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서막 연 페트라르카의 < 칸초니에레> 첫 완역본 발간

박세열 기자 2024. 9. 24. 20: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단테와 더불어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시인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Francesco Petrarca, 1304~1374)의 작품집 <칸초니에레> (김운찬 역, 아카넷)의 국내 최초 완역본이 나왔다.

<칸초니에레> 는 페트라르카의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 그가 평생에 걸쳐 쓴 서정시 모음집이다.

<칸초니에레> 는 그동안 우리말로 제한적으로만 만날 수 있었는데, 국내 이탈리아 문학계 권위자인 김운찬 대구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가 이번에 완역을 마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프레시안book]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 <칸초니에레> , 김운찬 역

단테와 더불어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시인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Francesco Petrarca, 1304~1374)의 작품집 <칸초니에레>(김운찬 역, 아카넷)의 국내 최초 완역본이 나왔다.

<칸초니에레>는 페트라르카의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 그가 평생에 걸쳐 쓴 서정시 모음집이다. 페트라르카가 자필로 쓴 원고에 적힌 제목은 '계관시인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의 속어로 쓴 단편적 시들'이다. <칸초니에레>는 그동안 우리말로 제한적으로만 만날 수 있었는데, 국내 이탈리아 문학계 권위자인 김운찬 대구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가 이번에 완역을 마쳤다.

페트라르카는 중세에서 근대로 가는 관문에 있는 대표 작가다. 페트라르카는 고전 그리스 문헌을 탐구하고 소개하는 작업을 통해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문을 활짝 여는 데 큰 기여를 한 인물로 '인문주의의 아버지', '최초의 인문주의자'로 일컬어진다.

고전 문헌 탐구를 해 온 페트라르카는 주로 라틴어로 작품 활동을 했고 이를 통해 계관시인이라는 명성도 얻었다. 그러나 <칸초니에레>는 단테가 <신곡>을 쓸 때 그랬듯 피렌체 속어로 썼다. '그리스 인문주의' 부활의 문을 연 그가 라틴어 작업을 벗어나 '여흥거리'로 쓴 글들이 오히려 세상 사람들을 사로잡은 셈이다.

<칸초니에레>는 페트라르카가 살던 당대에 큰 인기를 누렸다. 페트라르카의 소네트로부터 자극을 받은 영국의 대문호 셰익스피어는 '셰익스피어 소네트'를 낳는다. 그만큼 페트라르카의 <칸초니에레>는 ​400여 년간 근대 유럽 문학사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당대 최고의 음악가이자 피아니스트였던 프란츠 리스트는 페트라르카의 47번, 104번, 123번 소네트를 피아노 곡으로 만들기도 했다. 마키아벨리는 128번 시 중 "역량이 광기에 대항하여 / 무기를 들고, 전투는 짧게 끝날 것이니, / 이탈리아인들의 가슴속에서 / 옛날의 용기가 아직 죽지 않았기 때문이오"라는 구절을 <군주론>의 결구로 인용했다.

전체 366편으로 이루어진 <칸초니에레>는 페트라르카가 거의 40년에 걸쳐 쓴 시를 한데 모은 것인 만큼 그 형식 또한 소네트, 칸초네, 세스티나, 발라드, 마드리갈 등 다양하다.

<칸초니에레>는 중세의 신 중심 세계관에서 벗어나 인간의 경험에 주목하고 고전 인문주의를 새롭게 발견한 르네상스를 연 작품이면서 시대를 초월해 보편적 울림을 갖는 고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에 첫 완역본을 선보인 역자 김운찬 명예교수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탈리아어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이탈리아 볼로냐대학교에서 움베르토 에코의 지도로 '화두'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지은 책으로 <현대 기호학과 문화 분석>, <신곡 읽기의 즐거움>, <움베르토 에코>가 있고, 단테의 <신곡>, <향연> 등 다수의 고전을 번역했다.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 <칸초니에레>, 김운찬 역 ⓒ아카넷

[박세열 기자(ilys123@pressian.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