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ACL 홈 경기 못 한다…K리그 클럽 라이선스에 ‘잔디’ 항목 추가하자 [긴급진단=K리그 잔디가 아프다…이렇게 해봅시다②]
프로축구 K리그는 40주년을 맞이한 지난해 1,2부 통틀어 사상 첫 300만 관중 돌파 기록을 쓰며 흥행 순풍을 타고 있다. 2024년에도 K리그1은 최단기간 100만 관중 돌파에 이어 2년 연속 200만 관중 시대를 바라본다. 그러나 뜻밖에 암초를 만났다. 프로스포츠 경쟁력 중 하나인 그라운드 컨디션이 역사상 최악의 상태에 놓이면서다. 장기 불볕더위와 경기장 관리 주체의 모호성 등이 어우러져서 악화일로다. 팬은 선수의 최고 퍼포먼스를 즐기지 못한다. 정말 K리그 잔디는 ‘답이 없는’ 문제인 것일까. 스포츠서울은 리그 구성원 등을 통해 다각도로 취재, 잔디 개선을 위한 제언 기획시리즈를 3회 걸쳐 연재한다.<편집자주>
[스포츠서울 | 박준범기자] 어떻게 하면 잔디 관리를 수월하게 할지 고민할 시기다. 자칫하면 아시아 무대에서 K리그 팀이 홈 경기를 치르지 못할 수도 있다.
잔디 문제는 단순히 K리그 내에서만 화두가 아니다. 아시아 무대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울산HD, 포항 스틸러스, 광주FC는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를 소화하고 있고 전북 현대는 ACL2에 나서고 있다.
울산과 광주는 첫 경기를 홈에서 치렀다. 다만 울산 안방인 울산문수경기장은 그야말로 최악의 그라운드 컨디션이었다. 움푹 패인 곳이 다수 였을 뿐더러 그라운드 자체가 울퉁불퉁 고르지 않았다. “이정도면 한강고수부지에서 축구하는 게 낫다”는 볼멘 소리가 나온 이유다. 상대 팀인 가와사키 프론탈레의 오니키 토루 감독도 “선수들은 최고의 상태에서 경기하고 싶어 한다. 더 나은 상태에서 경기했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며 잔디 문제를 지적했다.
광주도 마찬가지다. 안방인 광주축구전용경기장이 AFC 규정에 맞지 않아 광주월드컵경기장을 사용했다. 광주월드컵경기장은 오랜 기간 축구 공식전이 열리지 않았다. 여러 콘서트 대관 이후 잔디가 망가진 상태였다.
AFC는 울산과 광주에 공문을 보냈다. 경고 성격이다. 잔디 관리를 제대로 시행하지 않으면 향후 홈 경기 진행이 어렵다는 내용이다. 혹시 모를 ‘대체 경기장’ 제출도 요구했다. 홈 개최권 박탈을 시사한 것이다. 두 팀은 이어질 ACLE에서 홈구장을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AFC가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한 만큼 단순히 잘 관리하겠다는 다짐으로는 안 된다. 일각에서는 프로축구연맹이 각 구단 경기장 관리에 관해 엄격한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낸다. K리그 클럽 라이선스에 잔디 ‘항목’을 넣자는 견해도 있다. 클럽 라이선스는 AFC 클럽 대회 및 K리그 참가 구단이 갖춰야 할 요구 사항과 제반 사항을 규정화해 대회 참가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다.
때마침 프로연맹은 기술위원회 산하에 기술연구그룹(TSG)처럼 시설개선그룹를 꾸렸다. 5인 전원을 천연잔디 전문가로 구성했다. 한 관계자는 “지금도 시설 미비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며 “다만 기준은 주관적이다. AFC도 관계자가 직접 보고 (경기 여부를) 판단한다. 페널티는 홈 개최권 박탈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경기장 관리 주체가 구단이 아니어서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클럽 라이선스에 잔디 항목을 추가하면 각 구단은 대다수 경기장 관리 주체인 시설관리공단 등 지자체와 더욱더 긴밀하게 논의할 동력이 된다. 지자체도 ‘축구장 잔디 개념’을 더욱더 인지할 수 있다.
한 구단 관계자는 “프로연맹이 (잔디 관련) 교육이나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잔디 관리를 연맹이 직접 할 수 없겠지만 클럽 라이선스에 포함해 실질적 관리에 도움을 주면 나아지지 않을까”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프로연맹이 확인해 잔디 관리에 실패해 경기 개최가 어렵다면, 홈 경기 개최권 박탈과 같은 강한 징계도 필요하다고 본다. 몇년 째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래야 구단도 관리 주체에 할 말이 생긴다. 그렇지 않고서는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잔디는 경기장 환경의 기본 요소 중 하나다. 무엇보다 프로스포츠 최대 상품인 선수 경기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 구단 뿐 아니라 프로연맹서부터 세심한 검토와 관리에 힘써야 하는 이유다.
프로연맹은 제도 보완 뿐 아니라 잔디 품종 개혁 역시 삼성물산연구소와 고민 중이다. 한 관계자는 “한지형 잔디를 심으면서 동시에 고온을 버티는 난지형 잔디를 심는 방법을 실험 중이다. 여름이 되면 한지형 잔디가 죽고 난지형 잔디가 올라오게 하는 방법”이라고 밝혔다. beom2@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원영, 탈덕수용소 옷 똑같이 입고 공항 등장…센스있는 코디
- ‘건강 이상설’ 정형돈, 중대 발표했다…“인생 마지막 기회”
- [단독] 곽튜브·이나은, 여행 경비 누가 냈나 봤더니…이나은 측 “금전거래 없었다”
- 장수원, 신행 이어 태교여행까지 친구 불러…3년만 혼인신고하며 “물러도 되냐”(동상이몽2)[SS
- 수현, 결혼 5년만 파경…위워크 전 대표와 합의 이혼
- 9년 만에 JDB 떠나는 박나래, 불화설 일축 “서로의 미래 응원”
- 이효리, ‘60억 평창동 집’ 이사 전 선행…화가로 변신해 그림 후원
- 문가영, 밀라노 여신강림…블링블링 골드여신
- 박봄, 다이어트 성공했나? 투애니원 컴백 앞두고 ‘인형 미모’ [★SNS]
- 은가은♥박현호 “추파는 은가은이 먼저, ‘자니?’ 문자 왔다” (불후의 명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