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ㅇ'로 만든 '고층 빌딩·옷'…1석 2조 효과 누린다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2024. 9. 24. 08: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유럽발 기후 미래] ⑤폐목재 활용, 티셔츠·드레스 만들어
목재, 철근보다 화재 시 강도 높아…탄소 다배출 콘크리트 대안

[편집자주] 전 세계가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중요한 변곡점을 맞았다. 재생 에너지만으로는 빠르게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에 한계가 있어 원자력 발전이 불가피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친환경 첨단 기술은 막 활발한 논의가 시작됐다. 기후·환경 선진국 북유럽의 사례를 통해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본다.

록사나 바르비에루 '트리 투 텍스타일'(Tree to Textile) 대표가 지난달 26일 스웨덴 스톡홀름 본사에서 나무에서 뽑은 섬유를 활용해 만든 드레스를 만지며 설명하고 있다. ⓒ 뉴스1 황덕현 기자

(스톡홀름=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나무 사용이 주목받고 있다. 가구, 연료, 목조 주택 등으로 단조로운 쓰임새에서 20층 넘는 고층 빌딩부터 의류까지 온실가스를 저장할뿐만 아니라 탄소 다배출 제재 사용을 줄이는 데도 활용되고 있다.

목재 부산물, 북유럽 패션이 되다…해양에선 1개월 내 생분해

"화학 섬유와 면화의 중간 정도 부드러움과 강도 등 물성을 가지고 있는데, 탄소 배출을 (기존 방법 대비) 70~90%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폐기 시 분해도 쉬운 게 특징입니다."

나무에서 섬유를 뽑는 '트리 투 텍스타일'(Tree to Textile) 록사나 바르비에루 대표(화학박사)는 지난달 26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본사에서 제품을 선보이며 목재 섬유 특징을 설명했다.

바르비에루 대표가 건넨 옷은 스웨덴 남부 님뮐라(Nymolla)에서 생산한 스웨터다. 같은 디자인으로 짠 면 스웨터보다 찰랑거리고, 화학섬유보다는 단단했다.

트리 투 텍스타일은 목재 펄프를 원료로 실(섬유)을 뽑아낸다. 가구나 생활용품을 만들고 남은 부자재를 펄프로 만든 뒤 알칼리성 용액과 섞어 셀룰로스 용액으로 액화시킨 다음 원사를 뽑아내는 방식이다.

목재 기반 섬유 스타트업 '트리 투 텍스타일'이 지난달 26일 스웨덴 스톡홀름 본사에서 자사에서 뽑은 섬유(실)로 만든 의류를 소개하고 있다. 트리 투 텍스타일 측은 협력 추진 패션기업의 보안상 이유로 근접 사진 촬영은 제한했다. ⓒ 뉴스1 황덕현 기자

유럽 각국에서는 목재를 원료로 섬유와 옷감을 생산하는 '탄소중립 패션기업'이 다수 설립·운영 중이다. 오스트리아 렌싱은 유칼립투스 나무에서 셀룰로스로 '텐셀'(Tencel)을 생산하고, 핀란드 인피니트 파이버와 이탈리아 오렌지 파이버는 각각 섬유 폐기물과 감귤 껍질 등 농업 부산물을 활용해 섬유를 뽑고 있다.

비스코스 공정과 달리 이산화황 등 유해화학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경쟁업체보다 친환경적이라는 게 트리 투 텍스타일 측 설명이다. 바르비에루 대표는 "화학물질의 회수·재사용이 가능해 자원 효율성이 뛰어나다"며 "탄소배출과 에너지 사용을 줄이며 지속 가능한 섬유를 생산하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트리 투 텍스타일은 이 섬유가 인간과 자연에 안전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화학섬유 기반 의류는 닳을 때 미세 플라스틱이 나오는데, 자사 섬유는 미세 플라스틱이 발생하지 않으며, 해양에서 1개월 이내에 분해되는 점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향후 지분 투자한 H&M, 라이프스타일 회사 이케아(IKEA)의 모기업 '인터 이케아(IKEA) 그룹'과 협업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스웨덴 셸레프테오 소재 '사라 쿨투르후스' 내 '우드 호텔' 모습 ⓒ 뉴스1

쉽게 무너지거나 화재에 취약한 거 아냐?…'오해' 딛고 북유럽은 먼저 짓는다

목조 건물은 인류에게 가장 오랜 기간 활용된 건축 방법의 하나지만 현대엔 철근·콘크리트에 밀리면서 별장이나 단층 건물 등에만 이용됐다. 그러나 탄소중립 문제가 본격 떠오르면서 고층 건물 등을 목재로 짓는 방안에 대한 연구·사업이 활발해졌다.

철근·콘크리트가 탄소를 다량 배출하고, 전혀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 세계 이산화탄소의 40%가 콘크리트 건물에서 발생·배출되고 있다.

목재 건물은 다르다. 국제산림연구센터(CIFOR)는 목조 건물이 콘크리트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고 연구·발표했다.

이 때문에 일찌감치 순환 경제·탄소중립에 뛰어든 북유럽은 고층 목조 건물을 지어왔다. 스웨덴 셸레프테오에는 호텔 등으로 이용되는 20층 규모 목조 건물 '사라 쿨투르후스'가, 노르웨이에는 18층짜리 '미에스타넷 타워'가 실제 사용 중이다.

네덜란드와 오스트리아에는 각각 21층, 24층의 복합시설로 활용되는 고층 목재 건물 '하우트'와 '호호 빈'이 있다.

목재 건물은 친환경적 특성뿐만 아니라 안전성 면에서도 강점이 있다. 목재는 화재 시 철근보다 강도가 오래 유지되며, 표면에 탄화층이 형성돼 내부로 불이 침투하는 시간을 지연시킨다.

김광모 국립산림과학원 목재공학연구과장은 "목재의 경우 표면만 타기 때문에 화재 30분이 지나도 강도의 75% 정도가 유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철근 구조가 화재 10분 내 강도가 50%가량 줄어든 것과 대비된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목조 건축물을 늘려야 한다는 국제적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다국적 부동산인프라 개발기업 '랜드리스'의 리사 포데스토 부사장은 최근 세계경제포럼에서 "대규모 목조 건축은 모듈형 설계로 더 빠르고 효율적인 건설이 가능하며,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어 비교적 친환경적"이라고 말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2020년 보고서를 통해 탄소 저장 기능을 가진 목재 사용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4년 KPF 디플로마 기후변화대응 프로그램 지원을 받아 보도됐습니다.

ac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