령이 일찍 와서, 혹은 끝나고 나서라도 한 대표에게 ‘잠깐 얘기하자’는 상황이 연출되지 않을지 내심 기대했던 것 같은데 전혀 없었다”고 전했다.
이어 “최고위원 지도부가 새로 형성됐으니 (대통령이) ‘요새 어떠냐’고 의견이라도 물어보면 (저도) ‘추석 때 가보니까 민심이 어떻다’고 말씀드리려고 했는데 그런 분위기가 아니었다”며 “(발언 기회가) 하나도 없었다”고 말했다. 전날 만찬에서 오간 대화는 윤 대통령이 발언하면 참석자들이 추임새를 넣는 정도였다고 한다.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도부의 24일 만찬 회동을 두고 당내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친한(친한동훈)계는 “말할 기회가 없었다”며 윤 대통령과 한동훈 대표의 독대 필요성을 강조한 반면, 친윤(친윤석열)계는 “충분히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였다”고 일축했다. 만찬 자리에서는 의정 갈등 해법이나 김건희 여사 문제 등 현안에 대한 논의가 전혀 오가지 않아 ‘빈손 회동’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 대표는 25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만찬의 성과는 저녁을 먹은 것”이라며 “현안 관련 이야기가 나올 만한 자리는 아니었다. 소통의 과정으로 길게 봐주면 어떨까 싶다”라고 말했다. 이어 “(만찬은) 일도양단으로 (성과가) 있다, 없다고 말할 것이 아니라 대통령실에서도 중요한 문제에 대해 해법을 찾으려고 생각하면 저와 같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날 한 대표는 홍철호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에게 윤 대통령과의 독대를 다시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는 이에 대해 “대통령과 중요한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의 응답 여부에 대해선 “기다려보자”고 했다. 독대 요청을 둘러싼 당정 갈등 우려에 대해선 “정치는 민생을 위해 대화하고 좋은 해답을 찾는 과정이다. 그렇게 해석할 문제는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전날 만찬에 참석한 친한계 장동혁 최고위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야외에서 식사했고 테이블이 길었기 때문에 집중해서 무게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니었다”며 “당 대표나 원내대표 인사말 없이 곧바로 식사를 해서 현안에 대해 논의할 기회는 따로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한 대표가) 당 대표로서 적어도 건배사나 인사말을 할 수 있는 정도의 기회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준비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런데 그런 기회도 없었다”며 “그래서 (한 대표가) 재차 ‘독대가 빨리 이뤄졌으면 좋겠다, 그런 자리를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장 최고위원은 “국민이 여러 현안에 대해 대통령과 당 대표가 만나서 이 문제를 해결해 줬으면 하는 열망이 있는데 형식이 내용보다 앞서가서 결국 독대가 무산되는 것은 안타깝다”며 “(대통령실이 거부하더라도 한 대표가) 독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두세 번이라도 독대 요청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친한계 김종혁 최고위원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한 대표가 (만찬장에) 일찍 가서 뭔가 말할 기회를 기다렸던 것 같다. 독대는 안 한다고 했지만 윤 대통령이 일찍 와서, 혹은 끝나고 나서라도 한 대표에게 ‘잠깐 얘기하자’는 상황이 연출되지 않을지 내심 기대했던 것 같은데 전혀 없었다”고 전했다.
이어 “최고위원 지도부가 새로 형성됐으니 (대통령이) ‘요새 어떠냐’고 의견이라도 물어보면 (저도) ‘추석 때 가보니까 민심이 어떻다’고 말씀드리려고 했는데 그런 분위기가 아니었다”며 “(발언 기회가) 하나도 없었다”고 말했다. 전날 만찬에서 오간 대화는 윤 대통령이 발언하면 참석자들이 추임새를 넣는 정도였다고 한다.
반면 친윤계 김재원 최고위원은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말도 못 하게 막는 분위기는 아니었고, 발언하려면 할 수 있는 분위기였다. 한 대표가 윤 대통령을 마주 보고 있어 이야기를 꺼낼 기회는 충분히 있었는데 한 대표 스스로 ‘이 자리에서는 이야기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한 것 아닌가”라고 반박했다.
김 최고위원은 한 대표의 계속되는 독대 요청과 관련해 “독대 요청을 거절하면 대통령이 한 대표를 불신하고 여론에 귀를 닫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소지를 공개적으로 만들어 놓는 것이고, 독대 요청을 수용하면 대통령이 한 대표에게 굴복했다는 프레임을 씌울 수 있다”며 “대통령실 입장에선 한 대표가 대통령을 자꾸 궁지에 몰아넣는 거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소영 동아닷컴 기자 sykim41@donga.com
김 최고위원은 한 대표의 계속되는 독대 요청과 관련해 “독대 요청을 거절하면 대통령이 한 대표를 불신하고 여론에 귀를 닫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소지를 공개적으로 만들어 놓는 것이고, 독대 요청을 수용하면 대통령이 한 대표에게 굴복했다는 프레임을 씌울 수 있다”며 “대통령실 입장에선 한 대표가 대통령을 자꾸 궁지에 몰아넣는 거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소영 동아닷컴 기자 sykim41@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민주-의협 ‘정부 뺀 협의체’ 논의…李 “정부 개방적으로 나와야”
- 귀국 尹, 마중나온 韓과 대화없이 악수만…24일 만찬 ‘갈등 분수령’
- ‘의료계 블랙리스트’ 작성 32명 중 30명은 의사…2명 의대생
- 檢, ‘文 前사위 특채 의혹’ 관련 前 청와대 행정관 27일 소환
- 곽노현, 진보 교육감 단일화 경선 탈락…강신만-정근식-홍제남 압축
- 이재명 사법리스크 재점화에…민주당 “법 왜곡죄 상정”
- “거짓말처럼” 하루만에 8.3도 뚝↓…불쑥 찾아온 가을
- 故장기표, 김문수에 “너부터 특권 내려놓으면 안되겠나”
- “연금개혁안 도입되면 75·85·95년생 150만원 더 낼 수도”
- “천석꾼 가세 기울었어도, 독립운동 아버지 원망은 이제 안 해요”[동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