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AI 연구협력 새 장···'글로벌 AI 프런티어랩' 개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 미국의 AI연구협력에 새로운 장이 열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원장 홍진배)은 24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린다 밀스 뉴욕대 총장 등 국내외 인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글로벌 AI 프런티어랩(Global AI Frontier Lab)'의 성공적 출범을 알리는 개소식을 개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방은주 기자)한국과 미국의 AI연구협력에 새로운 장이 열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원장 홍진배)은 24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린다 밀스 뉴욕대 총장 등 국내외 인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글로벌 AI 프런티어랩(Global AI Frontier Lab)'의 성공적 출범을 알리는 개소식을 개최했다.
뉴욕 메트로테크센터에 들어설 '글로벌 AI 프런티어랩'은 오는 2028년까지 과기정통부가 450억원, 뉴욕대가 420억원(약 3150만달러)을 투자해 ▲AI원천 알고리즘 ▲신뢰와 책임있는 AI ▲의료 및 헬스케어 AI 등 3개 분야에서 한미 우수 연구자간 공동연구를 한다. 뉴욕대는 노벨상 38명과 튜링상(컴퓨터 분야 노벨상으로 불림) 8명을 배출했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뉴욕구상 발표(`22.9월), 디지털 권리장전 기본원칙 제시(`23.9월), AI 서울 정상회의 개최(`24.5월) 등을 통해 안전·혁신·포용을 조화한 글로벌 디지털 규범을 선도, 글로벌 협력의 지평을 세계로 넓혀왔다. 이에 발맞춰, 정부는 이날 글글로벌 AI 프론티어랩도 새로 만들었다. 최고 수준의 한-미(韓-美) 공동 AI연구진 구성과 연구과제 기획으로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이 세계적 AI 국제공동연구 플랫폼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개소식에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대한민국과 미국의 AI 협력·혁신에 새 전환점을 맞이하는 중요한 순간”이라며 “韓·美 파트너십의 차원을 확장해나가자”고 밝혔다. 행사에는 유 장관과 밀스 뉴욕대 총장 외에 뉴욕시 경제개발공사 회장(앤드류 킴볼) 등도 참석,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개소와 나아가 한미간 긴밀한 AI 파트너십 구축을 축하했다.
또 미국 대표연구자인 뉴욕대 얀 르쿤 교수가 ‘AI가 나아갈 방향과 한미 AI 협력 중요성’을, 한국 대표연구자인 포스텍(POSTECH) 한욱신 교수가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을 통한 한미 AI 협력방향’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발표를 한 얀 르쿤 교수는 글로벌 AI 4대 석학 중 한 명으로,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공동소장을 맡는다. 또 한 교수는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의 3개 분야 국제공동연구 과제 중신뢰 AI 분야 연구책임자다.
유 장관 등 양측 참석자들은 글로벌 AI 프론티어 연구 현장을 찾아 연구자와도 소통했다. 연구진과 AI 미래, AI 연구 협력방향을 나눴고, 연구진은 △원천 AI △신뢰 AI △의료·헬스케어 AI 등 3개 분야의 글로벌 AI R&D를 통해 세계적인 AI 연구 성과 창출에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개소식은 한국과 미국 간 AI 연대를 위한 중요한 첫 걸음이 될 것"으로 평가하며 "향후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이 한미 양국 간 과학기술동맹 강화 및 국내 AI 기업의 미국 진출 전진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방은주 기자(ejbang@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첫 아카데미 연 오픈AI, 글로벌 AI 개발자 네트워크 구축 본격화
- "27만 LG인에 'AI 비서' 제공···글로벌 수준 AI 확보 뿌듯"
- 美, 11월 글로벌 AI 안전 연구소 회담 개최
- 책임감 있는 AI...글로벌 통신사 표준 로드맵 나왔다
- 배달앱 상생협의체, 수수료 합의 실패…11일 최종안 받기로
- KT "내년 MS 협업 매출 확대로 폭발적 성장 기대"
- 네이버, 3분기 영업익 5253억원…전년비 38.2%↑
- 삼성전자, 가전 구독 사업 출시 임박…LG와 맞장
- 이동채 전 회장 "트럼프 2기, K배터리 기회 상존"
- LG유플러스, 3Q 영업익 2460억…전년 比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