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추석 슈퍼문, 실제로 30% 더 밝다…지름은 14% 더 커

곽노필 기자 2024. 9. 16. 09: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가위(추석) 저녁에 뜨는 보름달은 평소의 보름달보다 유난히 밝고 크게 느껴지곤 한다.

지난 몇년만 보더라도, 2021년 이후엔 연속해서 평소보다 큰 보름달이 뜨고 있다.

평소보다 2만㎞ 이상 지구와 더 가까울 때 뜨는 슈퍼문은 가장 작은 보름달(미니문)에 비해 최대 14% 더 크고, 최대 30% 더 밝다.

이번 한가위에 뜨는 보름달도 슈퍼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곽노필의 미래창
평소보다 2만㎞ 이상 더 지구와 가까워
이번 한가위에는 올해 두번째 슈퍼문이 뜬다. @PeterLewis55

한가위(추석) 저녁에 뜨는 보름달은 평소의 보름달보다 유난히 밝고 크게 느껴지곤 한다. 햇곡식이 풍성한 가을철이라서 생기는 착각일까?

그렇지 않다. 실제로 한가위 보름달은 다른 때보다 겉보기 지름이 큰 경우가 많다. 지난 몇년만 보더라도, 2021년 이후엔 연속해서 평소보다 큰 보름달이 뜨고 있다.

달의 공전궤도는 원형이 아닌 타원형이어서 지구와 달이 가까울 때 한가위를 맞게 되면 다른 때보다 큰 보름달이 뜬다. 달과 지구의 평균 거리는 38만4400㎞이지만 가장 가까울 때와 가장 멀 때의 거리 차이는 4만㎞에 이른다. 지구 중심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울 때는 평균 36만3396㎞(근지점), 가장 먼 때는 평균 40만5504㎞(원지점)이다.

달이 공전궤도상 지구에 가장 가까울 때를 기준으로 90% 이내 거리에 있을 때 뜨는 보름달을 일명 ‘슈퍼문’이라고 부른다. 과학적인 용어는 아니고 1970년대 말 미국의 한 점성가가 만든 말이다. 평소보다 2만㎞ 이상 지구와 더 가까울 때 뜨는 슈퍼문은 가장 작은 보름달(미니문)에 비해 최대 14% 더 크고, 최대 30% 더 밝다.

슈퍼문은 가장 작은 보름달에 비해 최대 14% 더 크고 최대 30% 더 밝다. in-the-sky.org

10월, 11월에도 슈퍼문 이어져

슈퍼문은 보통 한 해 3~4번 나타난다. 그러나 슈퍼문이 뜨는 시기는 해마다 조금씩 달라진다. 이는 달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주기인 근점월(근지점에서 근지점)은 약 27.55일, 보름달에서 다음 보름달로 변하는 삭망월은 약 29.53일로 차이가 나는 데서 비롯된다.

이번 한가위에 뜨는 보름달도 슈퍼문이다. 지난달에 이은 올해 두번째 슈퍼문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지난달보다 조금 더 가까워졌다. 슈퍼문 행진은 10월과 11월에도 이어져 올해 모두 4번의 슈퍼문이 뜬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한가위 보름달은 서울 기준으로 17일 오후 6시17분에 떠서 자정 직후 가장 높은 지점에 오른다. 달이 태양의 반대쪽에 위치해 완전히 둥근 슈퍼문이 되는 시각은 달이 지고난 뒤인 18일 오전 11시34분이다. 이때 달과 지구의 거리는 35만7286㎞다.

한가윗날인 17일 부분월식을 볼 수 있는 지역. InTheSky.org

슈퍼문이 뜰 땐 조석 간만의 차이가 더 커질까? 조석력이 다소 강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정도는 매우 약해서 몇㎝ 정도에 그친다.

한국은 해당 사항이 없지만 한가윗날 북미 대부분과 남미 전체,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서부지역에선 부분월식이 진행된다.

달동네에 뜬 보름달. 제29회 한국천문연구원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 서영균

보름달이 뜰 때 왜 더 크고 붉게 보일까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보름달은 한밤 머리 위에 있을 때보다 더 크고 더 붉게 보인다. 이유가 뭘까?

이는 일종의 착시 현상이다. 지평선 근처에 있는 나무나 건물, 산 등 물체들이 같은 시야에 들어오면서 우리 뇌가 상대적으로 크게 느낄 뿐이다.

실제는 정반대다. 지평선 근처의 보름달은 머리 위에 있는 달보다 우리 망막에 1.5% 더 작게 인식된다. 달이 하늘 높이 떠 있을 때보다 관찰자의 위치에서 지구 반지름 거리인 6400㎞만큼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는 처음 등장할 때의 보름달이 더 붉은 색조를 띠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평선 거리만큼 더 떨어져 있는 달에서 반사되는 빛은 더 많은 공기 입자를 통과한 뒤 우리 눈에 당도한다. 따라서 더 짧은 파장의 빛(파란색 계통)은 도중 공기 중으로 산란돼 흩어지고 더 긴 파장(빨간색 계통)만 우리 눈에 도달하게 된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