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할 권리’로 쓰레기 줄인다…노트북·스마트폰도 ‘뚝딱’
[앵커]
오래 쓰던 전자 제품이 고장 나면 수리해서 쓰기가 쉽지 않습니다.
구매한 지 몇 년만 지나도 부품 자체를 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소비자가 오래된 제품을 고쳐 쓸 수 있는 권리, 즉 '수리권'을 찾아 나선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쓰레기를 줄여 환경보호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여소연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7년 정도 사용한 선풍기.
보기엔 멀쩡한데 머리 부분이 말썽입니다.
["(고개가) 약간 헐거워졌어요. 왜 그런지 모르겠어요."]
수리 전문가가 손을 대니 금방 제 모습을 찾습니다.
[김주연/서울시 서대문구 : "나사를 조일 생각을 안 했었거든요. 고장났다고 그냥 다른 제품으로 교체하고 싶진 않은 거예요."]
부품이 없다며 공식 서비스센터에서도 수리를 못 한 8년 된 노트북.
직접 부품을 구해 바꿔 끼웠더니 전원이 켜집니다.
[장윤정/서울시 영등포구 : "배터리 교체하는 걸 차근차근 순서대로 알려주셔서 하라는 대로만 해서 지금 켜졌는데 너무 기뻐요."]
보통 전자제품의 보증기간은 1~2년 정도이고, 부품 보유 기간은 4년 정도에 불과합니다.
오래 쓴 전자제품은 수리가 쉽지 않은데, 이렇게 소비자들이 쉽게 고쳐 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수리할 권리' 즉 '수리권'입니다.
소비자에게 자가 수리 정보를 제공하거나 부품 보관 기간을 늘리는 것 등으로 유럽 등 여러 나라에서 법적으로 보장하고 있습니다.
쉽게 고쳐 쓴다면 전자 폐기물을 줄일 수 있어 '수리권'을 찾아 나선 모임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습니다.
[박성연/수리 상점 '곰손' 운영자 : "쓰레기를 없애고 기후위기 시대에 지구의 기온을 올리지 않는 방법이라고 생각을 해서."]
우리나라도 내년부터 수리에 필요한 예비 부품을 법정 기한 이상 보관하는 등의 제도가 시행되지만 아직은 권고 사항입니다.
[고은솔/서울환경운동연합 : "프랑스에서는 전자제품에 한해서 수리가 얼마나 쉬운지를 계산대에서 잘 보이도록 등급 점수를 표시를 해야 하거든요. 그게 강제 조항이에요."]
전 세계적으로 해마다 버려지는 전자폐기물은 약 5천7백만 톤, 재활용률은 18%도 되지 않습니다.
KBS 뉴스 여소연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여소연 기자 (yeo@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미 기준금리 0.5%p 인하…올해 두 번 더 내릴 수도
- [단독] “동포 여러분, 일본은 항복했습니다”…4시간 빨리 ‘광복’ 전했다
- 무선호출기 이어 무전기도 연쇄 폭발…유엔 “국제법 위반”
- [창+] 더 이상 바다는 안전하지 않다
- “논길에서 5시간”…내비 따라갔다 차 수백 대 고립 [잇슈 키워드]
- ‘월세 4억’ 통보하더니 결국…성심당, 대전역 남을까 [잇슈 키워드]
- “유튜버가 대리 용서”…두 차례 사과에도 ‘싸늘’ [잇슈 키워드]
- 생방송 중 의자로 ‘퍽’…난장판 된 브라질 시장 후보 토론 [잇슈 SNS]
- ‘나 홀로 사장님’ 12개월 연속 감소…“줄줄이 폐업”
- 가리왕산 케이블카 또 멈춤 사고… 추석에 관광객 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