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핵심 원자재 ‘중국 의존도’ 지난해 더 높아졌다
생산기지 다각화 등 공급망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국내 기업들의 노력에도 지난해 반도체 핵심 원자재에 대한 중국 수입 의존도가 전년보다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공급망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인 정책과 정보 체계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24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펴낸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핵심 원자재의 중국 의존도는 2022년보다 대체로 높아졌다.
반도체 기본 재료인 웨이퍼를 만드는 실리콘의 경우 지난해 전체 수입량의 75.4%를 중국에 의존했다. 전년보다 6.6%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반도체 연마재에 사용되는 희토류와 금속 배선의 주된 원료인 텅스텐의 중국 의존도는 각각 61.7%, 68.8%로 나타났는데, 이 역시 전년 대비 각각 2.1%포인트, 0.4%포인트 확대했다.
연구소는 “반도체의 모든 원자재 수입 편중도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최대 의존국이 모두 중국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특히 갈륨·게르마늄, 희토류의 경우 각각 지난해 8월과 12월 중국의 수출 통제가 시행됐음에도 대중국 수입 의존도가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내 기업들은 중국에서의 사업 확장, 설비 투자를 전면 중단하면서 생산 다각화를 꾀했지만 중국 의존 현상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중국 등 우려국에 반도체 시설의 신규 건설·확장을 제한하는 미국 반도체 법 가드레일 조항의 영향으로, 지난해 국내 반도체 분야의 중국해외직접투자(FDI) 비중은 2022년 80.8%에서 0.8%로 급감한 바 있다.
그럼에도 주요 기업들의 중국 현지 생산이 특별히 줄어든 것은 아니다. 기존 공장들은 계속 가동됐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낸드플래시 중국 시안공장 생산 비중은 2021년 29%, 2022년 36%, 2023년 37%로 상승했고 올해 4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SK하이닉스의 D램 중국 우시 공장 생산 비중은 같은 기간 49%, 47%, 42% 등으로 떨어지긴 했지만 올해까지도 40% 선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세계 주요국의 산업 정책이 “첨단산업 주도권 보호, 공급망 안정성 확보, 친환경 목표 달성 등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효율적인 정책 설계와 성과 추적을 위한 정보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지혜 기자 kim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통령실 “김 여사, 다음 순방 동행 않기로”…이후 동행 여부는 그때 가서 결정
- 명태균 “청와대 가면 뒈진다고 했다”…김건희에게 대통령실 이전 조언 정황
- 김예지, 활동 중단 원인은 쏟아진 ‘악플’ 때문이었다
- 유승민 “역시 ‘상남자’···사과·쇄신 기대했는데 ‘자기 여자’ 비호 바빴다”
- [제주 어선침몰]생존자 “그물 들어올리다 배가 순식간에 넘어갔다”
- [트럼프 2기] 한국의 ‘4B’ 운동이 뭐기에···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서 관심 급증
- ‘프로포폴 불법 투여’ 강남 병원장 검찰 송치···아내도 ‘중독 사망’
- 서울대 외벽 탄 ‘장발장’···그는 12년간 세상에 없는 사람이었다
- 주말 서울 도심 대규모 집회…“교통정보 미리 확인하세요”
- 조훈현·이창호도 나섰지만···‘세계 유일’ 바둑학과 폐지 수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