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 도서관 강화도 '외규장각' [인천톡톡]

인천=안재균 기자 2024. 9. 21. 0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외규장각(外奎章閣)은 1782년 2월 정조가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에 설치한 규장각의 분관이다.

정조는 외규장각 설치 이후 규장각을 내규장각(內奎章閣, 내각)이라 하고, 봉안품의 성격을 구분해 내규장각과 외규장각에 나눠 보관했다.

이처럼 중요한 기록물을 보관하는 외규장각을 강화 행궁에 설치한 이유는 한양에서 가까우면서도 국내의 변란과 외적의 침입이 발생했을 때를 염두에 뒀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왕실 서적 보관 목적으로 강화에 설치한 규장각 분관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 함대의 강화도 침략으로 약탈
2011년 병인양요 발발 145년 만에 297책 의궤 귀환
인천 강화도에 복원된 외규장각 모습. 사진제공=인천시
[서울경제]

외규장각(外奎章閣)은 1782년 2월 정조가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에 설치한 규장각의 분관이다. 정조는 외규장각 설치 이후 규장각을 내규장각(內奎章閣, 내각)이라 하고, 봉안품의 성격을 구분해 내규장각과 외규장각에 나눠 보관했다.

외규장각의 중요성은 조선시대에 왕실이나 국가의 큰 행사가 있을 때 후세에 참고하도록 관련 사실을 그림과 문자로 정리한 기록물을 보관한 곳이란 점이다. 외규장각에는 △왕실 물품 △어제(御製:왕이 지은 글)·어필(御筆:왕의 친필) △기타 족자류 △의궤(儀軌) △의궤 외 서적 등 총 5166점이 봉안돼 있었다.

특히 외규장각에 봉안된 의궤의 경우 임금이 보는, 이른바 어람용(御覽用) 의궤로 신하들이 보는 분산용과 같은 다른 의궤에 비해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이처럼 중요한 기록물을 보관하는 외규장각을 강화 행궁에 설치한 이유는 한양에서 가까우면서도 국내의 변란과 외적의 침입이 발생했을 때를 염두에 뒀기 때문이다. 강화 행궁이 그만큼 안전지대라는 인식 탓에 주요 기록물을 보관한 것이다.

하지만 19세기 때부터 서양 전함이 한반도 연안에 자주 출몰하면서 안전지대로 여긴 강화도는 서양 열강의 좋은 먹잇감으로 전락한다. 1866년(고종 3)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 함대가 강화에 침략해 외규장각을 불태우고 의궤 300여 책을 포함한 도서 360여 책을 약탈했다. 프랑스에 반출된 대부분의 의궤는 프랑스국립도서관에 보관하고 있었다.

1975년 재불학자 박병선 박사에 의해 외규장각 의궤의 소재와 목록이 국내에 알려지게 된다. 이후 1991년부터 외규장각 도서 반환을 요청해 2010년 G20정상회의에서 양국의 대통령이 만나 외규장각 도서를 임대형식으로 대여하고 5년마다 임대를 갱신하는 데 합의했다. 그리고 2011년 병인양요가 발발한 지 145년 만에 마침내 297책의 의궤가 우리나라로 귀환한다. 현재 외규장각 건물은 2003년 강화군이 복원했다. 내부에 외규장각의 설치 과정과 의궤의 반환 과정 등의 내용을 다룬 전시실이 조성돼 있다.

인천=안재균 기자 ajk@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