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체육센터 예산지원 없어 적자…실버교실 확대 어려워

유정환 기자 2024. 9. 18. 19:4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산 복지스포츠 도시로 <1> 운동할 곳 없는 부산 노인

- 노인 74만 중 3% 국민센터 이용
- 클럽 12곳 유소년선수 발굴 목적
- 팬데믹기간 쌓인 적자 해소 못해
- 다자녀 혜택 등 할인폭에 운영난
- 구조 개선없이는 노인 지원 한계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노인 스포츠에 대한 수요도 크다. 지난해 부산시민 329만 명 중 65세 이상 노인은 74만여 명으로 22.6%에 달한다. 하지만 부산에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적 스포츠 시설은 국민체육센터 15곳이 유일하다. 12개의 스포츠클럽이 있지만 사실상 엘리트 체육 육성 목적으로 운영돼 노인들의 접근성은 떨어진다. 이 때문에 대부분은 비용을 들여서라도 동호회를 찾거나 경제적인 부담이 없는 집 주변 걷기 또는 인근 학교 운동장을 이용하고 있다. 노인 참여율이 높은 서구의 부산국민체육센터는 월 이용자 4000명 중 65세 이상 인구는 약 1600명으로 40% 수준이다. 이를 15개 체육센터에 적용하면 이용객은 2만4000명으로 추산된다. 부산의 노인 인구가 74만 명임을 감안하면 3% 정도가 국민체육센터를 이용하고 있다는 의미다.

국민체육센터가 예산 부족으로 각종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지난 13일 부산 강서구국민체육센터에서 어르신들이 아쿠아에어로빅을 즐기고 있다. 부산시체육회 제공


▮유일한 공적시설 국민체육센터

정부가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스포츠 지원은 크게 스포츠클럽과 국민체육센터로 나뉜다. 총 103곳의 스포츠클럽은 전남이 13개로 가장 많고 그 뒤를 ▷부산·전북 12개 ▷경남·경기 9개 ▷광주 8개 ▷대구·경북·충남 6개 ▷서울 5개 ▷인천 4개 ▷강원·충북 3개 ▷울산·대전·제주 2개 ▷세종 1개 순이다. 부산에는 신나는사상스포츠클럽 부산서구스포츠클럽 해운대구스포츠클럽 등 12개의 스포츠클럽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노년층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곳은 한 곳도 없다. 부산시체육회 스포츠클럽 담당자는 “스포츠클럽은 주로 유소년 엘리트 선수 발굴과 육성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노인이 참여하는 스포츠클럽은 사실상 한 곳도 없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노년층이 찾을 곳은 국민체육센터 밖에 없다. 부산의 국민체육센터는 1991년 해운대구 우동 올림픽기념관(현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개관을 시작됐으며 2019년 수영구를 마지막으로 16개 구·군에 15곳이 설립됐다. 마땅한 부지를 찾지 못한 중구만 빠져있다. 북·강서·동래·부산진구 등 4곳은 이미 포화상태에 도달한 시설 때문에 제2 체육센터 건립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국민체육센터 이용자 중 노인의 비중은 높은 편이다. 시체육회가 위탁관리하는 4곳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부산국민체육센터는 37.10%(4412명 중 1640명), 북구국민체육센터 17.73%(2640명 중 468명), 강서국민체육센터 10.52%(2092명 중 22명), 영도국민체육센터 30.58%(3502명 중 1072명) 등이다. 4곳을 평균한 노인 이용 비율은 26.88%다. 이들은 주로 아쿠아에어로빅을 포함한 수영과 헬스 등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한 체육센터에서 만난 홍옥자(여·80) 씨는 “월·수·금요일에 아쿠아에어로빅을 수강한다. 6만8000원인 수강료가 4만7000원으로 30% 할인돼 11년째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며 “동네 친구도 많이 와 사랑방 역할을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독립채산제에 발목 잡힌 체육센터

원활한 국민체육센터 운영의 발목을 잡는 가장 큰 요인은 예산이다. 일부 직영 체육센터를 제외하면 위탁관리를 하는 기관에서 독립채산제로 시설을 운영한다. 매월 받는 회비로 직원 인건비, 시설 유지관리비 등을 모두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도 사실상 ‘0’다. 때때로 국민체육진흥공단 등의 공모사업이 있지만 강사 인건비 등 지원에 그쳐 재정난 타개에 큰 도움은 되지 않는다.

체육센터가 예산에 어려움을 겪기 시작한 것은 코로나19 이후다. 정부가 코로나19 피해를 입은 기업을 지원했지만 체육센터는 별다른 혜택을 받지 못했다. 이 때문에 그때부터 누적된 적자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다. A체육센터 관계자는 “코로나19 때부터 생긴 적자가 해소되지 않아 보수해야 하는 시설이 있어도 제때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런 경우에는 지자체에서 최소한의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노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면 청년층이 빠져나가 전체 인원 유지가 어려울 때도 있다. 올 초부터 지원하는 다자녀 혜택도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운영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라 달갑지는 않다. 정부나 지자체는 조례로 지원만 결정할 뿐 비용에 대한 보전에는 눈을 감고 있다. 체육센터 입장에서는 그동안 세자녀 가정을 대상으로 50% 할인하던 것을 두 자녀 가족으로 혜택을 늘려야 해 답답하기만 하다. B체육센터 관계자는 “공과금은 올라가는데 할인 폭은 커지면서 매달 2500만 원의 적자를 보고 있다. 지자체에서 1000만 원을 지원하지만 턱없이 부족하다”며 “설립 이후 10여 년간 요금을 올리지 않았지만 내년부터는 이용료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시니어층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은 강사비가 일반 강사보다 높아 프로그램을 오래 유지하기 힘들다. C체육센터 관계자는 “회원이 많아질수록 적자 폭이 커지는 구조를 개선하지 않으면 노인층에 대한 지원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아쉬워했다.

※ 이 기사는 부산시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취재했습니다.
◇ 부산 국민체육센터 현황 ※자료: 시체육회
이름 설립일 장소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1991년 3월 해운대구
부산국민체육센터 2001년 11월 서구
사하구국민체육센터 2006년 5월 사하구
금정구국민체육센터 2007년 12월 금정구
영도구국민체육센터 2009년 12월 영도구
남구국민체육센터 2010년 3월 남구
북구국민체육센터 2011년 10월 북구
사상구국민체육센터 2012년 4월 사상구
강서구국민체육센터 2013년 3월 강서구
기장군국민체육센터 2013년 3월 기장군
연제구국민체육센터 2014년 3월 연제구
동래구국민체육센터 2014년 7월 동래구
부산진구국민체육센터 2017년 6월 부산진구
동구국민체육센터 2018년 9월 동구
수영구국민체육센터 2019년 7월 수영구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