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젊은 날의 ‘꿈의 공장’, 굿바이 대한극장 [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2024. 9. 24. 12: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충무로의 상징 영화관 대한극장이 오는 9월 30일 영업을 종료한다. 1958년 개관한 대한극장은 대형 멀티플렉스 극장과 OTT의 성장에 밀려 수 년간 적자가 누적됐다. 이에 지난달 말 마지막 영화 상영을 끝으로 폐업하며 운영사인 세기상사는 대한극장 건물을 리모델링해 공연장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뉴스1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한국 영화를 상징하며 충무로를 대표하는 영화관, 대한극장이 66년 역사의 막을 내린다.

대한극장이 문을 닫는다는 소식을 이제 알았다. 아쉬워하는 사람들이 많을 텐데, 나도 그 중 한 사람이다. 황급히 찾아갔지만 이미 극장 앞에는 펜스가 처져있고, 공사 중이라 온통 먼지 투성이였다.

1985년 교환학생으로 한국에 온 나는 처음 3년을 서울시 중구 필동에 살았다. 그래서 필동 주변의 거리가 바로 내 한국의 첫 풍경이다. 한국인 여학생과 함께 자취를 시작했는데, 살던 집에서 대한극장까지는 아마 걸어서 5분도 안 걸렸을 것이다. 엎어지면 코 닿을 곳이랄까!

당시 나는 영화를 자주 보러 가는 형편이 아니었다. 그래도 시험이 끝나고 친구와 영화를 보거나 근처 시장을 간 기억이 난다. 단관극장 시절 대한극장의 공기는 지금도 느껴지는데, 일상과 구별되는 내겐 아주 특별한 공간이었다.

1958년 개관한 대한극장은 국내 최초 70㎜ 초대형 스크린 시대를 열었고, 1962년 영화 ‘벤허’의 전차 액션을 보려는 관객들이 전국에서 몰려와 ‘벤허 극장’이란 애칭을 얻었다. 이 밖에도 ‘사운드 오브 뮤직’, ‘마지막 황제’ 등 대작을 주로 상영하며 영화산업을 이끌었다. 미국 영화사 20세기 폭스의 설계로 영화를 볼 때 빛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설계한 한국의 첫 번째 ‘무창(無窓) 영화관’이었다고 한다. 알고 보니 내 친오빠와 같은 나이로 우리는 비슷한 시대와 역사를 살아온 셈이다.

길을 오가며 나는 극장에 걸린 커다란 간판 그림이 바뀔 때마다 한참을 올려다보고 상상의 나래를 펼쳤다. 극장 앞은 사람들과 만나는 약속의 장소가 되기도 했다. 이렇게 대한극장은 늘 내게 친근한 장소였다. 아, 그리고 1980년대 한참 시위가 많이 일어났던 때 눈물을 흘리며 그 앞은 지나간 적도 생각난다. 아마도 한국의 매운 최루탄 맛을 그곳에서 배웠을 것이다.

작은 골목골목에는 하숙집, 밥집, 술집, 인쇄소, 철물점 등이 그득해 신기롭게 보였다. 대한극장을 기점으로 남산, 충무로에서 퇴계로로 가는 거리, 인현시장. 중부시장, 명보극장, 청계천과 서울극장, 단성사, 피카디리극장을 비롯해 종로까지가 내가 즐겨 걷는 곳이었다. 뜨거운 심장의 동국대 학생들과 밥도 먹고 술도 마셨지만, 나는 혼자 거리를 걷는 것을 더 좋아했다. 500원 내고 동국대 학생극장을 다녔고, 500원짜리 국밥, 500원짜리 짜장면을 먹기도 했다. 극장 이야기를 하다가 삼천포에 빠진 것 같지만, 그만큼 그때의 추억은 전부 극장이 있는 거리에서 이루어졌고, 모두가 강렬하게 기억에 남아있다.

내가 한국 영화에 빠진 계기는 당시 명보극장에서 본 임권택 감독의 ‘씨받이’였다. ‘씨받이’란 소재도 충격적이었는데, 강수연 배우가 연기한 옥녀의 마지막 모습을 카메라가 따라가는 동선이 기가 막혀 그 이미지가 뇌리에 깊이 남아 지금도 또렷하게 떠오른다. 또한 국도극장에서 본 ‘서울 무지개’의 기억도 깊게 남아있다. 이들 극장에서 나는 주로 한국 영화를 봤고, 혼자서 조조할인으로 봤다.

대한극장의 폐관 소식을 듣고 오랜만에 주변을 찾아 걸어보니 새로 들어선 건물과 가게가 있지만, 의외로 아직 남아있는 자그마한 건물들이 뒤죽박죽 섞여 있고 옛 내음이 풍겨오는 듯해 살며시 마음이 놓였다. 더 걷고 싶었지만 가을을 재촉하는 비가 종일 내리는 바람에 접을 수밖에 없었다. 극장 내부를 보고 싶었지만 이 또한 쉽지 않았기에 필동면옥을 찾아 슴슴한 냉면 한 그릇으로 나의 착잡한 마음을 달랠 수밖에.

지금 한국의 영화산업이 위기라는데, 한편으론 영화상영관의 위기가 아닐까? 코로나19와 OTT로 일본에서도 마찬가지로 사라지는 영화관이 많다. 한국에 오기 전 도쿄에서 자주 찾던 영화관이 이와나미홀(岩波ホール)이다. 이곳도 2022년 7월 말, 54년 역사에 종지부를 찍었다고 한다. 피아라는 정보잡지를 한 손에 들고, 보고 싶은 영화를 골라 극장을 찾았었다. 그곳에서 마지막으로 본 영화는 6시간이 넘는 인도영화 ‘길의 노래’였는데, 그 후로 끝내 가지 못했다. 무척 그립고 많이 아쉽다.

젊음 때문에 지워버리고 싶은, 아픈 추억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극장과 함께 내 젊은 시절의 한 장면을 기억하고 간직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글을 준비하다 세운상가를 비롯해 일대가 모두 사라진다는 소식도 접했다. 오래된 도심, 기억의 장소들이 머지않아 일부 사람들의 기억에만 남게 될 것 같다. 그래도 많은 사람들의 추억 속 대한극장이 한국 영화의 역사로 길이 기억에 남았으면 좋겠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