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주는데 재정은 눈덩이… “사용처 늘려 효율성 높여야” [연중기획-소멸위기 대한민국, 미래전략 세우자]
내국세 총액 20.79% 자동으로 연동
세수 늘면 교육교부금도 증가 구조
넘치는 예산에 선심성 사업도 빈발
당국, 현금성 복지 남발땐 삭감 추진
최근 유보통합 재원 활용 법안 추진
교원단체 “교육환경 후퇴 우려” 반발
예산 삭감 제재만으론 한계 목소리
전문가 “신규 수요 발굴 등 대책 시급”
23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2000년 22조4000억원 수준이던 교육교부금은 2010년 32조3000억원, 2020년 53조5000억원 등 시간이 흐르면서 몸집이 커지고 있다. 2022년에는 추경 영향 등으로 80조원을 넘기기도 했다. 10여년 전의 2.5배에 달하는 규모다. 지난해에는 다시 65조3000억원으로 내려왔으나 올해에도 전년보다 소폭 늘며 68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재정당국은 2028년에는 올해보다 28.7% 늘어난 88조7000억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이 기간 초·중·고생은 524만8000명에서 456만2000명으로 13.1% 줄 것으로 예상됐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현금·현물을 뿌리는 방만 운영 실태는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방만 운영에 대한 경종 차원”이라며 “교육교부금 운영 심의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용처 늘려 재정 효율성 높여야”
교육교부금 효율화를 위해선 이 같은 ‘예산 삭감 제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도 높다. 교육계 관계자는 “교육청 입장에선 배분된 예산을 다 써야 하는데, 2022년처럼 추경 등으로 예산이 갑작스럽게 늘면 어디든 써야 하는 상황이 온다”며 “교육교부금 역할을 다양화하는 식의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교육교부금 사용처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재정 효율화를 꾀하고 있다. 2022년에는 교육교부금의 재원인 교육세 일부를 3년간 한시적으로 대학에 지원하는 ‘고등·평생교육지원 특별회계(고특회계)’를 신설, 유·초·중·고에만 쓰던 교육교부금을 대학에도 일부 쓰도록 한 바 있다.
최근에는 내년부터 본격 시행될 유보통합(유치원·어린이집 통합)에 필요한 추가 재원을 교육교부금으로 부담하도록 법률 개정을 추진 중이다. 현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교원 자격·시설 기준 등이 매우 달라 두 기관을 통합하는 데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 전망이다.
교육청과 유치원, 초·중·고 교육계의 반발은 넘어야 할 산이다. 교육청 입장에선 교육교부금 대상이 대폭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어서다. 어린이집은 올해 교육부 소관으로 넘어왔지만, 기존에는 보건복지부 소속이어서 교육교부금이 사용되지 않았다. 만 3∼5세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중 어느 기관에 다니는지에 따라 교육교부금 수혜 여부가 갈렸고, 취원 기관이 어린이집으로 일원화된 만 3세 미만은 교육교부금 대상에서 아예 제외됐다.
교육청 등은 교육교부금 용처를 확대하면 초·중·고에 쓰일 예산이 줄어 교육 질이 저하될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2022년 고특회계 신설 당시에도 “동생들 돈 뺏어 형 준다”며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교원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최근 교육교부금 지원 대상에 어린이집을 포함하는 내용의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이 발의되자 “교육시설 개선, 기초학력 보장 등 산적한 교육현안에 대응하기 위해선 지속적인 재정 투입이 필수”라며 “어린이집 재정까지 교육교부금에서 충당하면 유·초·중·고 교육 환경이 후퇴할 우려가 높다”고 주장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교부금은 쓰지 말아야 할 곳에 쓰인다는 불신이 있지만 동시에 필요한 곳에는 안 쓰인다는 불만도 있다”며 “유보통합 등 국민 체감도가 높은 교육 개혁 과제에는 교육교부금이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교육재정 전문가인 이혜진 이화여대 연구교수도 “교육교부금 방만 운영은 교육교부금을 줄이는 방식이 아니라 지방교육재정의 수요와 용처를 확대하는 식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밝혔다. 지역 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학교가 지역사회 거점 역할을 강화해야 하고, 디지털 교육을 확대할 필요성이 생기는 등 교육 현장에서 신규 재정 수요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다만 이런 신규 수요를 모두 교육교부금으로만 해결하려 해선 안 된다고 제언했다. “유보통합, 디지털교과서 등은 국가 주도로 시행하는 사업인데도 현재 정부의 지원이 잘 보이지 않는다. 교육청 입장에선 자신들에게만 책임을 미루는 것 같아 거부감을 느끼고 정부에 책임을 요구하는 것 같다”며 “정부가 국고로 일정 부분 책임을 지고 좀 더 역할을 하면 교육청도 재원 투입에 전향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김유나 기자 yo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만하십시오, 딸과 3살 차이밖에 안납니다”…공군서 또 성폭력 의혹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북한과 전쟁 나면 참전하겠습니까?”…국민 대답은? [수민이가 궁금해요]
- 박지윤 최동석 향한 이혼변호사의 일침…"정신 차리세요"
- “이 나이에 부끄럽지만” 중년 배우, 언론에 편지…내용 보니 ‘뭉클’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식대 8만원이래서 축의금 10만원 냈는데 뭐가 잘못됐나요?” [일상톡톡 플러스]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