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희토류 등 반도체 원자재 ‘중국 그늘’ 못 벗어나
생산기지 다각화 등 공급망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국내 기업들의 노력에도 지난해 반도체 핵심 원자재에 대한 중국 수입 의존도가 전년보다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공급망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인 정책과 정보체계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24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펴낸 ‘이슈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반도체 핵심 원자재의 중국 의존도는 2022년보다 대체로 높아졌다. 특히 반도체 기본 재료인 웨이퍼를 만드는 실리콘의 경우 지난해 전체 수입량의 75.4%를 중국에 의존했다. 전년보다 6.6%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반도체 연마재에 사용되는 희토류와 금속 배선의 주된 원료인 텅스텐의 중국 의존도는 각각 61.7%, 68.8%로 나타났다. 이 역시 전년 대비 각각 2.1%포인트, 0.4%포인트 확대했다.
해외경제연구소는 “반도체의 모든 원자재 수입 편중도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최대 의존국이 중국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지난해 국내 기업들은 중국에서의 사업 확장, 설비 투자를 전면 중단하면서 생산 다각화를 꾀했지만, 중국 의존 현상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중국 등 우려국에 반도체 시설의 신규 건설·확장을 제한하는 미국 반도체 법 가드레일 조항의 영향으로, 지난해 국내 반도체 분야의 중국 해외직접투자(FDI) 비중은 2022년 80.8%에서 0.8%로 급감한 바 있다. 그럼에도 주요 기업들의 중국 현지 생산이 특별히 줄어든 것은 아니다. 기존 공장들은 계속 가동됐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낸드플래시 중국 시안공장 생산 비중은 2021년 29%, 2022년 36%, 2023년 37%로 상승했고 올해 4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SK하이닉스의 D램 우시공장 생산 비중은 같은 기간 49%, 47%, 42% 등으로 떨어지긴 했지만 올해까지도 40% 선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연구소는 세계 주요국의 산업정책이 “첨단산업 주도권 보호, 공급망 안정성 확보, 친환경 목표 달성 등에 집중하고 있다”며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효율적인 정책 설계와 성과 추적을 위한 정보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지혜 기자 kim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통령실 “김 여사, 다음 순방 동행 않기로”…이후 동행 여부는 그때 가서 결정
- 명태균 “청와대 가면 뒈진다고 했다”…김건희에게 대통령실 이전 조언 정황
- 김예지, 활동 중단 원인은 쏟아진 ‘악플’ 때문이었다
- [속보] “아내 순진…잠 안 자고 내 폰 봐서 ‘미쳤나’ 그랬다” [대통령 기자회견]
- [제주 어선침몰]생존자 “그물 들어올리다 배가 순식간에 넘어갔다”
- [트럼프 2기]트럼프 당선 이후 유산유도제 수요 급증···임신중단권 제한 우려
- ‘프로포폴 불법 투여’ 강남 병원장 검찰 송치···아내도 ‘중독 사망’
- 이마트 “가을배추 한포기 1661원”
- 주말 서울 도심 대규모 집회…“교통정보 미리 확인하세요”
- 대구 한 아파트서 부부 숨진 채 발견…경찰 “외부 침입은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