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지난해 최대 대미투자국 등극…28조원대 투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이 사상 최초로 미국의 최대 투자국에 등극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8일(현지시간)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자료를 자체 분석한 결과, 지난해 최다 대미투자국은 한국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투자 규모는 215억달러(약 28조5300억원)로 2022년보다 11% 가량 줄었다.
지난 2019년 한국의 대외투자 액수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18%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50% 이상으로 급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한국이 사상 최초로 미국의 최대 투자국에 등극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8일(현지시간)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자료를 자체 분석한 결과, 지난해 최다 대미투자국은 한국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투자 규모는 215억달러(약 28조5300억원)로 2022년보다 11% 가량 줄었다.
그러나 2022년 최대 대미투자국이었던 대만의 투자가 급감하면서 한국이 1위에 오르게 됐다.
한국에 이어 캐나다가 2위를 차지했고 독일, 영국, 일본이 뒤를 이었다.
한국의 대미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도 10위권 수준이었다.
한국이 미국의 최대투자국이 된 것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2022년에 도입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전기차 배터리 등 각종 요건을 충족한 전기차에만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IRA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선 미국에 공장을 세우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에 기업들이 미국 투자를 늘렸다는 것이다.
실제로 현대차는 지난해 5월 LG에너지솔루션과 손을 잡고 43억달러(약 5조7000억원)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미국 조지아주에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투자정보업체 fDI마케츠에 따르면 지난해 발표된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계획 중 3분의 1 이상이 자동차나 전자 산업과 관련됐다.
또한 비슷한 시기 바이든 행정부가 도입한 '반도체 산업 육성법(CHIPS)'도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를 늘린 요인으로 꼽힌다.
중국과의 반도체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미국 내 생산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 법에는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들에 520억달러(약 69조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따라 한국뿐 아니라 대만 등 각국의 반도체 업체들도 잇따라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아울러 미·중 간 긴장 고조가 이어지는 글로벌 정세 변화도 한국의 대미 투자가 늘어난 요인으로 지목된다.
중장기적인 판단에 따라 중국에 대한 비중을 줄이고, 미국의 비중을 늘리는 한국 기업이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지난 2019년 한국의 대외투자 액수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18%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50% 이상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중국에 대한 한국 기업의 투자 규모는 전체 대외투자의 11%에서 1% 미만으로 위축됐다.
pink@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해외계좌로 53억원 은닉" 장근석 모친 연예기획사, 2심도 패소
- “내가 나락 보냈냐” 분노한 빠니보틀, 곽튜브와 여행 영상 올리고 남긴 한마디
- ‘오징어게임’ 정재일·츠베덴 서울시향 음악감독, 마침내 만난다
- “한국 맞냐” 매장 앞 남의 음료 벌컥벌컥 마신 남성, 누리꾼 ‘경악’
- “아이유~ 착한 사람!” IU 또 통큰 기부 2.25억원
- “명절에 갈 시댁 없어 슬퍼”…‘비혼’ 유튜버, 한달 넘게 해외여행하며 기혼자 ‘조롱’?
- “승무원은 절대 안 먹어”…기내 ‘더러운 비밀’ 폭로한 美 조종사, 대체 뭐길래?
- “돈은 세컨드한테만” “男 정액 총량 정해져 있어”…황당한 공기업 인문학 강연
- “이런 변이 있나”…야구장 관중석에서 발견된 ‘인분’ 누리꾼들 충격
- 설마했는데…“연휴 동안 200억 벌었다” 망하던 ‘엔터 명가’ 술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