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이유미 교수팀, 간섬유화과정 단서 단백질 발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대학교 약학과 이유미 교수팀은 대사성지방간질환(MAFLD) 등 간손상으로 인한 간섬유화에 관여하는 새로운 타깃인 단백질(LRG1)을 발견해 간섬유화 치료제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교수는 "간섬유화를 일으키는 분비인자인 LRG1을 환자의 혈청에서 확인한 결과 대사성지방간질환 및 간경화 환자의 혈청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했다"며 "이를 진단 마커로서 활용해 조기에 질병을 진단하고 LRG1을 저해하는 약물이나 항체를 대사성지방간질환 및 간섬유화의 새로운 치료제로 개발한다면 큰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뉴시스] 박준 기자 = 경북대학교 약학과 이유미 교수팀은 대사성지방간질환(MAFLD) 등 간손상으로 인한 간섬유화에 관여하는 새로운 타깃인 단백질(LRG1)을 발견해 간섬유화 치료제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간섬유화와 간경화는 발병 원인과 과정이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효과적인 진단 및 치료 방법도 개발되지 않아 조기 진단과 치료제 개발이 시급하다.
이 교수팀은 암억제 유전자 렁스3(RUNX3)가 간모세혈관내피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넉아웃(KO,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막는 것)됐을 때 간모세혈관의 염증신호가 증가하고 간섬유화에 관여하는 세포인 간성상세포를 활성화하는 분자적 기전을 밝혔다.
연구팀은 간모세혈관내피세포에서 렁스3(RUNX3)를 넉아웃한 마우스에서 염증인자인 인터루킨-6(IL-6)의 분비가 가장 현저하고 이로 인한 신호전달경로 활성화로 인터루킨-6뿐만 아니라 혈관분비 단백질인 LRG1의 분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했다.
LRG1의 분비는 간성상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이로 인해 간의 조직을 단단하게 만드는 콜라겐 등 세포외기질 성분 합성이 촉진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교수는 "간섬유화를 일으키는 분비인자인 LRG1을 환자의 혈청에서 확인한 결과 대사성지방간질환 및 간경화 환자의 혈청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했다"며 "이를 진단 마커로서 활용해 조기에 질병을 진단하고 LRG1을 저해하는 약물이나 항체를 대사성지방간질환 및 간섬유화의 새로운 치료제로 개발한다면 큰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한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MRC, 혈관장기 상호작용제어연구센터)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교신저자는 이 교수, 제1저자는 우탐오자 박사(현 미국 클리블랜드클리닉 포닥)이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간 연구 권위지인 간장학(Hepatology) 7월23일자 온라인으로 발표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june@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버트 할리 동성애 루머에… "너무 황당…여자 좋아해"
- "화영 계약서 찢어"…김광수가 밝힌 '티아라 왕따' 사건 전말
- 정면 반박 류화영 "티아라 왕따·폭행·폭언은 사실…김광수 왜 저러나"
- 최민환 폭로 후 율희 첫 근황 "모든 걸 바로잡고 싶었다"
- 커피 28잔 단체 주문에…업주 향해 "씨XX이네" 욕설한 배달 기사
- '종이접기 아저씨' 김영만, 다리 마비 근황
- "망상이나 착란 아니냐"…띠동갑 상사 성폭행 피해자, 꽃뱀 취급에 창 밖 '투신'
- "우중충해" vs "정석이다"…제니 블랙 하객룩 두고 누리꾼 갑론을박
- 원희룡 "靑 이전은 노무현·문재인 공약…민주 비판은 누워서 침뱉기"
- 정우성·신현빈 열애설 초고속 부인 "사실무근, 커플템 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