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칼럼]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
바이든이 선물한 그 문구
그 표현의 진정한 의미는
대통령이 다 한다는 게 아니라
권한 나눠주고 책임진다는 것
4대 개혁 의지는 좋지만
20% 지지율, 혼자서는 어려워
누구에게라도 손 내밀어야
‘The buck stops here(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 미국 개척 시대 포커의 룰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1949년 자신의 책상에 명패로 새겨놓기도 했고, 2022년 방한한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윤 대통령에게 선물하기도 한 바로 그 문구다.
윤 대통령은 그 말을 참 좋아한다. 일종의 개인적 좌우명으로 삼고 있는 듯하다. 지난 5월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도 책상 위에 바로 그 문구를 올려놓고 있었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는 일이다. 지지율은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야당뿐 아니라 여당 내에서도 불만이 드러나고 있지만, 그럼에도 대통령으로서 뚝심을 가지고 내 일을 묵묵히 해나가다 보면 역사가 알아주리라.
결연한 의지는 좋지만 한 가지 문제가 있다. 저 문장을 그런 식으로 이해하는 것은 원래의 뜻과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정치의 영역에서 ‘The buck stops here’는 모든 일을 대통령이 다 할 수 있고 해야 한다는 의미가 전혀 아니다. 대통령이 가진 권한은 적절한 위임을 통해 각 분야에서 행사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종적인 책임은 대통령이 질 수밖에 없다는 뜻에 더욱 가깝다.
다시 트루먼의 시대로 돌아가 보자. 1945년 4월 12일, 해리 트루먼은 미국의 제33대 대통령직에 취임했다. 전임자였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사망하면서 그 자리를 이어받은 것이다.
대통령이 된 트루먼은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었다. 대통령 루스벨트가 부통령도 모르게 추진하고 있던 프로젝트가 있었다. 뉴멕시코주 로스앨러모스에 과학자, 기술자, 군인으로 이루어진 마을을 세우고, 미국의 국력 상당수를 쏟아부어서, 인류 역사상 최초로 원자폭탄을 만들고 있었던 것이다. 이름하여 ‘맨해튼 프로젝트’였다.
핵실험은 7월 16일 치러졌다. 트루먼은 취임 후 석 달 만에, 이전에는 알지도 못했던 유형의 무기를 알게 되었고, 사상 최초의 핵실험을 승인한 대통령이 된 셈이었다. 그렇게 만들어진 무기는 어딘가에 사용되어야 했다. 그해 8월 6일 히로시마에, 8월 9일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떨어진 것도 트루먼의 승인을 요하는 일이었다. 대통령이 된 지 불과 넉 달 만의 일이었다.
그 무시무시한 파괴의 힘으로 미국은 태평양과 대서양 양쪽의 전쟁을 모두 승리로 가져갔다. 온 나라가 환호성을 지르고 있었다. 얼마 후 한 천재가 백악관을 찾아온다. 맨해튼 프로젝트를 성공시킬 수 있게 한 결정적인 인물, 과학뿐 아니라 철학, 문학, 심지어 힌두 경전에도 일가견이 있던 J.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바로 그 주인공이었다.
오펜하이머는 이상주의자였다. 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사회주의에 동조하기도 했다. 핵무기를 투하한 후 벌어진 참상에 충격을 받은 그는 트루먼을 만난 자리에서 울먹이며 말했다. ‘각하, 제 손에는 피가 묻어 있습니다.’ 트루먼은 적당히 웃으며 얼버무리며 오펜하이머를 정중하게 내보낸 후 부하들을 향해 분통을 터뜨렸다. ‘저 징징거리는 얼간이 자식을 누가 데려온 거야!’
트루먼에게 처음부터 권한이 주어져 있었다면 핵무기를 개발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설령 핵무기 개발을 시작했다 해도 공산주의 운동에 동조한 오펜하이머에게 전권을 주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트루먼은 원자폭탄 개발을 완료했고, 오펜하이머와 내키지 않는 악수를 하며 핵무기에 대한 최종적 책임을 자신의 어깨 위에 얹었다.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는 말은 그런 것이다. 본인이 시작하지도 않은 프로젝트를 마무리짓고, 수십만 인명이 오가는 무거운 결정을 내리고, 심지어 자신이 핵무기를 만들어놓고도 죄책감에 반핵 운동을 하는 과학자를 웃는 얼굴로 맞이하기까지 해야 한다. 지고 싶지 않은 책임을 지고, 만나고 싶지 않은 사람을 만나면서, 꼭 해내야 할 일을 어떻게든 해내는 것이 대통령의 역할인 것이다.
우리의 현실로 돌아와 보자. 야당이 200석에 육박한 여소야대 정국 속에서 임기 절반을 향하고 있고 지지율은 20%까지 내려앉았다. 그럼에도 윤 대통령은 4대 개혁의 의지를 굽히지 않는다. 결연한 태도는 좋지만 그것만으로 이 현실을 헤쳐나갈 수는 없다.
트루먼은 오펜하이머가 일하게 했다. 돌아서서 화낼지언정 웃는 낯으로 마주 보았다. 대통령은 그런 자리다. 필요하다면 누구에게라도 손을 내밀어야 한다. 그러면서도 책임은 온전히 자신이 짊어져야 한다.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는 말은 그런 뜻이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게 승리의 맛” 춤추며 신난 머스크, 파시스트 경례 논란
- “낭만적 신혼여행지가 어쩌다”…쓰레기섬 전락한 ‘천국의 섬’
- 6개월간 흡연한 송혜교…“수녀 역할 준비하며 연습”
- 전직 대통령보다 대법관...취임식에서 드러난 美 의전
- 트럼프 병풍 선 테크 거물들…내각 후보자보다 앞자리 차지
- 최상목, 트럼프 취임 축하 메시지 “한미동맹을 다시 위대하게”
- [Minute to Read] Angry Yoon supporters storm Seoul court
- [더 한장] 겨울이 그린 한강 수묵화
- 취임식 아침 트럼프 만난 바이든이 건넨 첫마디는?
- 트럼프 “America” 21번... 30분 취임사서 가장 많이 언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