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노년층 맞춤형 금융교육 절실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상품이 다양해지고 생활환경이 디지털로 바뀌면서 노년층의 '금융소외'가 빚어지고 있다.
금융교육을 받을 만한 기관이나 프로그램이 아직 부족해 노년층이 생활자금이나 여윳돈을 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또 금융상품은 나날이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지만 노년층의 대응력이 우려되고 있다.
노년층이 실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고 복잡하고 다양한 금융상품을 취사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금융교육이 절실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융상품이 다양해지고 생활환경이 디지털로 바뀌면서 노년층의 ‘금융소외’가 빚어지고 있다. 금융교육을 받을 만한 기관이나 프로그램이 아직 부족해 노년층이 생활자금이나 여윳돈을 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디지털시대에 따라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위험에도 노출되고 있다.
노년층의 금융사기 취약성은 개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 1965억원 중 60대 이상 피해액은 전체의 36.4%인 704억원에 이른다. 전 연령 중 가장 많고 50대의 560억원(29%)을 크게 웃돈다. 특히 가족·지인을 사칭한 ‘메신저 피싱’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금융상품은 나날이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지만 노년층의 대응력이 우려되고 있다. 지난해 11월말 기준 5대 시중은행이 60대 이상 노년층에 판매한 홍콩H지수 연계 주가연계증권(ELS) 잔액은 약 6조4500억원으로 전체 판매액의 44.1%에 해당했다. ELS는 투자자의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 높은 상품이다.
그러잖아도 노년층의 금융 이해력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의 ‘2022년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에서 60·70대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각각 65.1, 54.8점으로 전체 성인의 평균 66.5보다 낮다. 현재 금감원과 금융회사들이 노인 대상 금융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표준화된 프로그램이 없고 일회성 교육에 그치고 있어 효과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노년층이 실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고 복잡하고 다양한 금융상품을 취사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금융교육이 절실하다. 온오프라인에서 금융 관련 정보·교육 프로그램 등을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함께 운용이 필요하다. 금융교육의 내실화와 지속성을 위해 금융회사들이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 소비자 보호에 적극 나서도록 제도화하는 것도 검토해볼 만하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