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쩌둥 팔에 완장 채워 준 '홍위병 우두머리'의 조용한 죽음

신승이 기자 2024. 9. 19. 11: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쑹빈빈은 같은 해 8월 2일 수십만 명의 홍위병이 집결한 톈안먼 광장의 성루에 올라 당시 마오쩌둥 공산당 주석에게 '홍위병'(紅衛兵)이라고 쓰인 빨간 완장을 채워주는 역할을 해 홍위병의 상징적인 인물로 떠올랐습니다.

마오쩌둥은 그 자리에서 쑹빈빈에게 '쑹야오우'(宋要武)라는 이름을 지어주면서 사실상 홍위병의 폭력을 더욱 조장했으며, 이 행사를 계기로 쑹빈빈 주도의 홍위병 폭력 행위는 더 극단적으로 치달았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문화혁명 홍위병 쑹빈빈

지난 1960-70년대 중국의 문화대혁명 시기에 홍위병의 우두머리 격이었던 대표적 인물 쑹빈빈(宋彬彬)이 77세를 일기로 숨졌다고 홍콩명보가 보도했습니다.

이 매체는, 암 투병 중이었던 쑹빈빈이 병원 치료를 중단하고 지난 15일 미국 뉴욕 자택으로 옮겨져 36시간 가족과 함께 지내다 숨을 거뒀다고 전했습니다.

그의 가족은 지인에게 부고를 전하면서 "쑹빈빈이 어떤 기념행사도 하지 않고 조용히 떠나기를 바란다"는 뜻을 밝혔다고 언급했습니다.

문화혁명이 본격화할 당시 19살의 나이로 베이징사범대 부속 여중·고교인 여부중(女部中)에 다니던 쑹빈빈은, 1966년 6월 교내에 대자보를 붙이고 교감을 포함한 학교 고위층 7∼8명을 공격하는 등 홍위병 활동에 앞장섰습니다.

그가 다니던 학교는 베이징 홍위병 세력의 주축이었습니다.

홍위병 완장 찬 마오쩌둥

쑹빈빈은 같은 해 8월 2일 수십만 명의 홍위병이 집결한 톈안먼 광장의 성루에 올라 당시 마오쩌둥 공산당 주석에게 '홍위병'(紅衛兵)이라고 쓰인 빨간 완장을 채워주는 역할을 해 홍위병의 상징적인 인물로 떠올랐습니다.

마오쩌둥은 그 자리에서 쑹빈빈에게 '쑹야오우'(宋要武)라는 이름을 지어주면서 사실상 홍위병의 폭력을 더욱 조장했으며, 이 행사를 계기로 쑹빈빈 주도의 홍위병 폭력 행위는 더 극단적으로 치달았습니다.

정적 제거를 염두에 뒀던 마오쩌둥 의도대로 홍위병들은 류사오치 당 총서기를 포함해 마오쩌둥과 각을 세웠던 기득권 세력을 겨냥해 참을 수 없는 모욕적 언어폭력과 각종 신체적 폭력을 가해 사실상 죽음으로 내몰았습니다.

홍위병들 만행은 중국 작가 류츠신의 동명 소설을 각색해 만든 넷플릭스 드라마 '삼체'(3 Body Problem)에도 잘 드러나 있습니다.

이 작품에는 문화혁명 당시 저명한 과학자가 딸을 포함한 군중이 보는 앞에서 홍위병들에게 폭행당해 숨지는 모습이 적나라하게 묘사돼 있습니다.

쑹빈빈은 문화혁명 후반부인 1972년 창춘지질대학에서 수학한 뒤 1980년 미국 유학을 떠나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삶을 살아왔습니다.

지난 2014년 1월 함께 활동했던 홍위병들과 함께 베이징사범대 부속 여부중에 있는 볜중윈 교감 흉상을 찾아 공개로 사과했지만 볜중윈 가족은 거짓 사과라면서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홍위병으로 활동한 쑹빈빈과 달리 쑹빈빈의 부친은 문화혁명의 직접적 피해를 입기도 했습니다.

쑹런충은 항일전쟁과 국공내전으로 잔뼈가 굵은 인민해방군 고위급 장성이었지만 마오쩌둥 적으로 몰려 숙청됐다가 마오쩌둥 사망 이후 복권돼 중국 중앙자문위원회 부주석을 지냈습니다.

한편, 지난 9일 마오쩌둥 서거 48주기를 맞아 그의 고향인 후난성 샤오산시의 기념관과 선전 등 일부 지역에서 추모행사가 벌어졌지만 중국 당국 차원의 행사는 없었습니다.

이와는 달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8월 22일 덩샤오핑 탄생 120주년을 맞아 "당과 인민, 국가와 세계에 뛰어난 공헌을 했다"며 그가 주창한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사진=홍콩 명보 캡처, 교유서가 제공, 연합뉴스)

신승이 기자 seungyee@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