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주담대 2.2조원↑…증가세 둔화했지만 불확실성 여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의 연이은 가계 대출 관리 신호와 함께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주요 은행의 가계 대출 증가세가 이달 들어 주춤하고 있습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12일 "이달 들어 첫 5영업일 기준 가계대출이 은행권 기준 1조 1천억 원 늘었는데, 이는 전달 같은 기간에 비해 증가 폭이 절반 정도 수준"이라며 대출 규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자평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연이은 가계 대출 관리 신호와 함께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주요 은행의 가계 대출 증가세가 이달 들어 주춤하고 있습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12일 기준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570조 8,388억 원으로, 지난달 말(568조 6,616억 원)보다 2조 1,772억 원 늘었습니다.
월간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던 지난달(+8조 9,115억 원)보다는 증가세가 둔화했습니다.
은행권은 지난 7월부터 가계 대출 금리를 줄인상한 데 이어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중단, 주택담보대출 한도·만기 축소 등 강력한 대출 억제 조치를 쏟아냈는데, 그 효과가 시차를 두고 드러나기 시작한 겁니다.
이달부터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을 앞두고 지난달 대출 막차 수요가 쏠린 데 대한 기저 효과도 작용한 걸로 풀이됩니다.
신용대출도 같은 기간 1,043억 원(103조 4,562억 원→103조 5,605억 원)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이달 들어 5대 은행 전체 가계 대출 증가 폭은 2조 690억 원(725조 3,642억 원→727조 4,332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다만, 주간 기준으로 보면 주담대 증가세는 가팔라졌습니다.
5대 은행의 지난 5일까지 주담대 증가 폭은 8,835억 원이었는데, 6일부터 12일까지는 1조 2,937억 원으로 커졌습니다.
1영업일당 증가 폭이 소폭 확대된 데다(2,209억 원→2,587억 원) 5대 은행이 지난주에만 정책 대출 약 4,949억 원어치를 유동화해 장부에서 털어냈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주담대 증가세가 완전히 꺾였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입니다.
실제로 주택 거래량은 7월에도 큰 폭으로 늘었는데, 주담대는 통상 주택 거래 시점에서 두세 달 시차를 두고 집행됩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전국 아파트 매매(신고일 기준)는 5만 4,732건으로 6월(4만 3,300건)보다 26.4% 늘었습니다.
특히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는 6월(6천150건)보다 54.8% 뛴 9,518건으로 집계됐습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이달 가계 대출 증가 폭이 8월보다는 둔화할 걸로 보고 있습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12일 "이달 들어 첫 5영업일 기준 가계대출이 은행권 기준 1조 1천억 원 늘었는데, 이는 전달 같은 기간에 비해 증가 폭이 절반 정도 수준"이라며 대출 규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자평했습니다.
박민철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도 지난 11일 가계대출 흐름에 대해 "9월 이후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대책 효과가 가시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며 "휴가 자금, 주식 저가 매수 등의 8월 일시적 요인도 사라지면 9월에는 가계대출 증가 폭이 8월보다는 축소될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습니다.
다만, 주택 가격 상승 기대와 이사철 수요, 정책금리 인하 전망 등 가계 대출과 관련한 불안 요인이 남아 있어서 증가세 둔화가 장기적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한은은 지난 12일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향후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세와 가계대출 증가세 장기화 여부와 관련해서는 불확실성이 크다"며 "시장에서는 단기적인 불안이 이어지겠지만 이후 점차 안정될 것으로 보는 견해와 불안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병존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박종우 한국은행 부총재보도 기자간담회에서 "주택 거래량도 7월 말∼8월 초를 정점으로 감소하는 추세라 일단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이러한 흐름이 이어질지는 아직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김덕현 기자 dk@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