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 40대, 소득보다 부채가 2.5배 더 많아
한국 40대가 평균적으로 연간 소득의 2.5배가 넘는 대출 잔액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가계 소득 대비 부채비율(LTI)은 233.9%로 집계됐다. 전체 LTI는 2022년 2분기 238.0%로 고점을 찍은 뒤, 조금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의 LTI가 253.7%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60대 이상(240.8%), 30대 이하(239.0%), 50대(205.6%) 순이었다. 40대는 평균적으로 연간 소득 2.5배가량의 많은 빚을 지고 있다는 의미다. 이는 빚을 내 집을 사는 이른바 ‘영끌’ 매수의 결과로 풀이된다. 작년 가계 금융 복지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구주가 40대인 가구의 평균 부채는 1억2531만원으로, 이 중 주택담보대출이 절반이 넘는 7267만원(57.9%)에 달했다. 또, 올해 상반기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40대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작년 말보다 8조1000억원 늘었다.
이런 추세는 하반기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를 매입한 40대 비율이 33.2%로 30대(31.5%)를 추월했다. 서울 아파트의 40대 매입 비율이 30대보다 높은 것은 2022년 8월 이후 1년 11개월 만이다. 집값이나 금리 변동에 더 신중한 40대가 서울 아파트 값 상승세가 계속되자 불안 심리가 커지며 매수 대열에 동참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녀의 전화 한 통화면 트럼프 최측근도 잘린다…30대 女 인플루언서 누구?
- [만물상] 고발 위기 ‘BTS 아버지’
-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서울구치소 도착... 석방 123일만
- 인천 서구서 이틀째 싱크홀...인명 피해는 없어
- 尹 구속 심사 오후 9시 7분 종료…호송차 타고 서울구치소로
- 금강서 물놀이 하다 실종된 4명 심정지로 발견
- LG생건 이긴 36세 억만장자, 김병훈 에이피알 대표의 성공 비결 [여기 힙해]
- 폭염 경보 속 공원 청소하던 70대 사망
- 환경단체 “러브버그 방제법 철회해야…생명 학살로 이어질 것”
- 대구시, 2027 세계사격선수권대회 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