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수사로 디지털성범죄 1416명 덜미
성착취물 관련 400건 최다
경찰이 위장수사로 지난 3년간 미성년자 대상 디지털성범죄 피의자를 1416명 붙잡았다. 보안성이 뛰어난 텔레그램 등에서 벌어지는 디지털성범죄를 해결하려면 아동·청소년 대상 범죄에 한정된 위장수사 범위를 성인 대상 범죄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3일 경찰청 자료를 보면, 디지털성범죄에 대한 경찰 위장수사를 허용하도록 개정된 아동청소년성보호법이 시행된 2021년 9월부터 올해 8월 말까지 총 515건의 위장수사로 1416명을 검거하고 이 중 94명을 구속했다.
범죄 유형별로 보면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판매·배포’가 400건(77.7%)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제작·알선 66건(12.8%), 성착취 목적 대화 21건(4.1%), 불법촬영물 반포 등 19건(3.7%) 순이었다.
현행법상 위장수사는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성범죄가 대상이다. 경찰관 신분을 밝히지 않거나 부인하는 ‘신분비공개수사’와 문서·도화·전자기록 등을 활용해 경찰관 외 신분으로 위장하는 ‘신분위장수사’로 구분된다.
올해 1~8월 위장수사 건수는 13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23건보다 5.7% 늘었다. 검거 인원도 326명에서 387명으로 18.7% 증가했다. 최근 경기남부경찰청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7월까지 텔레그램 채널을 개설해 연예인 딥페이크 성착취물을 판매한 10대 판매자 3명(구속 2명)을 검거했다. 해당 영상물을 구입·시청한 구매자 24명도 불구속 입건했다.
충남경찰청은 위장수사로 지난 1~2월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트위터)에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판매·광고한 28세 남성을 붙잡아 구속했다. 이 남성은 1만9000점(2TB·테라바이트) 분량의 성착취물을 보유하고 있었다.
위장수사는 남용 시 무고한 피해자가 나오거나 과도한 기본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경찰은 위장수사관 선발·교육 절차를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행법상 신분비공개수사는 사전에 상급경찰관서 수사부서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신분위장수사는 검찰 청구와 법원 허가를 거쳐야 할 수 있다.
전현진 기자 jjin23@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통령실 “김 여사, 다음 순방 동행 않기로”…이후 동행 여부는 그때 가서 결정
- 명태균 “청와대 가면 뒈진다고 했다”…김건희에게 대통령실 이전 조언 정황
- 김예지, 활동 중단 원인은 쏟아진 ‘악플’ 때문이었다
- [속보] “아내 순진…잠 안 자고 내 폰 봐서 ‘미쳤나’ 그랬다” [대통령 기자회견]
- [제주 어선침몰]생존자 “그물 들어올리다 배가 순식간에 넘어갔다”
- [트럼프 2기]트럼프 당선 이후 유산유도제 수요 급증···임신중단권 제한 우려
- ‘프로포폴 불법 투여’ 강남 병원장 검찰 송치···아내도 ‘중독 사망’
- 이마트 “가을배추 한포기 1661원”
- 주말 서울 도심 대규모 집회…“교통정보 미리 확인하세요”
- 대구 한 아파트서 부부 숨진 채 발견…경찰 “외부 침입은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