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탄올로 달리는 PHEV, 새로운 저탄소 모빌리티 가능성"

워싱턴DC(미국)=박찬규 기자 2024. 9. 17. 07: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탈탄소 징검다리 바이오에탄올]⑧ 미국 재생연료협회(RFA) 자레드 멀렌도어 정책자문 디렉터 & 에드워드 허버드 일반자문 디렉터 간담회
자레드 멀렌도어(Jared Mullendore) 미국 재생연료협회(Renewable Fuel Association, RFA) 정책자문 디렉터 /사진=박찬규 기자
"바이오에탄올의 탈탄소 전략은 먼저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쓰거나 추가 설비를 활용해 배출량 '제로'까지 도달할 수 있어요. 여기에 탄소포집 등 다른 기술을 적용하면 그 이하로 낮아지는 원리입니다."
자레드 멀렌도어(Jared Mullendore) 미국 재생연료협회(Renewable Fuel Association, RFA) 정책자문 디렉터는 신기술을 통해 탄소중립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무엇보다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해선 국가 차원의 계획에 따른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멀렌도어 디렉터는 "미국 정부에서는 에탄올 산업의 중간 역할을 하는 농부가 탄소중립 방식을 택할 수 있도록 세금 감면, 인센티브 제공 등의 방식으로 돕는다"며 "에탄올의 이로운 혜택 중 하나는 독성이 강한 물질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게다가 바이오에탄올을 연료에 섞으면서 엔진 밸브 등에 끼는 찌꺼기가 줄었고 연료가 함유한 산소도 풍부해서 터보엔진 등에서도 제 성능을 낼 수 있다"고 실제 적용 시 효과를 덧붙였다.

미국 재생연료협회(RFA)는 지난 40여년을 에탄올 등 재생에너지 산업을 대변했다. 비슷한 역할을 하는 그로스 에너지(Growth Energy)와 함께 미국 에탄올 산업의 80%를 대표한다. 그로스에너지는 미국 내 대기업 위주지만 RFA는 중소 생산자 중심으로 대외 활동이 중심이 된다. 두 단체는 경쟁하면서도 협력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곡물협회 초청으로 워싱턴D.C를 방문한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 출장기자단은 RFA 사무실에서 자레드 멀렌도어 정책자문 디렉터, 에드워드 허버드 일반자문 디렉터와 간담회를 가졌다.


E85 넣는 PHEV 테스트 등 새로운 시도


RFA가 테스트 중인 플렉스퓨얼 PHEV. /사진=RFA
RFA는 새로운 테스트를 이어가고 있다. 엔진과 배터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에 85% 에탄올을 휘발유에 희석한 'E85' 연료를 넣고 효과를 분석하는 중이다.

현재 시험주행은 4만마일(약 6만4373km)을 거쳤고 모터쇼에도 출품했다. RFA는 PHEV에 키트를 설치, E85 가능하도록 하는 추가 사업도 연구 중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자동차 제조사가 완제품으로 플렉스퓨얼 PHEV를 만들어주길 희망한다.

멀렌도어 디렉터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기반의 플렉스 퓨얼 콘셉트 자동차를 개발하고 있다"며 "이러한 일을 한 건 정책 결정권자 쪽에 알려주기 위해서였는데 엔진과 모터를 같이 써 실제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는 걸 증명할 필요가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기차가 정체되면서 앞으로 어떻게 할지 고민하다가 저탄소 연료를 쓰는 하이브리드차의 활용을 높이는 쪽으로 답을 냈고 그걸 입증하기 위해 개발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늘에서도 '착한 기름' 필요해


에드워드 허버드 RFA 일반자문 디렉터 /사진=박찬규 기자
에드워드 허버드 일반자문 디렉터는 도로 위 운송수단 외에도 항공·선박 등 다른 산업에서도 바이오연료 활용법을 언급했다. 특히 항공은 석유 기반 항공유를 쓰고 있는데 실행 가능한 대체품 가운데 하나로 바이오연료를 꼽는다. 전 세계는 지속가능항공유(SAF)에 관해 공감대를 형성한 상황이다.

멀렌도어 디렉터는 "미국에서 쓰는 항공유가 연간 360억갤런쯤인데 에탄올 생산은 160억갤런(도로에서 쓰는 휘발유의 10% 수준)이 전부"라며 "에탄올만으로 항공유를 대체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앞으로 늘어날 수요에 대비해 대두(콩), 수소, 폐오일(식용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에탄올을 생산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미국 내 수요 외에도 세계 항공유 수요를 맞춰야 한다는 점이다. SAF 기본 개념이나 아이디어가 국가마다 다르다. 미국이나 캐나다에선 이상적인 원료가 무엇인지 논의하고 있다. SAF에 활용될 다양한 원료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 테스트하고 있다.


한국은 에탄올 도입할 타이밍 왔다


미국은 정부 차원에서 바이오연료를 활용한 SAF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RFA 보고서 캡처
멀렌도어 디렉터는 과거 미국이 그랬듯, 에너지 안보에 위기가 생기면 전환의 가능성이 생길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어떤 산업이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상태가 돼야 한다"며 "에탄올 활용도를 높이려는 계획이 움직이려면 가령 유가가 급등하는 등 특수한 상황에서는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했다.

허버드 디렉터는 다양한 업계와 협력해서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처음 혼합연료 전환할 때 비교 대상(국가)이 없었고 국내에서도 반대하는 단체가 많았다.

그는 "필리핀의 경우엔 이륜차 많고, 소형차 많은데 경제적인 이유로 바이오연료 쓰기 시작했고 E10에서 E20 먼저 전환했다"며 "정부를 설득한 동력은 농부였고 생산을 높여 수익성 증대로 지역사회를 활성화하려는 욕구가 컸다"고 말했다. 지역사회에서 먼저 생겨나 도시까지 확산한 사례다.

그는 지금이 골든타임이 도래했다고 본다. 허버드 디렉터는 "현재는 전기차 때문에 기존 정유업계와 에탄올 업계가 힘을 합칠 수 있는 시기라고 보는데 미국에선 전기차 등장 후 정유사나 에탄올 산업계 간 관계가 좋아졌다"며 "전기차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에탄올이 필요하기 때문에 8년 전에는 서로 대척했지만, 현재는 친구 같은 존재가 됐다"고 했다.

RFA는 한국이 '국가 차원의 명확한 정책, 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한다. 허버드 디렉터는 "한국은 원유를 전적으로 수입하고 있으나 항공유를 많이 수출하고 있다"며 "원료를 수입해 다시 가공해 추가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만큼, 에탄올 도입 방향으로 가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워싱턴DC(미국)=박찬규 기자 star@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